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samos cookies para ayudar a mejorar LingQ. Al visitar este sitio, aceptas nuestras politicas de cookie.

image

지식을 말하다 Knowledge Talk, 할머니 칼국수 레시피의 비밀 / 음식은 어떻게 신화가 되는가 / 칼럼니스트 / 황교익

할머니 칼국수 레시피의 비밀 / 음식은 어떻게 신화가 되는가 / 칼럼니스트 / 황교익

옛날 이야기를 떠올려 보자.

흥부전, 토끼전,

심청전 등 우리가 기억하는

구전 설화 속에는 빠짐없이 등장하는 장면이 있다.

바로 먹을 것에 대한 묘사나

음식을 먹는 장면이 그것이다.

우리는 매일 무언가 먹는다.

음식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하지만,

음식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본 사람은 적을 것이다.

먹는 다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기 때문에

의문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음식에 인문학적 상상력을 더한다면 어떨까?

음식에 대한 추억과 역사를 말한다는 것은

곧 개인과 집단의 음식에 대한

현재적 욕망을 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음식은 문화이다. 한 집단의 기호

음식에 그 집단 구성원의 정체성이 담겨 있다면,

우리가 자주 먹는 떡볶이, 삼겹살,

치킨에도 정체성이라는게 있을까?

인간 집단이 어떤 음식을 맛있다고 생각할 것인지

판단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는 ‘집단의 구성원에게 넉넉하게 주어질 수

있는 음식인가'하는 것이다.

인간은 그 소속 집단에게 많이

주어진 음식을 맛있다고 생각하게 되어 있다.

‘많이 주어진'이라는 조건은 그 집단이 처한

자연과 사회・경제적 여건 등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한국인은 오래도록 빵이 아니라

밥을 맛있다고 생각해왔다.

한국인이 선천적으로 밥을 맛있다고 생각하게 태어난 것이

아님에도 말이다.

한반도의 자연은 밀농사

보다 벼농사에 유리하고,

국내산 쌀을 사 먹을 만큼 경제적 여유도 있다.

그러니 한반도에서는 밥을 먹기에 적절하니

밥이 맛있는 것이다.

어떤 나라에서는 주식이 빵인 것을 생각해보면

흥미로운 점이다.

일제강점기에 쇠고기

음식이 대중음식으로 크게 발달했던 것에 비해

돼지고기 식당은 드물었다.

그리고 1970년대 드디어 돼지의 시대가 열렸다.

돼지사육 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된 것은 값싼 사료 덕이 컸다.

그 이전까지 농가에서는 돼지를 더 기르고 싶어도

사료를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값싼 수입

곡물이 이를 해결해주면서

전문적인 돼지 사육 농가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돼지고기 음식 중 왜 하필이면 삼겹살, 돼지갈비, 순대, 족발, 돼지국밥 등이

한국의 대표적인 돼지고기

음식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을까?

“한 지역에서 가장 쉽게

또 싸게 구할 수 있는 음식이 그 지역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이 된다”는 말이 있다.

한국인이 자주 찾는 삼겹살, 돼지갈비, 순대, 족발,

돼지국밥 등의 음식이 여기에 해당한다.

1970년대 돼지고기가 대량 수출 되면서

수입국들은 등심,

안심 등 비계가 없는 부위를 원했고,

삼겹살은 국내 소비로 돌아갔다.

이제 삼겹살은 한국인의 소울푸드라는 이름을 갖고

외국에서 삼겹살을 수입해 올 만큼 삼겹살 공화국이 되었다.

음식은 정치에서 자주 활용되곤 한다.

한국 정치판에 가장 많이오르내린 음식을

들라 하면, 칼국수 만한 것이 없다.

특정 음식은 시대적 필요에 의해

정치적 그 무엇이 되기도 한다.

1969년 박정희 정부는 혼분식

장려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그리고 박정희가 내민 혼분식 대표 음식이 칼국수였다.

미국에서 들여온 값싼 농산물로 조리한 음식이면서 칼질을 하고

그런대로 ‘요리'처럼 보이는 칼국수가 혼분식의

대표가 된 것이다.

1970년대 칼국수는 여염집

여자라면 마땅히 하여야 하는

전통음식으로 완전히 자리 잡게 되었다.

당시 혼기를 앞두었거나

신혼에 있는 처자에게 “어떤 음식을 잘하세요?”

하고 물으면 수줍게 “칼국수”라고 대답하곤 했다.

그러나 더 이상 집에서

칼국수를 만들어 먹는 일은 거의 없다.

칼국수는 외식아이템일 뿐이다.

외식시장에서의 칼국수는 크게 두 종류로 존재한다. 고

급한 전통의 칼국수와 저렴한 서민의

칼국수. 가격차이만큼 재료의 차이가 크다.

칼국수는 값싼 서민 음식이기도 하고

고급한 상류층의 음식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정치인은 칼국수를 먹으며 친서민적인 이미지를 만들기도 하고

대중에게 신분이 다른 사람인

듯 보이려고도 한다.

칼국수는 한국 정치인의 이중성이 깊이 투영된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음식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과 질문을 던지고 있는 책의 저자

황교익은 맛 칼럼니스트로 30년

가까이 살아오면서 스스로 질문을 던지며

“나는 왜 이 음식을 맛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는가.”를 되새기면서

본능

너머에 존재하는 음식 기호에 대한 탐구를 계속해왔다.

이것은 한국인으로 살면서

한국사회가 그를 움직이게 하고

제어하는 것들에 대한 관찰이었으며, 사색이었다.

“나의 목소리가 향하는 궁극적인 지점은 대중이 아니다.

대중의 귀에 크게 들릴 뿐이다.

한국인이 먹는 음식의 질과 양을

결정하는 자본과 정치권력, 언론이 내 쓴소리의 과녁이다.”

Learn languages from TV shows, movies, news, articles and more! Try LingQ for FREE

할머니 칼국수 레시피의 비밀 / 음식은 어떻게 신화가 되는가 / 칼럼니스트 / 황교익 |칼국수|레시피의||||||칼럼니스트|황교익 The Secret to Grandma's Kalguksu Recipe / How Food Becomes a Myth / Columnist / Kyoik Hwang Secretos de la receta de sopa de fideos de la abuela / Cómo la comida se convierte en mito / Columnista / Kyo Ik Hwang おばあちゃんカルグクスレシピの秘密 / 食べ物はどのように神話になるのか / コラムニスト / ファン・ギョイク Секреты бабушкиного рецепта лапши / Как еда становится мифом / Колумнист / Kyo Ik Hwang 奶奶刀削面食谱的秘密 / 食物如何成为神话 / 专栏作家 / Hwang Kyo-ik

옛날 이야기를 떠올려 보자. ||떠올리다|

흥부전, 토끼전, 흥부전|

심청전 등 우리가 기억하는

구전 설화 속에는 빠짐없이 등장하는 장면이 있다.

바로 먹을 것에 대한 묘사나 ||||묘사나

음식을 먹는 장면이 그것이다. |||그것이다

우리는 매일 무언가 먹는다. |||먹습니다

음식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하지만, ||||필요하지만

음식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본 사람은 적을 것이다. 음식에||seriously|||||

먹는 다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기 때문에 |말하는|||||

의문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음식에 인문학적 상상력을 더한다면 어떨까? ||인문학적인||추가한다면|

음식에 대한 추억과 역사를 말한다는 것은 ||memories and|||

곧 개인과 집단의 음식에 대한 |개인과|집단의||

현재적 욕망을 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적|욕망|||||

음식은 문화이다. 한 집단의 기호 ||||기호

음식에 그 집단 구성원의 정체성이 담겨 있다면, ||집단|구성원의|identity|담겨|

우리가 자주 먹는 떡볶이, 삼겹살,

치킨에도 정체성이라는게 있을까? 치킨에도|정체성이라는 게|

인간 집단이 어떤 음식을 맛있다고 생각할 것인지 ||||맛있다고||

판단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 판단하는 데|||요소 判断に影響を与える要素

중 하나는 ‘집단의 구성원에게 넉넉하게 주어질 수 |||구성원에게|넉넉하게|주어질|

있는 음식인가'하는 것이다. |음식인지|

인간은 그 소속 집단에게 많이 |||to the group|

주어진 음식을 맛있다고 생각하게 되어 있다.

‘많이 주어진'이라는 조건은 그 집단이 처한 |주어진||||처한

자연과 사회・경제적 여건 등에 의해 결정된다. 자연과|||조건|등에||결정된다

예를 들어 한국인은 오래도록 빵이 아니라 |||오랫동안|빵|

밥을 맛있다고 생각해왔다.

한국인이 선천적으로 밥을 맛있다고 생각하게 태어난 것이 |innately|||||

아님에도 말이다. 아님에도|

한반도의 자연은 밀농사 한반도의|자연은|wheat farming

보다 벼농사에 유리하고,

국내산 쌀을 사 먹을 만큼 경제적 여유도 있다. domestic|rice|||||여유도|

그러니 한반도에서는 밥을 먹기에 적절하니 |in the Korean Peninsula||먹기|적절하니

밥이 맛있는 것이다. rice||

어떤 나라에서는 주식이 빵인 것을 생각해보면 ||주식|빵||

흥미로운 점이다.

일제강점기에 쇠고기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beef

음식이 대중음식으로 크게 발달했던 것에 비해 |대중음식으로||발달했었던||

돼지고기 식당은 드물었다. pork||드물었다

그리고 1970년대 드디어 돼지의 시대가 열렸다. |||돼지의|시대|

돼지사육 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된 것은 값싼 사료 덕이 컸다. 돼지사육||급격하게|확대된|||사료|덕이|컸다

그 이전까지 농가에서는 돼지를 더 기르고 싶어도 |이전까지|농가에서는|돼지||기르기를|

사료를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feed|마련하는||어려움|

그러나 값싼 수입

곡물이 이를 해결해주면서 곡물||해결해주면서

전문적인 돼지 사육 농가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돼지|사육|농가|늘어나기|

돼지고기 음식 중 왜 하필이면 삼겹살, 돼지갈비, 순대, 족발, 돼지국밥 등이 ||||하필이면||돼지갈비|순대|족발|돼지국밥|

한국의 대표적인 돼지고기

음식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을까? |||되었을까

“한 지역에서 가장 쉽게

또 싸게 구할 수 있는 음식이 그 지역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이 된다”는 말이 있다.

한국인이 자주 찾는 삼겹살, 돼지갈비, 순대, 족발,

돼지국밥 등의 음식이 여기에 해당한다.

1970년대 돼지고기가 대량 수출 되면서 |돼지고기|대량|수출|

수입국들은 등심, 수입국들은|sirloin

안심 등 비계가 없는 부위를 원했고, 안심||fat||부위|원했다

삼겹살은 국내 소비로 돌아갔다. 삼겹살은||소비|

이제 삼겹살은 한국인의 소울푸드라는 이름을 갖고 |||소울푸드라는||

외국에서 삼겹살을 수입해 올 만큼 삼겹살 공화국이 되었다. ||수입하다||||공화국|

음식은 정치에서 자주 활용되곤 한다. |정치에서||되곤|

한국 정치판에 가장 많이오르내린 음식을 |정치판에||많이 오르내린|

들라 하면, 칼국수 만한 것이 없다. 들라|||||

특정 음식은 시대적 필요에 의해 ||시대적인|필요에|

정치적 그 무엇이 되기도 한다. 정치적||||

1969년 박정희 정부는 혼분식 |박정희||혼분식

장려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장려|정책을|actively|펼쳤다

그리고 박정희가 내민 혼분식 대표 음식이 칼국수였다. |박정희|||||였다

미국에서 들여온 값싼 농산물로 조리한 음식이면서 칼질을 하고 |가져온||농산물로|조리한|음식이면서|칼질|

그런대로 ‘요리'처럼 보이는 칼국수가 혼분식의 그런대로|요리처럼||칼국수|혼분식의

대표가 된 것이다. 대표||

1970년대 칼국수는 여염집 |칼국수|여염집

여자라면 마땅히 하여야 하는 여자라면|마땅히|해야|

전통음식으로 완전히 자리 잡게 되었다. as traditional food||||

당시 혼기를 앞두었거나 |혼기|앞두었거나

신혼에 있는 처자에게 “어떤 음식을 잘하세요?” 신혼에||처자에게|||잘하는

하고 물으면 수줍게 “칼국수”라고 대답하곤 했다. |물으면|||||

그러나 더 이상 집에서

칼국수를 만들어 먹는 일은 거의 없다. 칼국수|||||

칼국수는 외식아이템일 뿐이다. |외식 아이템|

외식시장에서의 칼국수는 크게 두 종류로 존재한다. 고 in the dining-out market||||종류로||

급한 전통의 칼국수와 저렴한 서민의 |전통의|칼국수와||서민의

칼국수. 가격차이만큼 재료의 차이가 크다. |가격 차이만큼|재료의||

칼국수는 값싼 서민 음식이기도 하고 ||서민|이기도|

고급한 상류층의 음식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고급한|상류층의||||

정치인은 칼국수를 먹으며 친서민적인 이미지를 만들기도 하고 정치인||먹으면서|친서민적인|||

대중에게 신분이 다른 사람인 to the public|||

듯 보이려고도 한다. |보이려고|

칼국수는 한국 정치인의 이중성이 깊이 투영된 ||정치인의|이중성|깊이|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음식이기 때문에|||

음식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과 질문을 던지고 있는 책의 저자 ||날카로운|insight and|||||저자

황교익은 맛 칼럼니스트로 30년 황교익은||칼럼니스트로|

가까이 살아오면서 스스로 질문을 던지며 |살아오면서|||

“나는 왜 이 음식을 맛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는가.”를 되새기면서 ||||||되었는가||되새기면서

본능 본능

너머에 존재하는 음식 기호에 대한 탐구를 계속해왔다. |||기호에||탐구를|해왔다

이것은 한국인으로 살면서 |as a Korean|

한국사회가 그를 움직이게 하고 한국 사회가||움직이게|

제어하는 것들에 대한 관찰이었으며, 사색이었다. 제어하는|||관찰|사색이었다

“나의 목소리가 향하는 궁극적인 지점은 대중이 아니다. ||||지점은|대중|

대중의 귀에 크게 들릴 뿐이다. 대중의||||

한국인이 먹는 음식의 질과 양을 |||질과|

결정하는 자본과 정치권력, 언론이 내 쓴소리의 과녁이다.” 결정하는|자본과|정치권력|언론||쓴소리의|target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