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żywamy ciasteczek, aby ulepszyć LingQ. Odwiedzając stronę wyrażasz zgodę na nasze polityka Cookie.


image

작가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Reading Time podcast), Episode 40 - 이기호 "원주통신" - Part 5

Episode 40 - 이기호 "원주통신" - Part 5

네. 저도 오랫만에 이 소설을 다시 읽다가 문득 '어?' 하고 다가오는 엉뚱한 부분이 있었는데요. 그게 앞부분에 주인공이 박경리 선생 댁에서 흘러나오는 불빛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습니까. 적막함, 조용하고 적막했다. 때때로 희미한 불빛이 새어나오기도 했지만 그 불빛 때문에 오히려 더 외롭고 쓸쓸해 보였다. 이렇게 묘사하는 대목이 있어요. 그런데, 저는 뭐 이 시절은 아닙니다만, 박경리 선생님이 '토지 문화관'에 사실 때, 박경리 선생이 원래 계시던 (아마 이 집이었을 것 같가요) 이 집으로 도로가 나게 됩니다. 박경리 선생님이 그 집에서 떠날 수 없다, 이렇게 말씀을 하시니까, 한국도로공사 측에서 대안을 제시합니다. 매지리에 (원주, 연세대학교 원주 캠퍼스가 있는 곳이죠) 이 매지리에 그 토지 문화관을 짓고 거기에 모시겠다. 이렇게 얘기를 하자 합의가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토지 문화관에서는 여러가지 행사도 많이 열리고요 또 작가들이 거기에 가서 글을 쓰기도 합니다. 저는 거기 들어가서 글을 쓴적은 없어요. 왜냐하면 옆방에 다른 작가가 있다는 것이 이상하게 저는 마음에 들지 않았어요. 그래서 글을 쓸 때 이 방에 제가 있고, 옆방에 동료작가가 있고, 또 옆방에 다른 작가가 글을 쓰고 있다는 것, 이게...좀 뭐랄까요, 영..좀 이상한 기분이 들었어요. 글을 쓴다는 것은 나만의 골방에서 혼자 쓰는 것이죠. 다 쓴다음에는 나가서 사람도 만나고 그러지만 그 순간 만큼은 그렇게 방해 받고 싶지 않은데 방에 들어가서 이렇게 동료작가들과 이웃하면서 글을 쓴다는 것 이게 좀 이상하게 느껴졌는데, 그러나 많은 작가들이 그 토지 문화관을 찾고 거기에서 좋은 작품을들 많이 썼습니다. 성향상의 문제겠죠. 토지 문화관에 대해서 들은 재밌는 얘기는 그 한..지금으로 부터 한 칠, 팔년은 됐을 거예요. 작가들이 조용히 들어가서 글을 쓴답니다. 아침부터, 아침에 일어나서 밥은 토지 문화관에서 줍니다. 식사들을 하면서 저녁까지 자기 방에서 글을 쓰다가 밤 열시가 되면 텔레비전이 있는 휴게실로 다 모였데요. 말 없이. 모여서 원로작가부터 젊은 작가까지 삼삼오오 모여서 '대장금'을 함께 시청을 했다고 해요. '대장금'을 다 본다음에는 다시 자기 방으로 들어가서 글을 썼다는 그런... '대장금'이 정말 대 유행을 하던 시절의 일화를 몇 다리 건너서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저는 여기에 무슨 심포지엄 때문에 찾아 갔었는데요. 박경리 선생님을 뵀습니다. 박경리 선생하고 왜 그런 대화가 나왔는지 잘 모르겠지만,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다가, 텔레비전을 늘 켜놓고 계신데요. 그래서 왜 그러시냐고 했더니, 혼자 있는 집에 텔레비전까지 없으면 너무 적막해서 사람 말 소리가 듣고 싶어서 텔레비전을 켜놓고 계신다는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제가 생각했던 박경리 선생님의 이미지는 낮에는 그 채소밭에서 이렇게 막 김을 매시다가, 들어가서 밤을 새서 이 [토지]를 쓰시고 ... 그런 어떤 모습을 상상했는데, 아 이분도 인간적인 면모가 있구나..혼자 계시면 좀 고적하시구나...그래서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사람 소리를 들으며 밤을 보내시는 구나.. 생각을 했습니다. 아마 이기호 씨가 그 담장 뒤에서 담배를 피우면서 봤던 그 불빛도 박경리 선생님이 켜놓은 TV 에서 흘러나온 불빛은 아니였을까...뭐 그런 생각을 하게됬습니다.

이 원주의 매지리는 원주 캠퍼스가 있어서 저는 몇 번 가봤는데요. 상당히 아름답습니다. 저수지를 끼고 가을이면 단풍들이 아름답게 그 빛은 발하는 그런 곳인데, 이런 저런 일이 있어서 몇 번, 제가 다니던 그 신촌 캠퍼스와 셔틀버스가 있었거든요. 셔틀버스는 학생들에게는 아마 무료였을 거예요. 학생...무슨 이유가 있으면 무료예요. 뭐 수업을 들으러 간다거나, 공무로 간다거나, 무료였던 것 같은데, 그러니 가끔 바람을 쐬고 싶을 때는 신촌 캠퍼스에서 출발하는 셔틀을 타고 원주에 내려서 그 저수지 가를 거닐고..그러곤 했습니다. 그때 제가 그 당시에 여자친구와 한 번 갔던 기억이 나요. 가서 보면, 원주 캠퍼스에도 신촌 캠퍼스 같은 노천극장이 있어요. 좀 규모가 작습니다. 근데 원주 캠퍼스의 노천 극장은 훨씬 아름다워요. 왜냐하면 무대 뒤가 그 저수지입니다. 탁 트여있죠. 그래서 거기 가을에 이렇게 앉아 있으면 좋습니다. 책 읽기도 좋고 이렇게 저수지를 따라서 한바퀴 산책을 하기도 좋고 그런 어떤 추억이 있습니다. 그건 뭐 대학시절의 일이니까 벌써 오래전 일인데요. 이 박경리 선생님을 뵀던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얼마전에 세상을 떠나셨죠. 이기호 씨가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만, 네, 초등학생이던 이기호 씨가 중학생이되고 고등학생이 되고 대학생이 될 때 까지도 한 작품을 계속 쓰고 계셨다. 그래서 대단히 짠한 마음이 들었다. 이렇게 쓰고 있는데, 네, 그건 사실, 이기호 씨도 이제 작가가 됐고, 저도 작가입니다만, 쉬운 일이 아니죠. 정말 쉬운 일이 아닙니다. 네, 한 작품을 그렇게 오래 쓰고 있다는 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니죠. 작가도 인간인데요. 그리고 나이를 먹어가고, 여러가지 변화가 생기고, 생각도 바뀌는데 처음의 한 십년전, 아니면 그 이전에 정한 주인공과 같이 늙어간다는 것이잖아요. 정말 쉬운 일이 아니죠. 자 오늘 이렇게 해서 이기호 씨의 소설집 [갈팡질팡하다 내 이럴 줄 알았지]에 들어있는 '원주통신'이라는 이기호 씨의 자전소설을 가지고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를 진행해 봤습니다. 이 소설집에는 '원주통신'말고도 재밌는 소설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번쯤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고요. 자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사십번째 에피소드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책을 읽는 다는 것은 전혀 낮선 세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죠. 이 나이를 먹을 수록 낮선 사람을 만난다는 것이 얼마나 이.. 위험한 것인지 인간들은 점점 자기도 모르게 깨닫게 된다고 해요. 우리가 가장 안전하게 타자와 타인, 낮선 세계를 만나는 방법, 그것이 바로 독서겠죠? 자 오늘도 책, 그리고 소설과 함께하는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진행해봤습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지금까지 김영하였습니다.


Episode 40 - 이기호 "원주통신" - Part 5 Episode 40 - Lee Ki-ho "Wonju Communication" - Part 5

네. 저도 오랫만에 이 소설을 다시 읽다가 문득 '어?' 하고 다가오는 엉뚱한 부분이 있었는데요. 그게 앞부분에 주인공이 박경리 선생 댁에서 흘러나오는 불빛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습니까. 적막함, 조용하고 적막했다. 때때로 희미한 불빛이 새어나오기도 했지만 그 불빛 때문에 오히려 더 외롭고 쓸쓸해 보였다. 이렇게 묘사하는 대목이 있어요. 그런데, 저는 뭐 이 시절은 아닙니다만, 박경리 선생님이 '토지 문화관'에 사실 때, 박경리 선생이 원래 계시던 (아마 이 집이었을 것 같가요) 이 집으로 도로가 나게 됩니다. 박경리 선생님이 그 집에서 떠날 수 없다, 이렇게 말씀을 하시니까, 한국도로공사 측에서 대안을 제시합니다. 매지리에 (원주, 연세대학교 원주 캠퍼스가 있는 곳이죠) 이 매지리에 그 토지 문화관을 짓고 거기에 모시겠다. 이렇게 얘기를 하자 합의가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토지 문화관에서는 여러가지 행사도 많이 열리고요 또 작가들이 거기에 가서 글을 쓰기도 합니다. 저는 거기 들어가서 글을 쓴적은 없어요. 왜냐하면 옆방에 다른 작가가 있다는 것이 이상하게 저는 마음에 들지 않았어요. 그래서 글을 쓸 때 이 방에 제가 있고, 옆방에 동료작가가 있고, 또 옆방에 다른 작가가 글을 쓰고 있다는 것, 이게...좀 뭐랄까요, 영..좀 이상한 기분이 들었어요. 글을 쓴다는 것은 나만의 골방에서 혼자 쓰는 것이죠. 다 쓴다음에는 나가서 사람도 만나고 그러지만 그 순간 만큼은 그렇게 방해 받고 싶지 않은데 방에 들어가서 이렇게 동료작가들과 이웃하면서 글을 쓴다는 것 이게 좀 이상하게 느껴졌는데, 그러나 많은 작가들이 그 토지 문화관을 찾고  거기에서 좋은 작품을들 많이 썼습니다. 성향상의 문제겠죠. 토지 문화관에 대해서 들은 재밌는 얘기는 그 한..지금으로 부터 한 칠, 팔년은 됐을 거예요. 작가들이 조용히 들어가서 글을 쓴답니다. 아침부터, 아침에 일어나서 밥은 토지 문화관에서 줍니다. 식사들을 하면서 저녁까지 자기 방에서 글을 쓰다가 밤 열시가 되면 텔레비전이 있는 휴게실로 다 모였데요. 말 없이. 모여서 원로작가부터 젊은 작가까지 삼삼오오 모여서 '대장금'을 함께 시청을 했다고 해요. '대장금'을 다 본다음에는 다시 자기 방으로 들어가서 글을 썼다는 그런... '대장금'이 정말 대 유행을 하던 시절의 일화를 몇 다리 건너서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저는 여기에 무슨 심포지엄 때문에 찾아 갔었는데요. 박경리 선생님을 뵀습니다. 박경리 선생하고 왜 그런 대화가 나왔는지 잘 모르겠지만,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다가, 텔레비전을 늘 켜놓고 계신데요. 그래서 왜 그러시냐고 했더니, 혼자 있는 집에 텔레비전까지 없으면 너무 적막해서 사람 말 소리가 듣고 싶어서 텔레비전을 켜놓고 계신다는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제가 생각했던 박경리 선생님의 이미지는 낮에는 그 채소밭에서 이렇게 막 김을 매시다가, 들어가서 밤을 새서 이 [토지]를 쓰시고 ... 그런 어떤 모습을 상상했는데, 아 이분도 인간적인 면모가 있구나..혼자 계시면 좀 고적하시구나...그래서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사람 소리를 들으며 밤을 보내시는 구나.. 생각을 했습니다. 아마 이기호 씨가 그 담장 뒤에서 담배를 피우면서 봤던 그 불빛도 박경리 선생님이 켜놓은 TV 에서 흘러나온 불빛은 아니였을까...뭐 그런 생각을 하게됬습니다.

이 원주의 매지리는 원주 캠퍼스가 있어서 저는 몇 번 가봤는데요. 상당히 아름답습니다. 저수지를 끼고 가을이면 단풍들이 아름답게 그 빛은 발하는 그런 곳인데, 이런 저런 일이 있어서 몇 번, 제가 다니던 그 신촌 캠퍼스와 셔틀버스가 있었거든요. 셔틀버스는 학생들에게는 아마 무료였을 거예요. 학생...무슨 이유가 있으면 무료예요. 뭐 수업을 들으러 간다거나, 공무로 간다거나, 무료였던 것 같은데, 그러니 가끔 바람을 쐬고 싶을 때는 신촌 캠퍼스에서 출발하는 셔틀을 타고 원주에 내려서 그 저수지 가를 거닐고..그러곤 했습니다. 그때 제가 그 당시에 여자친구와 한 번 갔던 기억이 나요. 가서 보면, 원주 캠퍼스에도 신촌 캠퍼스 같은 노천극장이 있어요. 좀 규모가 작습니다. 근데 원주 캠퍼스의 노천 극장은 훨씬 아름다워요. 왜냐하면 무대 뒤가 그 저수지입니다. 탁 트여있죠. 그래서 거기 가을에 이렇게 앉아 있으면 좋습니다. 책 읽기도 좋고 이렇게 저수지를 따라서 한바퀴 산책을 하기도 좋고 그런 어떤 추억이 있습니다. 그건 뭐 대학시절의 일이니까 벌써 오래전 일인데요. 이 박경리 선생님을 뵀던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얼마전에 세상을 떠나셨죠. 이기호 씨가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만, 네, 초등학생이던 이기호 씨가 중학생이되고 고등학생이 되고 대학생이 될 때 까지도 한 작품을 계속 쓰고 계셨다. 그래서 대단히 짠한 마음이 들었다. 이렇게 쓰고 있는데, 네, 그건 사실, 이기호 씨도 이제 작가가 됐고, 저도 작가입니다만, 쉬운 일이 아니죠. 정말 쉬운 일이 아닙니다. 네, 한 작품을 그렇게 오래 쓰고 있다는 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니죠. 작가도 인간인데요. 그리고 나이를 먹어가고, 여러가지 변화가 생기고, 생각도 바뀌는데 처음의 한 십년전, 아니면 그 이전에 정한 주인공과 같이 늙어간다는 것이잖아요. 정말 쉬운 일이 아니죠. 자 오늘 이렇게 해서 이기호 씨의 소설집 [갈팡질팡하다 내 이럴 줄 알았지]에 들어있는 '원주통신'이라는 이기호 씨의 자전소설을 가지고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를 진행해 봤습니다. 이 소설집에는 '원주통신'말고도 재밌는 소설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번쯤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고요. 자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사십번째 에피소드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책을 읽는 다는 것은 전혀 낮선 세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죠. 이 나이를 먹을 수록 낮선 사람을 만난다는 것이 얼마나 이.. 위험한 것인지 인간들은 점점 자기도 모르게 깨닫게 된다고 해요. 우리가 가장 안전하게 타자와 타인, 낮선 세계를 만나는 방법, 그것이 바로 독서겠죠? 자 오늘도 책, 그리고 소설과 함께하는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진행해봤습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지금까지 김영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