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 가중에 소비위축
образование||
education expenses||
Spendthrift on education
올들어 9월 말까지 공·사교육비 등 ‘교육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6%)보다 2.3%포인트 높은 5.9%나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consumer price||||||||
This year, through the end of September, "education prices" - the cost of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 surged 5.9%, 2.3 percentage points higher than the overall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 (3.6%).
소비자들은 교육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교육비 지출을 더 늘리는 대신 문화생활이나 외식·여행 등 다른 부문의 소비를 대폭 줄여나갈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consumers|tuition fees|snowballing|snowballing||expenditure||||cultural activities|||||sectors|consumption|significantly|cut back|||it was found
As the cost of education snowballs, consumers plan to drastically reduce consumption in other sectors such as cultural life, eating out and travel, instead of increasing their spending on education.
국내외 전문가들은 “가중되는 교육비 지출부담이 경기회복의 주요변수인 민간소비를 더욱 위축시켜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정부는 소비·투자진작 등 경제 본연의 대책 이외에 획기적인 교육비 절감대책 등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domestic and foreign||increasing||burden|economic recovery|key variable|private consumption||constrict||economy|||||||stimulus|||natural|measures|in addition to|revolutionary||cost-cutting measures||preparing||urgent||pointing out|
4일 한국 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올들어 9월 말까지 교육물가는 전년동기대비 5.9% 상승해 한은의 올 물가안정목표인 3%대를 이미 훌쩍 넘어섰다.
||bank|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this year|||education prices|the same period last year|increased|Bank of Korea's||inflation target|range||far above|surpassed
주요 교육물가 상승률을 보면 국·공립대 납입금이 10.5% 올라 가장 높았으며 ▲대학원 납입금 8.7% ▲유치원 납입금 7.9% ▲전문대 납입금 7.3% ▲사립대 납입금 7.1% ▲중·고교 납입금 6.5% 등의 순이었다.
main|tuition fees||||public university|tuition fees|||was the highest|graduate school|tuition fees|kindergarten||junior college||private university|||high school|||order
사교육비 부문의 경우 미술학원비가 8.1% 올랐고 ▲종합반 입시학원비 7.1% ▲단과반 입시학원비 5.4% ▲피아노 학원비 4.7% 등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private education expenses|sector||art academy fees||comprehensive class|private academy tuition for entrance exams|private tutoring class|||tuition|||
그러나 통계에 잡히지 않는 입시학원 교재비 등의 상승률이 훨씬 높은 점을 감안하면 실제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교육물가 상승 부담은 더 클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however|statistics||||textbook costs||rate||||taking into account||consumers|directly|||||||that||analysi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increase rate of expenses such as private academy textbooks, which are not captured by statistics, is much higher, experts analyze that the burden of rising education costs felt by actual consumers is even greater.
이 같은 교육비 부담은 다른 소비부문의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spending sector|contraction||
This burden of education expenses is leading to a contraction in other consumer sectors.
한은이 최근 조사한 소비자동향조사에서 소비자들은 향후 다른 부문의 소비를 대폭 줄여 교육비 지출을 늘리겠다고 답변했다.
|||consumer trend survey||future||||significantly|reduce||expenditure|increase|responded
In a recent consumer sentiment survey conducted by the Bank of Korea, consumers indicated that they would significantly reduce spending in other sectors to increase education expenses.
조사결과 향후 소비지출계획 소비자동향지수(CSI)는 교육비만 111로 기준치(100)를 넘었을 뿐 ▲교양·오락·문화비 92 ▲여행비·의류비 각 91 ▲외식비 87 등으로 기준치를 밑돌았다.
survey results||consumption expenditure plan|Consumer Sentiment Index|Consumer Sentiment Index||education expenses only||||exceeded||cultural|entertainment|cultural expenses|travel expenses|clothing expenses||dining out expenses||threshold|fell below
유럽계 투자기관인 HSBC는 “한국은 교육비 부담이 다른 부문의 소비여력을 갉아먹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중산층의 교육비 지출부담이 급격히 커짐에 따라 민간소비 회복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European|investment institution|HSBC||||||spending power|eroding||||||middle class||burden|sharply|||private consumption||||||pointe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