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żywamy ciasteczek, aby ulepszyć LingQ. Odwiedzając stronę wyrażasz zgodę na nasze polityka Cookie.

image

지식을 말하다 Knowledge Talk, 다시 읽는 5분 고전 / 데미안의 진짜 주인공은? / 헤르만 헤세

다시 읽는 5분 고전 / 데미안의 진짜 주인공은? / 헤르만 헤세

<데미안>은 1919년 헤르만 헤세가

에밀 싱클레어라는 가명으로 출간한 작품이다.

이 무렵 헤세는 제1차 세계대전과 우울증,

그리고 편집증으로 힘든 시기를 겪었다.

그래서 <데미안>은 에밀 싱클레어의 이야기이지만,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보고 있는 헤세

스스로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작품 속에서 에밀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만나,

결국 내면 속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 당신도

헤세와 싱클레어처럼 데미안과 만난 적이 있는가?

당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있는가?

에밀 싱클레어는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 안에서 모범적인 것들을 배웠다.

그 반대편에는 또 다른 세계가 있었는데

모범적인 것보다는 충동적인 것을 따르는 곳이었다.

싱클레어는 자신의 세상에 만족했지만

마음 깊은 곳에서는 반대편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자라고 있었다.

그러던 중, 반대편 세계의 크로머를 만나게 되고 그에게 인정받고자

도둑질을 하게 된다.

그때부터 에밀 싱클레어의 세상은 도둑질을 한 죄책감으로

조금씩 무너지기 시작한다. 그 무렵,

학교에 데미안이 전학오게 된다.

싱클레어는 다른 아이들과 달리

성숙한 데미안을 동경하며 자신이 도둑질한 사실과 크로머를

두려워하고 있다는 것을 털어놓는다.

도둑질 사건 이후로

어린 시절을 거친 싱클레어는 본능적인 충동을 속으로 꾸준히 갈망했다. 그 후

기숙학교로 학교를 옮기며

자연스럽게 데미안과도 멀어졌다. 싱클레어는

그 곳에서 자신이 살고 있던 세계에서 벗어나 충동적이고

방탕한 삶을 살았다.

그러나 속으로는 그런 자신의 삶에 죄책감을

가지며 때때로 데미안을 떠올리기도 했다.

그 무렵의 싱클레어는 꿈 속에 나타나는 한

여인에 심취해있기도 했다.

그 여인의 이름은 베아트리체.

싱클레어는 밤낮으로 그녀를 그리려 노력했으나

이상적인 여인의 모습이 완성되어갈수록

그것은 데미안과 닮아갔다.

싱클레어는 그 그림을 바라보다가 마침내 그림 속의 인물이 베아트리체도,

데미안도 아닌

바로 자기 자신과 같음을 느끼게 된다.

완성된 그림을 데미안에게 보낸 후

어느날 싱클레어는 수업 중,

자신의 책에 꽂힌 한개의 쪽지를 발견한다.

그 쪽지는 데미안에게서 온 그림의 대한 답이었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한 세계를 깨뜨리지 않으면 안 된다.“

헤세는 제1차세계대전 당시 독일 포로후원센터에서 근무하며

데미안의 원고를 집필하였다. 이 시기의 헤세는 3번의 결혼과 아버지의 죽음 등

여러가지 큰 위기를 겪어내며

<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과 <데미안>을 집필하게 된다. 이 작품들은 자전적이며

내면의 관한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다.

헤세가 <데미안>의 등장인물인

에밀 싱클레어로 가명을 써서

작품을 발표한 점. 그리고 실제 헤세가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나 수도원 학교에 다녔고,

시인의 꿈을 안고 도망 친 뒤

자살기도와 정신병원

수감등 힘든 시기를 겪은 것으로 봤을 때 <데미안>은 단순 소설

작품이 아닌 헤세가 스스로 내면을 성찰한

자전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작품 말미에서 싱클레어는 데미안과

전쟁 통에서 부상을 입고 누워, 그토록 두려워했던 크로머에

대한 이야기도 웃으면서 나눌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얼마의 시간이 지나 눈을 떴을 때 싱클레어는

홀로 어두운 거울 앞에서 데미안과

완전히 똑같아진, 데미안 그 자체의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

우리는 때때로 내가 원하는 내 모습이 무엇인지,

내 마음이 어떤 지 모를 때가 있다.

또 주어진 것에 안주하거나

그것에 낙담할 때도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세계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지금 자신이 안고 있는 세계를 깨고 나와야 하듯이,

내면으로 향하는 길은 자기가 확신했던 것들을 과감하게 내려놓고

다시 질문해야 하는 과정일 것이다.

Learn languages from TV shows, movies, news, articles and more! Try LingQ for FREE

다시 읽는 5분 고전 / 데미안의 진짜 주인공은? / 헤르만 헤세 again|reading|5-minute|classic|of Demian|true|protagonist|Hermann|Hesse |||古典|||||ヘッセ 5 Minute Classics Reread / ¿Quién es el verdadero Damien? / Hermann Hesse 再読する5分間の名作 / ダミアンの本当の主人公は誰? 5-minutowa powtórka z klasyki / Kim naprawdę jest Damien? / Hermann Hesse Rereading 5-Minute Classics / Who is the real protagonist of Demian? / Hermann Hesse

<데미안>은 1919년 헤르만 헤세가 Demian|is|in 1919|Hermann|Hesse 『デミアン』は1919年にヘルマン・ヘッセが <Demian> is a work published in 1919 by Hermann Hesse

에밀 싱클레어라는 가명으로 출간한 작품이다. Emil|Sinclair|under the pseudonym|published|work |シンクレアという||| エミール・シンクレールというペンネームで刊行した作品です。 under the pseudonym Emil Sinclair.

이 무렵 헤세는 제1차 세계대전과 우울증, this|around|Hesse|||World War|depression |||||世界大戦と| この頃、ヘッセは第一次世界大戦と鬱病、 Around this time, Hesse was dealing with World War I and depression,

그리고 편집증으로 힘든 시기를 겪었다. and|with paranoia|difficult|period|went through ||||経験した And I went through a difficult time with paranoia.

그래서 <데미안>은 에밀 싱클레어의 이야기이지만, so|||Emil|Sinclair's|story ||||シンクレールの| So <Demian> is the story of Emil Sinclair,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보고 있는 헤세 one's|inner self|looking into|seeing|is|Hesse |内面を|||| but it is also Hesse looking into his own inner self,

스스로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of myself|story|is |話でもある| 自分自身の物語でもある。 making it a story about himself.

작품 속에서 에밀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만나, the work|in|Emil|Sinclair|Demian|meets ||||デミアン| 作品の中でエミール・シンクレールはデーミアンに出会い、 In the work, Emil Sinclair meets Demian,

결국 내면 속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 당신도 eventually|inner|inside|with myself|face|becomes|you also 結局内なる自分と向き合うことになる。あなたも and ultimately confronts his inner self. Have you also

헤세와 싱클레어처럼 데미안과 만난 적이 있는가? Hesse|like Sinclair|with Demian|met|experience|do you have met Demian like Hesse and Sinclair?

당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있는가? your|inner|looking into|are Are you looking into your inner self?

에밀 싱클레어는 자신이 살고 있는 Emil|Sinclair|himself|living|in Emil Sinclair learned exemplary things in the world he lived in.

세계 안에서 모범적인 것들을 배웠다. world|in|exemplary|things|I learned On the other side, there was another world.

그 반대편에는 또 다른 세계가 있었는데 that|on the other side|another|different|world|existed This was a place that followed impulses rather than exemplary things.

모범적인 것보다는 충동적인 것을 따르는 곳이었다. exemplary|than|impulsive|thing|following|was place

싱클레어는 자신의 세상에 만족했지만 Sinclair|his|world|was satisfied Sinclair was satisfied with his own world,

마음 깊은 곳에서는 반대편 heart|deep|in place|opposite side but deep down,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자라고 있었다. the world|about|curiosity|growing|was curiosity about the other world was growing.

그러던 중, 반대편 세계의 크로머를 만나게 되고 그에게 인정받고자 during that time|in the midst of|opposite|of the world|Kromer|I meet|and|to him|in order to be recognized Then, he met Cromer from the other world and wanted to be recognized by him.

도둑질을 하게 된다. stealing|will|happen He becomes a thief.

그때부터 에밀 싱클레어의 세상은 도둑질을 한 죄책감으로 from that time|Emil|Sinclair's|world|of stealing|having|with guilt From that moment, Emil Sinclair's world begins to crumble little by little under the guilt of having stolen.

조금씩 무너지기 시작한다. 그 무렵, little by little|collapsing|begins|that|time Around that time,

학교에 데미안이 전학오게 된다. to the school|Damian|transfer|comes Damian transfers to the school.

싱클레어는 다른 아이들과 달리 Sinclair|other|with children|unlike Unlike other kids, Sinclair

성숙한 데미안을 동경하며 자신이 도둑질한 사실과 크로머를 mature|Demian|longing for|myself|stolen|fact|Kromer admired the mature Demian and confessed that he was afraid of the fact that he had stolen and of Kromer.

두려워하고 있다는 것을 털어놓는다. being afraid|that|thing|confesses Since the theft incident,

도둑질 사건 이후로 theft|incident|after

어린 시절을 거친 싱클레어는 본능적인 충동을 속으로 꾸준히 갈망했다. 그 후 young|childhood|having gone through|Sinclair|instinctive|impulse|inwardly|steadily|longed for|that|after Having gone through childhood, Sinclair consistently yearned for instinctive impulses within.

기숙학교로 학교를 옮기며 to the boarding school|school|transferring Then,

자연스럽게 데미안과도 멀어졌다. 싱클레어는 naturally|with Demian|became distant|Sinclair he moved to a boarding school,

그 곳에서 자신이 살고 있던 세계에서 벗어나 충동적이고 that|place|oneself|living|was|in the world|escaping|impulsive naturally distancing himself from Demian. Sinclair was

방탕한 삶을 살았다. dissolute|life|lived I lived a dissolute life.

그러나 속으로는 그런 자신의 삶에 죄책감을 but|inwardly|such|own|life|guilt However, deep down, I felt guilt about my life.

가지며 때때로 데미안을 떠올리기도 했다. having|sometimes|to Demian|I would think of|I did Sometimes I would think of Demian.

그 무렵의 싱클레어는 꿈 속에 나타나는 한 that|around|Sinclair|dream|in|appearing|one At that time, Sinclair was haunted by a figure that appeared in his dreams.

여인에 심취해있기도 했다. the woman|was infatuated|was He was also infatuated with the woman.

그 여인의 이름은 베아트리체. that|woman's|name|Beatrice The woman's name was Beatrice.

싱클레어는 밤낮으로 그녀를 그리려 노력했으나 Sinclair|day and night|her|to draw|tried Sinclair tried to draw her day and night, but

이상적인 여인의 모습이 완성되어갈수록 ideal|woman's|appearance|as it becomes complete as the image of the ideal woman was being completed,

그것은 데미안과 닮아갔다. it|with Demian|resembled It began to resemble Demian.

싱클레어는 그 그림을 바라보다가 마침내 그림 속의 인물이 베아트리체도, Sinclair|the|picture|while looking at|finally|painting|in|character|Beatrice As Sinclair looked at the painting, he finally realized that the figure in the painting was not Beatrice,

데미안도 아닌 Demian|not nor Demian,

바로 자기 자신과 같음을 느끼게 된다. right|self|with oneself|sameness|makes feel|becomes but rather himself.

완성된 그림을 데미안에게 보낸 후 completed|picture|to Demian|sent|after After sending the completed drawing to Demian,

어느날 싱클레어는 수업 중, one day|Sinclair|class|during one day Sinclair, during class,

자신의 책에 꽂힌 한개의 쪽지를 발견한다. your|in the book|stuck|one|note|discovers discovers a note stuck in his book.

그 쪽지는 데미안에게서 온 그림의 대한 답이었다. that|note|from Demian|that came|picture|regarding|was the answer The note was a response to the drawing from Demian.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한 세계를 깨뜨리지 않으면 안 된다.“ the bird|from the egg|trying to come out|struggles|the egg|is the world|trying to be born|who is|one|one||breaking|unless|not|must "The bird fights to break out of the egg. The egg is the world. Anyone who wants to be born must destroy a world."

헤세는 제1차세계대전 당시 독일 포로후원센터에서 근무하며 Hesse||World War I|during|German|at the prisoner support center|working Hesse worked at a German prisoner support center during World War I,

데미안의 원고를 집필하였다. 이 시기의 헤세는 3번의 결혼과 아버지의 죽음 등 Demian|manuscript|wrote|this|period|Hesse|three|marriages|father's|death|etc where he wrote the manuscript for Demian. During this time, Hesse went through several major crises,

여러가지 큰 위기를 겪어내며 various|big|crises|going through including three marriages and the death of his father.

<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과 <데미안>을 집필하게 된다. 이 작품들은 자전적이며 <Klingjoor>|last|summer|and|||writing|becomes|these|works|autobiographical He will write <The Last Summer of the Klingon> and <Demian>. These works are autobiographical and

내면의 관한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다. inner|about|story|depicting|is depict stories about the inner self.

헤세가 <데미안>의 등장인물인 Hesse|||character Hesse uses the pseudonym

에밀 싱클레어로 가명을 써서 Emil|Sinclair|pseudonym|using Emil Sinclair, a character from <Demian>.

작품을 발표한 점. 그리고 실제 헤세가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나 수도원 학교에 다녔고, the work|presented|point|and|actually|Hesse|of a missionary|as a son|born|monastery|to school|attended The fact that he published his work. And that Hesse was actually born the son of a missionary and attended a monastery school,

시인의 꿈을 안고 도망 친 뒤 the poet|dream|carrying|escape|after|behind after running away with the dream of becoming a poet,

자살기도와 정신병원 suicide attempt|mental hospital experiencing suicide attempts and time in a mental hospital,

수감등 힘든 시기를 겪은 것으로 봤을 때 <데미안>은 단순 소설 imprisonment|difficult|period|experienced|as|seen|when|||simple|novel and going through difficult times, it can be seen that <Demian> is not just a simple novel.

작품이 아닌 헤세가 스스로 내면을 성찰한 the work|not|Hesse|by himself|inner self|reflecting 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n autobiographical work in which Hesse reflects on his own inner self.

자전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autobiographical|work|can|possibility|be It is an autobiographical work.

작품 말미에서 싱클레어는 데미안과 the work|at the end|Sinclair|with Demian At the end of the work, Sinclair is lying wounded in the war, facing the Cromer he had feared so much.

전쟁 통에서 부상을 입고 누워, 그토록 두려워했던 크로머에 war|in|injury|sustaining|lying|so|feared|to the enemy

대한 이야기도 웃으면서 나눌수 있게 된다. about|conversation|while laughing|we can share|be|becomes You can also share stories about the world while laughing.

그리고 얼마의 시간이 지나 눈을 떴을 때 싱클레어는 and|some|time|passed|eye|opened|when|Sinclair And after some time has passed, when he opens his eyes, Sinclair

홀로 어두운 거울 앞에서 데미안과 alone|dark|mirror|in front of|with Demian finds himself facing a completely identical version of Demian,

완전히 똑같아진, 데미안 그 자체의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 completely|identical|Demian|that|of itself|with myself|facing|becomes the very essence of Demian.

우리는 때때로 내가 원하는 내 모습이 무엇인지, we|sometimes|I|wanting|my|appearance|what is Sometimes we don't know what kind of person I want to be,

내 마음이 어떤 지 모를 때가 있다. my|heart|what|is|not knowing|time|there or how my heart truly feels.

또 주어진 것에 안주하거나 also|given|to thing|settling for There are also times when we settle for what we have,

그것에 낙담할 때도 있다. about it|discouraged|sometimes|is or feel discouraged by it.

그러나 또 다른 세계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however|another|different|to the world|approaching|in order to However, in order to approach another world,

지금 자신이 안고 있는 세계를 깨고 나와야 하듯이, now|oneself|embracing|is||breaking|must come out|as if one must break out of the world they are currently holding onto,

내면으로 향하는 길은 자기가 확신했던 것들을 과감하게 내려놓고 inward|heading|path|oneself|was confident about|things|boldly|letting go of the path inward will require boldly letting go of what one was certain of,

다시 질문해야 하는 과정일 것이다. again|have to ask|the|process|will be and it will be a process of questioning again.

SENT_CWT:AO6BvvLW=4.76 PAR_TRANS:gpt-4o-mini=4.66 en:AO6BvvLW openai.2025-02-07 ai_request(all=95 err=0.00%) translation(all=76 err=3.95%) cwt(all=446 err=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