×

Χρησιμοποιούμε cookies για να βελτιώσουμε τη λειτουργία του LingQ. Επισκέπτοντας τον ιστότοπο, συμφωνείς στην πολιτική για τα cookies.


image

문학 발췌문 (Literary Excerpts), 이영광, 『어쩔 도리가 없다』

이영광, 『어쩔 도리가 없다』

물론 나는 집 떠나 살았던 게 할 수 없이 더 나았다고 생각하지만, 애들은 일찍 내놔서는 안 된다. 쓸쓸하면 병드니까. 내가 몹시 허전한 마음이 되어 밤늦은 퇴근길에서 선술집 문을 이마로 밀고 어둡게 들어갈 때, 안 되는 시를 쓴답시고 동네 '별 다방'에 다친 곰처럼 우두커니 인상 쓰고 앉았을 때, 나는 코흘리개 동생과 자취방 쪽마루에 나앉아 해져서 어두운데 어쩌고 노래하던 생각이 나고, 리어카에 책 보따리, 냄비 등속을 싣고 언덕길을 낑낑대며 둘이 이사하던 생각이 나고, 공납금 못 내서 얻어터졌는데 딱히 하소연할 데가 없던 방과 후의 화장실 담벼락이 생각나고, 담임이라는 자를 욕하면서 손끝이 노래지도록 빨던 '거북선' 생각이 나고, 갈 데 없이 기웃대던 어느 골목 유리창에서 새어나오던 따스한 등빛과 콧속이 알알한 웃음소리가 생각나고, 포장마차에 앉아 소주에 꼼장어를 먹는데도 아무도 건들지 않던 중3 때가 생각나고, 가출해서 헤매던 어느 겨울 밤 추웠던 들길이 생각난다. 애들은 일찍 내놔선 안 된다. 길이, 자꾸 이 철부지들을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믿는 게 멀리 있으면 함부로 자란다. 그건 자라지 않는 거다.

내가 나고 자란 곳은 이상한 동네다. 인사 잘 하고 공부 잘 하면 칭찬 듣는 건 조선 팔도가 다 마찬가지겠지만, 이 동네 아이들은 씩씩하고 나서기 좋아하고 반장 되는 거 좋아하고 법대 가야 하고 출세해야 하고 집안 일으켜야 하고 지역 출신 정권에 충성스러운 인간이 되어야 하고 누구나 대통령 꿈쯤은 꾸어야 했다. 남자가 '갑바'가 있어야 한다는 거다. 이것도 다 마찬가진가. 그러나 '갑바' 잘못 키우면 탱크 몰고 양민들에게 총질하는 구국의 또라이가 된다. 아무튼 이러한 외향성, 출세 지향성에 대한 선호의 강도가 좀 세다. 이 동네 사람들은 혹 내면이라는 것도 근육질로 되어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가끔 든다. 이게 나하고는 잘 안 맞았다. 애가 구슬픈 강아지 눈을 하고 연습장에다가 시라는 걸 끼적거리고 있노라면, 뭐 그런 걸 하고 있냐는 듯한 눈길들이 지나가고, 지나가고, 지나갔다. 나는 숨기면서 쓰면서 속으로 말했다. 니들은 그냥 니들 집안이나 일으켜라, 존말 할 때.

1984년 2월 나는 아버지와 형이 중도하차한 안동고등학교에서 집안 최초로 졸업장을 받아드는 쾌거를 이루었다. 공납금도 제때 안 주던 아버지가 학교 안 가고 빈둥거리던 날 잡아다놓고. 삼부자가 그놈의 학교 졸업장 하나 못 받으면 무슨 개망신이냐고, 제발 학교 좀 가라고 약한 모습 보이던 생각이 나서 나는 씩 웃었다. 그리고 그 해 드디어 고향 땅을 벗어나 서울 유학길에 올랐다. (부분생략)

작가_ 이영광 -- 시인. 1965년 경북 안동 출생. 1998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으로 등단. 시집『직선 위에서 떨다』,『그늘과 사귀다』, 『아픈 천국』 『나무는 간다』등이 있음.

낭독_ 이상구 -- 배우. 연극 '리어왕', '싸리타', '유리알눈' 등에 출연. 유성주 -- 배우. 연극 '그게 아닌데', '싸움꾼들' 등에 출연. *배달하며

폼 나는 시인의 이면에는 이렇게 슬프고도 답답했던 환경이 있었군요. 감수성을 지니고 태어나서 남성성 과잉의 교육을 받고 자란다는 것은 참으로 고통스럽습니다. 저희 세대는 남자는 참아야 한다, 소리를 자주 들었는데 그 것은 찍소리 말고 시킨 대로 해라, 라는 뜻이었죠. 그것을 이영광 시인의 고향 지역에서는 '갑바'라고 불렀고요. 벗어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가출을 하거나 죽어라 참고 공부해서 먼 곳으로 대학을 가거나. 그러고 보니 그 둘도 고달픈 것을 참아내야 하는 짓이기는 합니다만.

문학집배원 한창훈

출전_ 『불가능한 대화들』(산지니) 음악_ The film edge - themes concepts 애니메이션_ 김은미 프로듀서_ 양연식

이영광, 『어쩔 도리가 없다』

물론 나는 집 떠나 살았던 게 할 수 없이 더 나았다고 생각하지만, 애들은 일찍 내놔서는 안 된다. 쓸쓸하면 병드니까. 내가 몹시 허전한 마음이 되어 밤늦은 퇴근길에서 선술집 문을 이마로 밀고 어둡게 들어갈 때, 안 되는 시를 쓴답시고 동네 '별 다방’에 다친 곰처럼 우두커니 인상 쓰고 앉았을 때, 나는 코흘리개 동생과 자취방 쪽마루에 나앉아 해져서 어두운데 어쩌고 노래하던 생각이 나고, 리어카에 책 보따리, 냄비 등속을 싣고 언덕길을 낑낑대며 둘이 이사하던 생각이 나고, 공납금 못 내서 얻어터졌는데 딱히 하소연할 데가 없던 방과 후의 화장실 담벼락이 생각나고, 담임이라는 자를 욕하면서 손끝이 노래지도록 빨던 '거북선' 생각이 나고, 갈 데 없이 기웃대던 어느 골목 유리창에서 새어나오던 따스한 등빛과 콧속이 알알한 웃음소리가 생각나고, 포장마차에 앉아 소주에 꼼장어를 먹는데도 아무도 건들지 않던 중3 때가 생각나고, 가출해서 헤매던 어느 겨울 밤 추웠던 들길이 생각난다. 애들은 일찍 내놔선 안 된다. 길이, 자꾸 이 철부지들을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믿는 게 멀리 있으면 함부로 자란다. 그건 자라지 않는 거다.

내가 나고 자란 곳은 이상한 동네다. 인사 잘 하고 공부 잘 하면 칭찬 듣는 건 조선 팔도가 다 마찬가지겠지만, 이 동네 아이들은 씩씩하고 나서기 좋아하고 반장 되는 거 좋아하고 법대 가야 하고 출세해야 하고 집안 일으켜야 하고 지역 출신 정권에 충성스러운 인간이 되어야 하고 누구나 대통령 꿈쯤은 꾸어야 했다. 남자가 '갑바’가 있어야 한다는 거다. 이것도 다 마찬가진가. 그러나 '갑바' 잘못 키우면 탱크 몰고 양민들에게 총질하는 구국의 또라이가 된다. But if you raise the wrong 'gabba', you'll become the old country's rascal who drives a tank and shoots at the people. 아무튼 이러한 외향성, 출세 지향성에 대한 선호의 강도가 좀 세다. 이 동네 사람들은 혹 내면이라는 것도 근육질로 되어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가끔 든다. 이게 나하고는 잘 안 맞았다. 애가 구슬픈 강아지 눈을 하고 연습장에다가 시라는 걸 끼적거리고 있노라면, 뭐 그런 걸 하고 있냐는 듯한 눈길들이 지나가고, 지나가고, 지나갔다. 나는 숨기면서 쓰면서 속으로 말했다. 니들은 그냥 니들 집안이나 일으켜라, 존말 할 때.

1984년 2월 나는 아버지와 형이 중도하차한 안동고등학교에서 집안 최초로 졸업장을 받아드는 쾌거를 이루었다. 공납금도 제때 안 주던 아버지가 학교 안 가고 빈둥거리던 날 잡아다놓고. 삼부자가 그놈의 학교 졸업장 하나 못 받으면 무슨 개망신이냐고, 제발 학교 좀 가라고 약한 모습 보이던 생각이 나서 나는 씩 웃었다. 그리고 그 해 드디어 고향 땅을 벗어나 서울 유학길에 올랐다. (부분생략)

작가_ 이영광 -- 시인. 1965년 경북 안동 출생. 1998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으로 등단. 시집『직선 위에서 떨다』,『그늘과 사귀다』, 『아픈 천국』 『나무는 간다』등이 있음.

낭독_ 이상구 -- 배우. 연극 '리어왕', '싸리타', '유리알눈' 등에 출연. 유성주 -- 배우. 연극 '그게 아닌데', '싸움꾼들' 등에 출연. *배달하며

폼 나는 시인의 이면에는 이렇게 슬프고도 답답했던 환경이 있었군요. 감수성을 지니고 태어나서 남성성 과잉의 교육을 받고 자란다는 것은 참으로 고통스럽습니다. 저희 세대는 남자는 참아야 한다, 소리를 자주 들었는데 그 것은 찍소리 말고 시킨 대로 해라, 라는 뜻이었죠. 그것을 이영광 시인의 고향 지역에서는 '갑바’라고 불렀고요. 벗어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가출을 하거나 죽어라 참고 공부해서 먼 곳으로 대학을 가거나. 그러고 보니 그 둘도 고달픈 것을 참아내야 하는 짓이기는 합니다만.

문학집배원 한창훈

출전_ 『불가능한 대화들』(산지니) 음악_ The film edge - themes concepts 애니메이션_ 김은미 프로듀서_ 양연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