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Мы используем cookie-файлы, чтобы сделать работу LingQ лучше. Находясь на нашем сайте, вы соглашаетесь на наши правила обработки файлов «cookie».

image

5분상식 세계사, 뉴질랜드 마셜제도 오세아니아 몰아보기 (part 1 of 2)

뉴질랜드 마셜제도 오세아니아 몰아보기 (part 1 of 2)

뉴질랜드의 질랜드는 네덜란드 남동부의 제일란트주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네덜란드인 아벨 타스만이 뉴질랜드를 처음 발견했을 때

'새로운 제일란트'라는 의미로

니우제일란트라는 명명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국기 왼쪽 위에는 영연방 국가를 나타내는 유니온잭이 있습니다

오른쪽 아래의 빨간색 오각별 4개는 남십자성이며

진한 파랑은 남태평양을 뜻합니다

별들의 위치는 남태평양에서 뉴질랜드의 위치를 상징합니다

뉴질랜드의 위치는 남태평양의 오스트리아의 남동쪽

약 2,000km 지점에 있으며

2개의 큰 섬과 그 외 여러 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큰 섬 2개는 쿡 해협을 사이에 두고

북섬과 남섬으로 나뉘어집니다

뉴질랜드 전체 인구의 75% 이상이 살고 있는 북섬에서는

수도 웰링턴과 오클랜드 같은 주요 도시가 있으며

남섬에는 서든 알프스를 중심으로 형성된 빙하 지형을 비롯하여

오염되지 않은 자연경관이 아름답게 펼쳐져 있습니다

국토 면적은 약 27만㎢로

우리나라 전체 면적 약 10만㎢의 2.5배보다 큰 면적입니다

인구는 2019년 기준으로 약 48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으며

이는 서울시 인구의 약 천만 명의 절반 정도입니다

뉴질랜드의 1년 총 GDP는 2017년 기준 약 2,000억 달러

이는 세계 51위로

비슷한 수준의 국가로는 페루, 그리스를 꼽을 수 있습니다

인구 구성은 앵글로색슨계 위주의 백인이 약 70%이며

마오리 원주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용어는 마오리어와 영어입니다

종교는 예전에는 개신교 50%, 가톨릭교 15%

그 외 힌두교 등의 종교를 믿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무교인이 많아졌으며

젊은 사람들 중에서는 종교인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뉴질랜드에 사람이 정착한 시기는 10세기에서 11세기 경입니다

가장 처음 뉴질랜드에 정착한 민족은 잘 알려진 바대로 마오리족입니다

이들은 원래 하와이키라는 섬에서 거주하다가

계속되는 전쟁과 부족해진 식량으로 배를 타고 뉴질랜드로 건너오게 되었다고 합니다

마오리족은 뉴질랜드에 정착하여 고구마 농사를 짓고 돼지를 사육하며 살았습니다

1642년 동인도 회사 소속으로

남태평양에서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섬을 찾아보라는 지시를 받은 아벌 타스만이

호주 남부를 항해하다가 뉴질랜드를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처음 뉴질랜드가 유럽 지역에 소개된 지 약 100년이 지난 1769년

영국의 제임스 쿡 선장이 다시 뉴질랜드를 찾았습니다

쿡 선장은 섬의 이름은 영국식인 뉴질랜드로 고쳐 부르기 시작했고

쿡 선장의 탐사 이후 1800년대부터 선교사를 중심으로 한 영국인들의 뉴질랜드 이주가 활발해졌습니다

이 당시의 뉴질랜드는 호주 New South Wales의 식민지의 부속 영토로

고래와 바다표범잡이의 기지로 이용되고 있었습니다

1840년 마오리족은 자신들을 보호해주는 대가로

뉴질랜드의 통치권을 영국에 양도하는 와이탕기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조약으로 뉴질랜드는 1841년부터 공식적으로

New South Wales와 분리된 대영제국의 왕령 식민지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영국의 식민화가 진행됨에 따라 토지 매매와 관련하여 마오리족과의 분쟁이 일어났고

1843년부터 1870년 사이 두 차례에 걸쳐 마오리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양쪽에서 모두 큰 피해를 입었지만 갈등은 원만하게 해결 단계를 밟았고

다시 영국과 마오리족은 공존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그 후 뉴질랜드는 개척이 진전됨에 따라 1907년 영국의 자치국이 되었다가

40년 후인 1947년에 공식적으로 독립하였습니다

현재 뉴질랜드의 국왕은 엘리자베스 2세로

영국 등 타 영역만 왕국들과 국왕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자치적인 정치 체제는 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으로

임기 5년의 총독은 국가원수인 영국 국왕의 대행자 역할을 하지만

명목일 뿐이며 실질적인 권한은 총리가 행사합니다

뉴질랜드 총선은 3년에 한번 이뤄지며

총리와 의원들의 임기 역시 3년입니다

의회는 양원제로 출발하였으나 1951년 이후 단원제가 되었으며

임기 3년에 의원 120명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보수 성향의 국민당과 진보 성향의 노동당이 두 거대 정당이 번갈아 내각을 구성하고

그 밖의 세력인 미미한 소수 정당이 존재합니다

뉴질랜드는 스웨덴, 노르웨이에 이어 세계 3대 복지 국가로 뽑힙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영국은 선진화된 복지 제도를 영국 본토에 적용하기 전에

호주와 뉴질랜드를 대상으로 미리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그 덕에 뉴질랜드는 일찍부터 제도적으로 정리된 복지 제도를 실행할 수 있었고

주민들의 평등 의식이 높아졌습니다

이런 사회적 토대를 바탕으로 뉴질랜드는 세계 최초로 양로 연금제도를 실시하고

완전 고용과 실업 수당 제도, 무상 의료, 대학까지 무상 교육 제도 등

발전된 사회 부담 제도를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뉴질랜드는 농업과 목축업이 고도로 발달된 나라입니다

전국 터의 54%가 목촌인 뉴질랜드는

양 6천만 마리, 소 7백만 마리 이상이 방목되는 세계 최대의 목장입니다

주로 양고기, 소고기, 버터, 치즈 생산으로 유명하며

뉴질랜드의 Fonterra는 세계에서 가장 큰 낙농업 기업이기도 합니다

특히 양목, 낙농품, 육류의 생산과 수출은

뉴질랜드 경제의 뼈대를 이루고 있는데요

뉴질랜드는 우유, 치즈, 버터 등

낙농 제품의 80%를 수출하는 세계 1위의 유제품 수출 국가이며

노동 인구의 25% 이상이 농축산물 가공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생산량도 세계 최대 규모지만

질적으로도 매우 우수해서 뉴질랜드의 양과 육류는 세계적으로도 명성이 자자하다고 합니다

환경을 중시한 뉴질랜드의 산업은 사람과 자연의 공존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뉴질랜드는 석탄 자원이 풍부하게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 오염을 일으키는 화석 연료 대신 수력 발전과 지열 발전으로

전체 전력의 90%를 생산하는 친환경 에너지 국가입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오염되지 않은 천연자원으로 인해 여러 영화의 배경지가 되었고

이는 매년 수많은 관광객들이 뉴질랜드를 찾게 만들어 관광 산업의 발전을 불러왔습니다

뉴질랜든 환태평양 조선대에 속하는 섬나라로

북섬과 남섬 2개의 큰 섬과 여러 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형이 험준하고 화산과 지진이 많습니다

오클랜드와 웰링턴과 같은 대도시가 많은 북섬은

현대화가 잘 되어 있는 편에 속하지만

남섬은 빅토리아 시대 이후 개발이 잘 되지 않아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북섬은 화산이 많은 화산지대인 반면

남섬은 빙하 지대가 많아 높은 산들과 절벽, 호수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른 바 북섬은 불의 섬, 남섬은 얼음의 섬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뉴질랜드는 남반구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한국과는 계절이 정반대입니다

남태평양 한 가운데 떠 있는 섬이다 보니

전반적으로 온화하고 습한 서안해양성기후를 나타냅니다

지형이 복잡하여 면적이 그리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에 따른 기온차가 큰 편이라고 합니다

변화무쌍한 날씨와 특이한 지형 덕분에

쌍무지개를 자주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뉴질랜드는 다른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이라는 특성 때문에

생태계 구성이 독특합니다

대표적으로 사람이 이주하기 전까지 뉴질랜드에서는 박쥐가 유일한 포유류였습니다

뉴질랜드에는 뱀을 비롯한 파충류도 서식하지 않았습니다

사람이 정착해 살기 시작하면서 여러 가축들이 뉴질랜드에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뉴질랜드에서만 서식하는 뉴질랜드의 국조 키위나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사는 앵무새인 카카포는

이러한 독특한 생태계에 맞춰 진화하면서 비행 능력이 퇴화되어 날지 못하는 조류입니다

뉴질랜드의 웅장한 대자연은 영화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피터 잭슨 감독의 반지의 제왕의 촬영지로도 유명하죠?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그 배경으로 등장한 뉴질랜드의 자연 역시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뉴질랜드는 반지의 제왕 성공 이후

킹콩, 나니아 연대기, 엑스맨4, 라스트 사무라이 등

여러 영화가 촬영되었는데요

이 배경에는 세계적 수준의 뉴질랜드의 영상 산업뿐 아니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뉴질랜드는 자타공인 럭비 세계 최강국입니다

팀은 대체적으로 원주민인 마오리족과 백인이 적절하게 조합되어 있는데요

선수들 몸무게는 대체적으로 100kg에 육박할 정도로 체구가 엄청나다고 합니다

럭비 종주국인 영국은 물론 매년 유럽 순회를 돌며 스포츠 국위 선양을 제대로 하고 있습니다

1987년에 열린 제1회 럭비 월드컵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습니다

전 국민의 사랑을 받고 있는 국가 스포츠답게

뉴질랜드에는 세계 최초로 럭비 전문 박물관을 건립하여

세계적으로 희귀한 초기 럭비 장비를 포함하여

럭비에 관련된 방대한 기록과 자료를 소장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에서 유명한 인물로는 1996년 태생의 싱어송라이터 로드가 있습니다

본명은 엘라 마리야 라니 옐리치오코너로

오클랜드 대먼 포트에서 태어나고 자라났습니다

로드는 어렸을 적부터 가수가 되기 위해 음악 공부와 훈련을 소화하여

13살 때 유니버셜 뮤직 그룹과 계약을 맺게 됩니다

로드는 2012년 16살의 나이에 첫 데뷔 음반을 발매했으며

첫 싱글 Royals는 뉴질랜드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고

다음 해에 뉴질랜드 출신 가수 중 최초로 빌보드 HOT 100에 1위를 차지하게 됩니다

그녀는 Alternatives, 아트, 팝 계통의 음악을 하며

미니멀한 구성의 독특한 그루브감과 멜로디

그리고 무엇보다도 특유의 창법과 음색으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였습니다

미니멀하고 아방가르드한 음악 스타일과는 다르게

가사는 다소 직설적인 감정이나 팝 문화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어린 나이에도 로드는 아티스트로서 큰 인정을 받고 있는데요

특히 음악 평론계에서는 로드의 음악이 나이에 비해 가사에 깊이가 있으면서도

세상에 대한 불만을 10대 특유의 감성으로 잘 들어낸다고 호평이 많았습니다

로드는 영화 헝거게임의 OST를 부른 걸로도 유명하며

2019년 기준 20대 초반의 나이로 현재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마셜 제도로 알려진 국가의 정식 명칭은

Repubic of the Marshall Islands, 마셜 제도 공화국입니다

오세아니아의 태평양 중수부에 있는 섬나라로 수도는 마주로입니다

마셜 제도의 국기는 미국의 신탁 통치령으로 있던

1979년 5월 1일 자치 정부 수립과 동시에 제정되었습니다

국기의 바탕은 파랑색이고

깃대 왼쪽 하단에서부터 오른쪽 상단까지 주황색과 하얀색 대각선이 그려져 있습니다

왼쪽 상단에는 24개의 빛을 가진 하얀색 별이 그려져 있습니다

파란색은 태평양을 하얀색은 일출과 평화를

주황색은 일몰과 용기를 의미합니다

하얀색 별은 북반구 바로 위에 위치한 군도임을 나타내며

24개의 빛은 24개의 자치 구역을

그 중 4개의 긴 빛은 마셜 제도를 구성하는 4개의 가장 큰 섬을 의미합니다

호주의 서쪽 태평양에 위치한 마셜 제도의 국토 면적은

약 180㎢로 세계 215위이며

이는 세계에서 7번째로 작은 국가이며

강원도 동해시의 면적 180㎢와 비슷합니다

마셜 제도는 2017년 기준으로 약 5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으며

인구수로 세계 51위이며

이는 동해시 인구의 절반 정도 수준입니다

마셜 제도의 1년 총 GDP는 2018년 기준 약 2억 달러

이는 세계 180위로

비슷한 GDP 수준의 국가로는 키리바시가 있습니다

마셜 제도의 주민의 대다수는 미크로네시아계 원주민으로

공용어로는 마샬어와 영어를 사용합니다

종교는 대부분이 그리스도 관련 교회이며

그 외 로마카톨릭과 토착 종교를 믿습니다

마셜 제도의 역사입니다

1만 2천년 전 찬란한 문명을 꽃피웠던 뮤 대륙이

화산 폭발로 잠긴 후 살아남은 곳이라는 전설이 내려오는 마셜 제도는

약 2천 년 전부터 인류가 살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마셜 제도는 1520년대쯤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의해 처음으로 세계에 알려졌고

1788년에 섬을 발견한 영국의 선장 존 마셜이

자신의 이름을 따 섬의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1592년부터 스페인의 지배를 받아온 마셜 제도는

1885년 스페인이 이 섬들을 모두 독일에 팔아버리면서

독일령 뉴기니에 합병되었습니다

1차세계대전 이후인 1921년부터는

일본의 위임통치령이 되었다가

2차세계대전 이후인 1947년부터는

UN의 위임을 받은 미국의 신탁통치령이 되었습니다

마셜 제도는 2차대전 당시 태평양 전역의 주요 전장 중 하나였습니다

특히 1946년

미국은 비키니섬에서 처음으로 원자 폭탄 실험을 시작했고

이웃섬인 애니메톡섬에서도 미국의 핵실험이 실행되어

이 때문에 주민들은 다른 곳으로 이주해야 했습니다

1946년부터 58년까지

12년 동안 총 67 차례의 핵실험이 있었는데

이 결과 3개의 섬이 없어지고 그 외의 많은 섬들이 일부가 파괴되는 등 피해가 심각했다고 합니다

1965년부터 마셜 제도를 포함한 미크로네시아 일대에 대한 독립 운동이 심화되었고

1973년 마셜 제도는 미크로네시아 의회에서 탈퇴하면서

자체적인 독립운동을 시작했습니다

마셜 제도는 1979년 헌법 제정과 함께 자치 정부를 수립하여

아마타 카부아 대통령이 취임했습니다

1982년 마셜 제도 공화국은 미국과의 자유 연합 협정을 체결하였고

1986년 협정이 발효되면서 사실상 독립을 이루게 됩니다

내전과 외교는 독자적으로 수행하지만

국가 안보는 미국에게 위임하는 형식이었고

마셜 제도는 미군 기지 유지를 허용하는 대가로

2001년까지 14년간 매년 3천만 달러의 원조를 받았습니다

1991년 9월 마셜 제도는 UN에 정식 가입하면서

국제적으로도 국가로 인정받았습니다

1979년 5월에 제정된 헌법에 따라 마셜 제도 공화국은

미국과 협약을 맺은 대통령제 공화국입니다

임기 4년에 의원 33명으로 구성된 단원제 의회에서

의원 중 한 명을 마셜 제도의 국가 원수이자 행정 수반인 대통령으로 선출합니다

2019년 현재 마셜 제도의 대통령은

2016년부터 역임해온 8대 대통령인 힐다 하이네입니다

그녀는 젊은 시절 고등학교 교사 출신으로 마셜 제도의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기도 합니다

또한 전통 추장들로 구성되는 추장 회의는 국정에 대한 자문 역할을 수행합니다

마셜 제도의 경제는 정도 주도산업이 절대다수로 차지하며

민간 산업의 육성이 많이 부족한 편입니다

국가 예산의 60%가 미국의 원조로 이루어질 정도로

미국으로부터 받는 경제 원조가 국내 총생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또한 미국에게 전략적 군사 기지를 제공하여 그 대가로 토지료를 받습니다

마셜 제도는 파나마, 라이베리아와 함께 대표적인 편의치적국입니다

편의치적이란 선주가 자신의 선박을

자국이 아닌 제3국의 국적으로 등록하는 것을 말하며

선주가 자국으로부터 간섭을 피하는 방법입니다

편의치적국은 선주에게 국적을 빌려주는 대신 수수료를 받습니다

마셜 제도는 남태평양의 다른 나라들처럼 인광석, 코코넛 등을 수출하며

관광업 또한 주요 수입원 중 하나입니다

주요 생산 작물로는 빵나무 열매, 바나나, 타로 등이 있으며

건조한 코코넛을 압착하여 만드는 코프라 오일과 참치는

마셜 제도의 수출 품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원도 부족하고 자체적인 사업은 거의 전무한 수준으로

수출보다 수입이 훨씬 많아 만성적인 무역적자를 겪고 있습니다

경제난을 해소하기 위해 2018년 마셜 제도는

베네수엘라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국가의 공식 통화를 암호화폐인 소버린으로 바꾸는 법안을 시행하였으나

IMF에 의해 제동이 걸린 바 있습니다

마셜 제도는 31개의 산호섬과 그 외 1,200여 개의 섬과 환초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발 고도는 거의 해수면에 가깝습니다

마셜 제도를 이루고 있는 섬들은 대부분 크기가 매우 작은 섬들로

23개의 섬에만 사람이 거주하며 나머지는 무인도입니다

전체 해역은 168만㎢에 달하지만

육지의 총면적은 약 180㎢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전체적으로 열대우림 기후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8도 내외입니다

1월부터 3월까지가 건조한 계절이고

10월부터 11월까지 비가 가장 많이 내립니다

100여 종이 넘는 산호가 자생하고 있는 마셜 제도는

250여 종의 어류와 지구상에 서식하는 5종류의 거북이 모두 발견되는 곳입니다

고래와 돌고래는 물론

30여 종의 물새를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군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마셜 제도는 서구적 시장 경제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는 부속 중심적이며 모계사회의 전통이 남아있습니다

각 섬의 모든 땅은 이로이지라고 불리는 족장이 소유하며

자원의 분배와 활용, 분쟁 해결에 대한 강력한 권한을 가집니다

남성들은 주로 어업과 카누 제작 등 바다에 관한 일을 담당하고 있으며

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 탓에 주로 고기와 해물로만 요리를 해 먹는데

가장 흔한 생선은 참치라고 합니다

마셜의 대표적인 수공에품은 카누라고 합니다

길이가 30m나 되는 Walap 카누는 한 번에 40명까지 태울 수 있으며

한 달 정도는 육지에 들리지 않고 바다를 항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날렵한 팀놀 카누는

산호초 사이사이를 누비며 낚시하기에 적합하게 만들어졌습니다

마셜 제도의 수도인 마주로에서는 매년 여러 차례 낚시 토너먼트 축제가 열립니다

가장 큰 대회는 11월 넷째 주 화요일에 열리는 대회인데

많은 섬에서 낚시에 자신 있는 사람들이 몰려들어 성황을 이룬다고 합니다

마셜 제도에서 잘 알려진 인물로는 로만 크레스가 있습니다

그는 마셜 제도에서 가장 빠른 사람으로 전직 육상 선수였습니다

1977년 로만 크레스는

마셜 제도 섬들 중 하나인 카벤에서 태어난 원주민 어머니와

평화봉사단 자원 봉사로 카벤에서 활동하는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려서부터 달리기에 재능을 보였던 크레스는

육상 훈련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Learn languages from TV shows, movies, news, articles and more! Try LingQ for FREE

뉴질랜드 마셜제도 오세아니아 몰아보기 (part 1 of 2) Neuseeland|Marshallinseln|Ozeanien|Marathon|| New Zealand|Marshall Islands|Oceania|overview|| Neuseeland Marshallinseln Ozeanien-Gelage (Teil 1 von 2) Nueva Zelanda Islas Marshall atracón de Oceanía (parte 1 de 2) Nuova Zelanda, Isole Marshall, Oceania (parte 1 di 2) ニュージーランド・マーシャル諸島・オセアニアまとめ買い (part 1 of 2) Nowa Zelandia, Wyspy Marshalla, Oceania (część 1 z 2) Nova Zelândia Ilhas Marshall Oceânia (parte 1 de 2) Новая Зеландия Маршалловы острова Океания (часть 1 из 2) Yeni Zelanda Marshall Adaları Okyanusya alemleri (bölüm 1 / 2) Нова Зеландія Маршаллові острови Океанія (частина 1 з 2) 新西兰 马绍尔群岛 大洋洲 狂欢(第 1 部分,共 2 部分) 紐西蘭 馬紹爾群島 大洋洲 狂看(第 1 部分,共 2 部分) New Zealand and the Marshall Islands: An Overview of Oceania (part 1 of 2)

뉴질랜드의 질랜드는 네덜란드 남동부의 제일란트주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Neuseelands|Zieland|Niederlande|südöstlichen|Zeeland Province|vom Namen|stammt ab of New Zealand|Zealand|Netherlands|southeastern|of Zeeland|from the name|is derived Das neuseeländische Zeeland ist nach der Provinz Zeeland im Südosten der Niederlande benannt The name Zealand in New Zealand is derived from the name of the province of Zeeland in the southeastern Netherlands.

네덜란드인 아벨 타스만이 뉴질랜드를 처음 발견했을 때 |Abel|Tasman|||entdeckt hatte| Dutch|Abel|Tasman|New Zealand|first|discovered|when When the Dutchman Abel Tasman first discovered New Zealand,

'새로운 제일란트'라는 의미로 new'|| it is said that he named it 'New Zealand' meaning 'New Zeeland'.

니우제일란트라는 명명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benannten||überliefert New Zealand|named|as|is reported This naming is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that.

국기 왼쪽 위에는 영연방 국가를 나타내는 유니온잭이 있습니다 Nationalflagge|links||Commonwealth|Staaten||Union Jack| flag|left|on top|Commonwealth|nation|representing|Union Jack|is In the top left corner of the flag is the Union Jack, representing the Commonwealth countries.

오른쪽 아래의 빨간색 오각별 4개는 남십자성이며 |unten|rot|fünfzackiger Stern||Southern Cross right|below|red|pentagram|4|Southern Cross The four red pentagrams in the bottom right represent the Southern Cross.

진한 파랑은 남태평양을 뜻합니다 |blau|Südlicher Pazifik| deep|blue|South Pacific|means The dark blue represents the South Pacific.

별들의 위치는 남태평양에서 뉴질랜드의 위치를 상징합니다 der Sterne|position|Südlicher Pazifik||Stellung|symbolisiert the stars|position|in the South Pacific|of New Zealand|position|symbolizes The position of the stars symbolizes the location of New Zealand in the South Pacific.

뉴질랜드의 위치는 남태평양의 오스트리아의 남동쪽 |||Österreichs|südöstlich New Zealand|location|in the South Pacific|of Austria|southeast The location of New Zealand is southeast of Australia in the South Pacific.

약 2,000km 지점에 있으며 ||Stelle| about|2000 kilometers|at point|is located It is located about 2,000 km away.

2개의 큰 섬과 그 외 여러 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nd islands||und||||Inseln|besteht aus| two|large|islands|those|other|several|of|small|islands|consist|are Sie besteht aus zwei großen Inseln und mehreren kleineren Inseln It consists of two large islands and several smaller islands.

큰 섬 2개는 쿡 해협을 사이에 두고 |||Cook|Meerenge||zwischen large|island|two|Cook|strait|between|separating The two large islands are separated by the Cook Strait.

북섬과 남섬으로 나뉘어집니다 Nordinsel und||wird geteilt northern island|southern island|is divided They are divided into the North Island and the South Island.

뉴질랜드 전체 인구의 75% 이상이 살고 있는 북섬에서는 |gesamt|der Bevölkerung|mehr als|||Nordinsel New Zealand|entire|population||living|in|in the North Island More than 75% of New Zealand's total population lives on the North Island.

수도 웰링턴과 오클랜드 같은 주요 도시가 있으며 Hauptstadt|Wellington und|Auckland||wichtigen|| capital|Wellington|Auckland|like|major|cities|there are Es gibt Großstädte wie die Hauptstadt Wellington und Auckland, und There are major cities such as the capital Wellington and Auckland.

남섬에는 서든 알프스를 중심으로 형성된 빙하 지형을 비롯하여 Süden|schnell|Alpen|im Zentrum von|gebildeten|Gletscher|Gletscherlandschaft|unter anderem in the South Island|Southern|Alps|centered around|formed|glacial|terrain|including The South Island features glacial landscapes centered around the Southern Alps.

오염되지 않은 자연경관이 아름답게 펼쳐져 있습니다 unverunreinigt||Naturlandschaft|schön|| unpolluted|not|natural scenery|beautifully|is spread out|exists Unpolluted natural scenery unfolds beautifully.

국토 면적은 약 27만㎢로 Landfläche|Fläche||| national territory|area|approximately|| The total land area is about 270,000 square kilometers.

우리나라 전체 면적 약 10만㎢의 2.5배보다 큰 면적입니다 |gesamt|||||twice||Fläche our country|entire|area|approximately|||25 times|larger|area This is 2.5 times larger than the total area of our country, which is about 100,000 square kilometers.

인구는 2019년 기준으로 약 48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으며 Bevölkerung||Basisjahr||||Bevölkerung|| the population|in 2019|based on|approximately|48 million|people|population|living|is Im Jahr 2019 leben dort rund 4,8 Millionen Menschen mit einer The population is about 4.8 million as of 2019.

이는 서울시 인구의 약 천만 명의 절반 정도입니다 |Stadt Seoul|||zehn Millionen||Hälfte|ungefähr this|Seoul|of the population|about|ten million|people|half|approximately Das ist etwa die Hälfte der Bevölkerung von Seoul mit rund 10 Millionen Einwohnern. This is about half of the population of Seoul, which is around 10 million.

뉴질랜드의 1년 총 GDP는 2017년 기준 약 2,000억 달러 New Zealand|1 year|total|GDP|in 2017|based on|approximately|200 billion|dollars New Zealand's total GDP for one year is approximately 200 billion dollars as of 2017.

이는 세계 51위로 ||zur Welt this|world|51st This ranks 51st in the world.

비슷한 수준의 국가로는 페루, 그리스를 꼽을 수 있습니다 |||Peru|Griechenland|nennen|| similar|level|countries|Peru|Greece|can be cited|counted|are Countries with a similar level include Peru and Greece.

인구 구성은 앵글로색슨계 위주의 백인이 약 70%이며 |Zusammensetzung ist|angelsächsischer Herkunft|vorwiegend|Weißer|| population|composition|Anglo-Saxon|predominantly|white|about|is approximately 70% The population composition is about 70% white, primarily of Anglo-Saxon descent,

마오리 원주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Maori|Ureinwohner|unter anderem|besteht| Maori|indigenous|such as|composed|are and includes indigenous Maori people,

공용어는 마오리어와 영어입니다 Amtssprache ist|Maori-Sprache und|Englisch the official language|Maori|is English with the official languages being Maori and English.

종교는 예전에는 개신교 50%, 가톨릭교 15% die Religion||Protestantism|Katholizismus the religion|in the past|Protestant|Catholic In the past, the religious composition was 50% Protestant and 15% Catholic,

그 외 힌두교 등의 종교를 믿었으나 |and others|Hinduismus|und ähnlichen|Religion|believed that|other|Hinduism|and other|religions|believed with other religions such as Hinduism also being practiced.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무교인이 많아졌으며 |||Nichtgläubige| time|as it passes|gradually|non-religious people|increased As time goes by, the number of non-religious people has gradually increased.

젊은 사람들 중에서는 종교인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Religiöse Person||| young|people|among|religious person|almost|there are not| It is said that there are almost no religious people among young people.

뉴질랜드에 사람이 정착한 시기는 10세기에서 11세기 경입니다 Neuseeland||siedelten sich an|Zeitpunkt|Jahrhundert||um die 10 bis 11 Jahrhundert in New Zealand|people|settled|time|in the 10th century|11th century|around Neuseeland wurde erstmals im 10. und 11. Jahrhundert besiedelt. The period when people settled in New Zealand was around the 10th to 11th century.

가장 처음 뉴질랜드에 정착한 민족은 잘 알려진 바대로 마오리족입니다 |||ansässig|die Ethnie||bekannt|bekannten|Maori the most|first|in New Zealand|settled|ethnicity|well|known|as|Maori people Die ersten Menschen, die sich in Neuseeland niederließen, waren bekanntlich die Maori. The first ethnic group to settle in New Zealand, as is well known, is the Māori.

이들은 원래 하와이키라는 섬에서 거주하다가 sie||Hawaiiki|Insel|wohnen they|originally|called Hawaii|on the island|were living They originally lived on an island called Hawaiki.

계속되는 전쟁과 부족해진 식량으로 배를 타고 뉴질랜드로 건너오게 되었다고 합니다 fortdauernd|Krieg und|depleted|Nahrung|||Neuseeland|überkommen|geworden ist| continuing|war|dwindling|food|by boat|riding|to New Zealand|crossing|was said|is It is said that they crossed over to New Zealand by boat due to the ongoing war and dwindling food supplies.

마오리족은 뉴질랜드에 정착하여 고구마 농사를 짓고 돼지를 사육하며 살았습니다 ||siedelten sich an|Süßkartoffeln|Landwirtschaft|anbauen||züchten| the Maori tribe|in New Zealand|settled|sweet potato|farming|growing|pigs|raising|lived The Māori people settled in New Zealand, farming sweet potatoes and raising pigs.

1642년 동인도 회사 소속으로 |Ostindien||zugehörig zu 1642|East India|company|belonging to In 1642, as part of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남태평양에서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섬을 찾아보라는 지시를 받은 아벌 타스만이 im Südpazifik|noch nicht|nicht entdeckt|||Insel||Anweisung||| in the South Pacific|still|not discovered|not|new|island|to search for|instruction|received|Abel|Tasman Abel Tasman, who was instructed to search for new islands in the South Pacific that had not yet been discovered,

호주 남부를 항해하다가 뉴질랜드를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Süden|segeln nach|Neuseeland||entdeckt Australia|southern|while sailing|New Zealand|for the first time|discovered Ich habe Neuseeland zum ersten Mal entdeckt, als ich um den Süden Australiens segelte. first discovered New Zealand while sailing along the southern coast of Australia.

처음 뉴질랜드가 유럽 지역에 소개된 지 약 100년이 지난 1769년 |Neuseeland|||||||| first|New Zealand|European|region|introduced|since|about|100 years|passed|year 1769 About 100 years after New Zealand was first introduced to Europe, in 1769,

영국의 제임스 쿡 선장이 다시 뉴질랜드를 찾았습니다 britischen|James||Captain Cook||| British|James|Cook|captain|again|New Zealand|visited British Captain James Cook returned to New Zealand.

쿡 선장은 섬의 이름은 영국식인 뉴질랜드로 고쳐 부르기 시작했고 |der Kapitän|Insel des||britisch||ändern|nennen|begann Cook|captain|island|name|British|to New Zealand|corrected|calling|began Captain Cook began to refer to the islands by the British name, New Zealand,

쿡 선장의 탐사 이후 1800년대부터 선교사를 중심으로 한 영국인들의 뉴질랜드 이주가 활발해졌습니다 |Captain's|Erforschung|after|Jahrzehnten von|Missionare|zentral|||||lebendig wurde Cook|captain's|exploration|after|from the 1800s|missionaries|centered around|of|British|New Zealand|migration|became active Nach den Entdeckungen von Kapitän Cook begann die britische Besiedlung Neuseelands in den 1800er Jahren, hauptsächlich durch Missionare. and after Captain Cook's exploration, the migration of British people to New Zealand, centered around missionaries, became active from the 1800s.

이 당시의 뉴질랜드는 호주 New South Wales의 식민지의 부속 영토로 |damaligen|Neuseeland war|||||Kolonie|Anhang|Territorium von this|of time|New Zealand|Australia|New|South|Wales|colonial|attached|territory At that time, New Zealand was an annexed territory of the Australian colony of New South Wales.

고래와 바다표범잡이의 기지로 이용되고 있었습니다 Walen und|Seehundjäger|Basis|| the whale|of the seal hunting|as a base|being used|was It was used as a base for whaling and seal hunting.

1840년 마오리족은 자신들을 보호해주는 대가로 ||sich selbst|schützenden|Gegenleistung in 1840|the Maori tribe|themselves|protecting|in exchange for In 1840, the Māori signed the Treaty of Waitangi, in exchange for protection.

뉴질랜드의 통치권을 영국에 양도하는 와이탕기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Regierungsgewalt||übertragen|Waihangi-Vertrag|Vertrag|unterzeichnet New Zealand|sovereignty|to Britain|transferring|Waitangi|treaty|was signed This treaty ceded the sovereignty of New Zealand to the British.

이 조약으로 뉴질랜드는 1841년부터 공식적으로 |Vertrag||ab 1841|offiziell this|treaty|New Zealand|from 1841|officially As a result of this treaty, New Zealand officially became a royal colony of the British Empire, separate from New South Wales, starting in 1841.

New South Wales와 분리된 대영제국의 왕령 식민지가 되었습니다 |||getrennten|Vereinigtes Königreich|Royal decree|Kolonie| 새로운|남쪽|웨일즈와|분리된|대영제국의|왕령|식민지가|되었습니다

하지만 영국의 식민화가 진행됨에 따라 토지 매매와 관련하여 마오리족과의 분쟁이 일어났고 but|British|colonization|proceeding|according to|land|sale|regarding|with the Maori|dispute|arose However, as British colonization progressed, disputes arose regarding land sales with the Māori.

1843년부터 1870년 사이 두 차례에 걸쳐 마오리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from 1843|1870|between|two|times|over|Maori|war|broke out Between 1843 and 1870, the Māori Wars broke out twice.

양쪽에서 모두 큰 피해를 입었지만 갈등은 원만하게 해결 단계를 밟았고 from both sides|all|significant|damage|suffered|conflict|amicably|resolution|stage|was taken Both sides suffered significant damage, but the conflict moved towards a peaceful resolution.

다시 영국과 마오리족은 공존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again|with the British|Maori people|coexistence|continue|possibility|was Once again, the British and the Māori were able to coexist.

그 후 뉴질랜드는 개척이 진전됨에 따라 1907년 영국의 자치국이 되었다가 that|after|New Zealand|settlement|as progress|according to|in 1907|British|dominion|became After that, as settlement in New Zealand advanced, it became a self-governing dominion of Britain in 1907.

40년 후인 1947년에 공식적으로 독립하였습니다 40 years|later|in 1947|officially|became independent Officially gained independence in 1947, 40 years later.

현재 뉴질랜드의 국왕은 엘리자베스 2세로 currently|of New Zealand|king|Elizabeth|II Currently, the King of New Zealand is Elizabeth II.

영국 등 타 영역만 왕국들과 국왕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United Kingdom|etc|other|territories|kingdoms|monarch|sharing|are It shares kingdoms and kings with other territories such as the UK.

자치적인 정치 체제는 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으로 autonomous|political|system|parliamentary|constitutional monarchy The autonomous political system is a parliamentary constitutional monarchy.

임기 5년의 총독은 국가원수인 영국 국왕의 대행자 역할을 하지만 term|of 5 years|governor|head of state|British|king's|representative|role|but The Governor-General, with a term of 5 years, acts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British monarch, who is the head of state.

명목일 뿐이며 실질적인 권한은 총리가 행사합니다 nominal|only|substantive|authority|prime minister|exercises It is nominal, and the actual authority is exercised by the Prime Minister.

뉴질랜드 총선은 3년에 한번 이뤄지며 New Zealand|general election|every 3 years|once|takes place New Zealand's general elections are held every three years.

총리와 의원들의 임기 역시 3년입니다 the prime minister|of the members|term|also|is 3 years The terms of the Prime Minister and members of Parliament are also three years.

의회는 양원제로 출발하였으나 1951년 이후 단원제가 되었으며 the parliament|as a bicameral system|started|in 1951|after|a unicameral system|became The Parliament started as a bicameral system but became unicameral after 1951.

임기 3년에 의원 120명으로 구성되었습니다 term|for 3 years|members|120|was composed of It consists of 120 members with a term of three years.

보수 성향의 국민당과 진보 성향의 노동당이 두 거대 정당이 번갈아 내각을 구성하고 conservative|oriented|National Party|progressive||Labor Party|two|major|parties|alternately|cabinet|forming The conservative National Party and the progressive Labour Party take turns forming the cabinet.

그 밖의 세력인 미미한 소수 정당이 존재합니다 the|outside|force|insignificant|minority|party|exists There are also minor parties that are a small force.

뉴질랜드는 스웨덴, 노르웨이에 이어 세계 3대 복지 국가로 뽑힙니다 New Zealand|Sweden|Norway|following|world|top 3|welfare|countries|is chosen New Zealand is ranked as one of the top three welfare states in the world, following Sweden and Norway.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영국은 선진화된 복지 제도를 영국 본토에 적용하기 전에 19th century|at the end of|20th century|early|Britain|advanced|welfare|system|British|mainland|applying|before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before applying advanced welfare systems to the British mainland,

호주와 뉴질랜드를 대상으로 미리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Australia|New Zealand|targeting|in advance|experiment|was conducted Britain conducted experiment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그 덕에 뉴질랜드는 일찍부터 제도적으로 정리된 복지 제도를 실행할 수 있었고 that|thanks to|New Zealand|from early on|institutionally|organized|welfare|system|implementing|possibility|was Thanks to this, New Zealand was able to implement a well-organized welfare system early on,

주민들의 평등 의식이 높아졌습니다 the residents|equality|consciousness|has increased and the residents' sense of equality has increased.

이런 사회적 토대를 바탕으로 뉴질랜드는 세계 최초로 양로 연금제도를 실시하고 this|social|foundation|based on|New Zealand|world|first|elderly|pension system|implemented Based on this social foundation, New Zealand was the first in the world to implement a pension system for the elderly,

완전 고용과 실업 수당 제도, 무상 의료, 대학까지 무상 교육 제도 등 full|employment|unemployment|benefits|system|free|healthcare|up to university|free|education|system|etc as well as a full employment and unemployment benefit system, free healthcare, and free education up to university level.

발전된 사회 부담 제도를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developed|society|burden|system|have|possibility|able|became This allowed for the development of advanced social burden systems.

뉴질랜드는 농업과 목축업이 고도로 발달된 나라입니다 New Zealand|agriculture|livestock farming|highly|developed|country New Zealand is a country with highly developed agriculture and livestock farming.

전국 터의 54%가 목촌인 뉴질랜드는 national|area|54%|rural|New Zealand With 54% of the national territory being pasture, New Zealand is

양 6천만 마리, 소 7백만 마리 이상이 방목되는 세계 최대의 목장입니다 sheep|60 million|heads|cattle|7 million|heads||being grazed|world|largest|ranch the world's largest farm, with over 60 million sheep and more than 7 million cattle grazing.

주로 양고기, 소고기, 버터, 치즈 생산으로 유명하며 mainly|lamb|beef|butter|cheese|in production|is famous for It is mainly known for its production of lamb, beef, butter, and cheese.

뉴질랜드의 Fonterra는 세계에서 가장 큰 낙농업 기업이기도 합니다 New Zealand|Fonterra|in the world|largest|big|dairy|company|is New Zealand's Fonterra is also the largest dairy company in the world.

특히 양목, 낙농품, 육류의 생산과 수출은 especially|wool|dairy products|of meat|production and|export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and export of wool, dairy products, and meat are

뉴질랜드 경제의 뼈대를 이루고 있는데요 New Zealand|economy|backbone|forming|is the backbone of the New Zealand economy.

뉴질랜드는 우유, 치즈, 버터 등 New Zealand|milk|cheese|butter|etc New Zealand exports 80% of its dairy products such as milk, cheese, and butter,

낙농 제품의 80%를 수출하는 세계 1위의 유제품 수출 국가이며 dairy|products|80%|exporting|world|number one|dairy products|export| making it the world's number one exporter of dairy products.

노동 인구의 25% 이상이 농축산물 가공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labor|of the population||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in the processing industry|are engaged|is More than 25% of the labor force is engaged in the processing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생산량도 세계 최대 규모지만 production volume|world|largest|in scale The production volume is the largest in the world,

질적으로도 매우 우수해서 뉴질랜드의 양과 육류는 세계적으로도 명성이 자자하다고 합니다 qualitatively|very|excellent|of New Zealand|sheep|meat|globally|reputation|is well-known| and qualitatively, New Zealand's dairy and meat are said to be renowned globally.

환경을 중시한 뉴질랜드의 산업은 사람과 자연의 공존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습니다 the environment|valuing|of New Zealand|industry|with people|of nature|coexistence|pursuing|direction|has developed New Zealand's industry, which values the environment, has developed in a direction that seeks coexistence between people and nature.

대표적인 예로 뉴질랜드는 석탄 자원이 풍부하게 있음에도 불구하고 representative|as an example|New Zealand|coal|resources|abundantly|despite|in spite of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at despite having abundant coal resources,

대기 오염을 일으키는 화석 연료 대신 수력 발전과 지열 발전으로 atmosphere|pollution|causing|fossil|fuel|instead of|hydro|power generation and|geothermal|power generation it opts for hydropower and geothermal energy instead of fossil fuels that cause air pollution.

전체 전력의 90%를 생산하는 친환경 에너지 국가입니다 entire|of electricity|90%|producing|eco-friendly|energy|country It is an eco-friendly energy country that produces 90% of its total power.

이러한 노력의 결과 오염되지 않은 천연자원으로 인해 여러 영화의 배경지가 되었고 such|effort|result|unpolluted|not|natural resources|due to|several|of movies|background location|became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it has become the backdrop for several films due to its unpolluted natural resources.

이는 매년 수많은 관광객들이 뉴질랜드를 찾게 만들어 관광 산업의 발전을 불러왔습니다 this|every year|numerous|tourists|New Zealand|to visit|makes|tourism|industry's|development|has brought Thi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as countless tourists visit New Zealand every year.

뉴질랜든 환태평양 조선대에 속하는 섬나라로 New Zealand|Pacific|to the Korean|belonging to|island nation New Zealand is an island nation that belongs to the Trans-Pacific Shipbuilding Association.

북섬과 남섬 2개의 큰 섬과 여러 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the northern island|southern island|two|large|islands|several|of|small|islands|are composed|exist It consists of two large islands, the North Island and the South Island, along with several smaller islands.

지형이 험준하고 화산과 지진이 많습니다 the terrain|is rugged|volcanoes|earthquakes|are frequent The terrain is rugged and there are many volcanoes and earthquakes.

오클랜드와 웰링턴과 같은 대도시가 많은 북섬은 Auckland|Wellington|like|major cities|many|North Island The North Island, which has many large cities like Auckland and Wellington,

현대화가 잘 되어 있는 편에 속하지만 modernization|well|being|existing|in the category of|is included is relatively well modernized,

남섬은 빅토리아 시대 이후 개발이 잘 되지 않아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the South Island|Victorian|era|after|development|well|not|not|old|appearance|as it is|preserving|is while the South Island has not been well developed since the Victorian era and retains its old appearance.

북섬은 화산이 많은 화산지대인 반면 the North Island|volcanoes|many|volcanic region|whereas The North Island is a volcanic region with many volcanoes.

남섬은 빙하 지대가 많아 높은 산들과 절벽, 호수가 많습니다 the South Island|glacier|area|has many|high|mountains|cliffs|lakes|many The South Island has many glacial areas, with high mountains, cliffs, and lakes.

그래서 이른 바 북섬은 불의 섬, 남섬은 얼음의 섬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so|the|called|northern island|of fire|island|southern island|of ice|island|is also| Therefore, the so-called North Island is called the Island of Fire, and the South Island is called the Island of Ice.

뉴질랜드는 남반구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한국과는 계절이 정반대입니다 New Zealand|in the Southern Hemisphere|is located|because|with Korea|seasons|are opposite Since New Zealand is located in the Southern Hemisphere, its seasons are opposite to those of Korea.

남태평양 한 가운데 떠 있는 섬이다 보니 South Pacific|in|center|floating|is|island|since Being an island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outh Pacific,

전반적으로 온화하고 습한 서안해양성기후를 나타냅니다 overall|mild|humid|west coast marine climate|is represented it generally exhibits a mild and humid oceanic climate.

지형이 복잡하여 면적이 그리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the terrain|is complex|area|that|large|not|despite Despite the complex terrain, the area is not very large.

지역에 따른 기온차가 큰 편이라고 합니다 the region|according to|temperature difference|large|is said to be| It is sai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temperatur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region.

변화무쌍한 날씨와 특이한 지형 덕분에 ever-changing|weather|unique|terrain|thanks to Thanks to the ever-changing weather and unique terrain,

쌍무지개를 자주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double rainbow|often|see|possibility|existing|place| it is also a place where double rainbows can often be seen.

뉴질랜드는 다른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이라는 특성 때문에 New Zealand|other|from land|far|distant|as an island|characteristic|because of Due to its characteristics as an island far from other landmasses,

생태계 구성이 독특합니다 ecosystem|composition|is unique The ecosystem composition is unique.

대표적으로 사람이 이주하기 전까지 뉴질랜드에서는 박쥐가 유일한 포유류였습니다 for example|person|migrating|until|in New Zealand|bats|only|were mammals Notably, before humans migrated, bats were the only mammals in New Zealand.

뉴질랜드에는 뱀을 비롯한 파충류도 서식하지 않았습니다 in New Zealand|snakes|including|reptiles|inhabit|did not New Zealand also did not have reptiles, including snakes.

사람이 정착해 살기 시작하면서 여러 가축들이 뉴질랜드에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the person|settling|living|as|various|livestock|to New Zealand|coming in|began As humans began to settle, various livestock started to enter New Zealand.

뉴질랜드에서만 서식하는 뉴질랜드의 국조 키위나 only in New Zealand|inhabiting|of New Zealand|national bird|kiwi The kiwi, New Zealand's national bird, is found only in New Zealand.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사는 앵무새인 카카포는 in the world|most|long|living|parrot|kakapo The kakapo, the longest-living parrot in the world,

이러한 독특한 생태계에 맞춰 진화하면서 비행 능력이 퇴화되어 날지 못하는 조류입니다 this|unique|ecosystem|adapted to|while evolving|flying|ability|degenerated|flying|unable to|bird has evolved to adapt to this unique ecosystem, resulting in the loss of its flying ability.

뉴질랜드의 웅장한 대자연은 영화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New Zealand|majestic|nature|in movies|encounter|possibility|exists New Zealand's magnificent nature can also be seen in films.

피터 잭슨 감독의 반지의 제왕의 촬영지로도 유명하죠? Peter|Jackson|director's|of the Ring|Lord|as a filming location|is famous It is also famous as the filming location for Peter Jackson's The Lord of the Rings, right?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그 배경으로 등장한 뉴질랜드의 자연 역시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the movie|box office|succeeding|that|as a background|appearing|of New Zealand|nature|also|entire|globally|attention|received As the movie became a box office success, the natural scenery of New Zealand that appeared as its backdrop also gained worldwide attention.

뉴질랜드는 반지의 제왕 성공 이후 New Zealand|of the Ring|King|success|after New Zealand has seen the success of The Lord of the Rings.

킹콩, 나니아 연대기, 엑스맨4, 라스트 사무라이 등 King Kong|Narnia|Chronicles|X-Men 4|Last|Samurai| Films such as King Kong, The Chronicles of Narnia, X-Men 4, and The Last Samurai were also filmed there.

여러 영화가 촬영되었는데요 several|movies|were filmed Many movies have been shot in this location.

이 배경에는 세계적 수준의 뉴질랜드의 영상 산업뿐 아니라 this|background|world-class|level|New Zealand's|film|industry|not only This is not only due to New Zealand's world-class film industry,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the government|active|support|great|help|was|is but also because of the government's active support.

뉴질랜드는 자타공인 럭비 세계 최강국입니다 New Zealand|universally recognized|rugby|world|is the strongest nation New Zealand is widely recognized as the strongest rugby nation in the world.

팀은 대체적으로 원주민인 마오리족과 백인이 적절하게 조합되어 있는데요 the team|generally|indigenous|Maori|white|appropriately|combined|is The team is generally a good mix of the indigenous Māori people and Europeans.

선수들 몸무게는 대체적으로 100kg에 육박할 정도로 체구가 엄청나다고 합니다 the players|weight|generally|100kg|approaching|to the extent of|physique|is enormous|is said to be The players are said to have an impressive physique, with weights generally approaching 100 kg.

럭비 종주국인 영국은 물론 매년 유럽 순회를 돌며 스포츠 국위 선양을 제대로 하고 있습니다 rugby|originating|Britain|of course|every year|Europe|tour|while|sports|national prestige|promoting|properly|doing|is The rugby birthplace, England, also properly promotes the sport by touring Europe every year.

1987년에 열린 제1회 럭비 월드컵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습니다 in 1987|held|||rugby|world cup|championship|also|won They even won the first Rugby World Cup held in 1987.

전 국민의 사랑을 받고 있는 국가 스포츠답게 the|people's|love|receiving|being|national|sport As a national sport loved by the entire nation,

뉴질랜드에는 세계 최초로 럭비 전문 박물관을 건립하여 in New Zealand|world|first|rugby|dedicated|museum|established New Zealand has established the world's first rugby museum,

세계적으로 희귀한 초기 럭비 장비를 포함하여 globally|rare|early|rugby|equipment|including which houses rare early rugby equipment,

럭비에 관련된 방대한 기록과 자료를 소장하고 있습니다 rugby|related to|vast|records and|materials|possessing|I have as well as a vast collection of records and materials related to rugby.

뉴질랜드에서 유명한 인물로는 1996년 태생의 싱어송라이터 로드가 있습니다 in New Zealand|famous|person|1996|born|singer-songwriter|Lorde|exists A famous figure from New Zealand is the singer-songwriter Lorde, born in 1996.

본명은 엘라 마리야 라니 옐리치오코너로 the real name|Ella|Maria|Lani|Yelich-O'Connor Her real name is Ella Maria Lani Yelich-O'Connor.

오클랜드 대먼 포트에서 태어나고 자라났습니다 Auckland|Damon|at Port|was born|grew up She was born and raised in Devonport, Auckland.

로드는 어렸을 적부터 가수가 되기 위해 음악 공부와 훈련을 소화하여 Road|when he was young|from|singer|becoming|in order to|music|study and|training|digesting From a young age, Lorde studied music and trained to become a singer.

13살 때 유니버셜 뮤직 그룹과 계약을 맺게 됩니다 13 years old|when|Universal|Music|with the group|contract|I signed|I will At the age of 13, she signed a contract with Universal Music Group.

로드는 2012년 16살의 나이에 첫 데뷔 음반을 발매했으며 Road|in 2012|16-year-old|at age|first|debut|album|released Lorde released her debut album at the age of 16 in 2012.

첫 싱글 Royals는 뉴질랜드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고 first|single|Royals|New Zealand|single|on the chart|first place|took The first single Royals topped the New Zealand singles chart.

다음 해에 뉴질랜드 출신 가수 중 최초로 빌보드 HOT 100에 1위를 차지하게 됩니다 next|year|New Zealand|born|singer|among|first|Billboard|||number one|achieve|becomes The following year, she became the first New Zealand artist to reach number one on the Billboard HOT 100.

그녀는 Alternatives, 아트, 팝 계통의 음악을 하며 she|alternatives|art|pop|genre|music|does She creates music in the genres of alternatives, art, and pop.

미니멀한 구성의 독특한 그루브감과 멜로디 minimal|composition|unique|groove|melody With a unique groove and melody characterized by a minimalistic arrangement,

그리고 무엇보다도 특유의 창법과 음색으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였습니다 and|above all|unique|singing style|timbre|independent|territory|has established and above all, her distinctive vocal style and tone, she has established her own territory.

미니멀하고 아방가르드한 음악 스타일과는 다르게 minimal|avant-garde|music|style|differently Unlike the minimal and avant-garde music style,

가사는 다소 직설적인 감정이나 팝 문화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the lyrics|somewhat|direct|emotions or|pop|culture|about|independent|interpretation|having|being|thing|characteristic the lyrics are characterized by somewhat straightforward emotions and a unique interpretation of pop culture.

어린 나이에도 로드는 아티스트로서 큰 인정을 받고 있는데요 young|at age|Lorde|as an artist|great|recognition|receiving|is Despite her young age, Lorde is receiving significant recognition as an artist.

특히 음악 평론계에서는 로드의 음악이 나이에 비해 가사에 깊이가 있으면서도 especially|music|in the music criticism community|of Lorde|music|to age|compared to|in the lyrics|depth|while being In particular, music critics have praised Lorde's music for its lyrical depth relative to her age,

세상에 대한 불만을 10대 특유의 감성으로 잘 들어낸다고 호평이 많았습니다 the world|about|dissatisfaction|teenager|unique|sensibility|well|expressing|praise|was abundant noting that it effectively expresses dissatisfaction with the world through the unique emotions of a teenager.

로드는 영화 헝거게임의 OST를 부른 걸로도 유명하며 Lord|movie|of The Hunger Games|OST|sang|also|is famous Road is also famous for singing the OST of the movie Hunger Games.

2019년 기준 20대 초반의 나이로 현재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in 2019|based on|in my 20s|early|age|currently|active|activity|doing|is As of 2019, he is in his early 20s and is still actively working.

마셜 제도로 알려진 국가의 정식 명칭은 Marshall|Islands|known|country's|official|name The official name of the country known as the Marshall Islands is

Repubic of the Marshall Islands, 마셜 제도 공화국입니다 공화국|의|그|마셜|제도|Marshall|Islands|공화국입니다 Republic of the Marshall Islands, or Marshall Islands Republic.

오세아니아의 태평양 중수부에 있는 섬나라로 수도는 마주로입니다 of Oceania|Pacific|in the central part|located|as an island nation|the capital is|Majuro It is an island nation located in the central Pacific of Oceania, with its capital being Majuro.

마셜 제도의 국기는 미국의 신탁 통치령으로 있던 Marshall|of the islands|flag|of the United States|trust|territory|was The flag of the Marshall Islands was established on May 1, 1979, coinciding with the establishment of self-government as a United States trust territory.

1979년 5월 1일 자치 정부 수립과 동시에 제정되었습니다 1979|May|1st|autonomous|government|establishment|simultaneously|was enacted The background of the flag is blue,

국기의 바탕은 파랑색이고 the flag|background|is blue and there are orange and white diagonal stripes drawn from the lower left to the upper right of the flagpole.

깃대 왼쪽 하단에서부터 오른쪽 상단까지 주황색과 하얀색 대각선이 그려져 있습니다 flagpole|left|from the bottom|right|to the top|orange and|white|diagonal|drawn|is In the upper left corner, there is a white star with 24 rays.

왼쪽 상단에는 24개의 빛을 가진 하얀색 별이 그려져 있습니다 left|at the top|24|lights|having|white|star|drawn|is

파란색은 태평양을 하얀색은 일출과 평화를 blue|Pacific Ocean|white|sunrise|peace Blue represents the Pacific Ocean, while white symbolizes sunrise and peace.

주황색은 일몰과 용기를 의미합니다 orange|sunset|courage|means Orange signifies sunset and courage.

하얀색 별은 북반구 바로 위에 위치한 군도임을 나타내며 white|star|northern hemisphere|directly|above|located|archipelago|indicates The white star indicates an archipelago located directly above the Northern Hemisphere.

24개의 빛은 24개의 자치 구역을 24|lights||autonomous|districts The 24 lights represent 24 autonomous regions.

그 중 4개의 긴 빛은 마셜 제도를 구성하는 4개의 가장 큰 섬을 의미합니다 that|among|4|long|rays|Marshall|islands|constituting|4|largest|big|islands|means Among them, the 4 long lights represent the 4 largest islands that make up the Marshall Islands.

호주의 서쪽 태평양에 위치한 마셜 제도의 국토 면적은 of Australia|western|in the Pacific|located|Marshall|of the islands|national|area The land area of the Marshall Islands, located in the western Pacific of Australia,

약 180㎢로 세계 215위이며 about|180 square kilometers|world|is ranked 215th is about 180㎢, ranking 215th in the world,

이는 세계에서 7번째로 작은 국가이며 this|in the world|seventh|small|country making it the 7th smallest country in the world,

강원도 동해시의 면적 180㎢와 비슷합니다 Gangwon-do|of Donghae City|area|180 square kilometers|is similar to which is similar in size to the area of Donghae City in Gangwon Province, 180㎢.

마셜 제도는 2017년 기준으로 약 5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으며 Marshall|Islands|in 2017|as of|about|50000|of|population|living|is As of 2017, the Marshall Islands has a population of about 50,000.

인구수로 세계 51위이며 by population|world| It ranks 51st in the world by population.

이는 동해시 인구의 절반 정도 수준입니다 this|Donghae City|of the population|half|approximately|level This is about half the population of Donghae City.

마셜 제도의 1년 총 GDP는 2018년 기준 약 2억 달러 Marshall|of the Marshall|1 year|total|GDP|in 2018|based on|approximately|200 million|dollars The total GDP of the Marshall Islands for one year is approximately 200 million dollars as of 2018.

이는 세계 180위로 this|world|180th This ranks 180th in the world.

비슷한 GDP 수준의 국가로는 키리바시가 있습니다 similar|GDP|level of|country|Kiribati|exists A country with a similar GDP level is Kiribati.

마셜 제도의 주민의 대다수는 미크로네시아계 원주민으로 Marshall|of the islands|residents|majority|Micronesian|indigenous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of the Marshall Islands are Micronesian natives.

공용어로는 마샬어와 영어를 사용합니다 as the official language|Marshallese|English|is used The official languages are Marshallese and English.

종교는 대부분이 그리스도 관련 교회이며 the religion|mostly|Christ|related|is a church Most of the population practices Christian-related churches.

그 외 로마카톨릭과 토착 종교를 믿습니다 that|other|Roman Catholic|indigenous|religion|believe In addition, they believe in Roman Catholicism and indigenous religions.

마셜 제도의 역사입니다 Marshall|of the islands|history This is the history of the Marshall Islands.

1만 2천년 전 찬란한 문명을 꽃피웠던 뮤 대륙이 12000|2000|ago|brilliant|civilization|that flourished|Mu|continent The continent of Mu, which flourished with a brilliant civilization 12,000 years ago,

화산 폭발로 잠긴 후 살아남은 곳이라는 전설이 내려오는 마셜 제도는 volcano|explosion|submerged|after|surviving|place|legend|passed down|Marshall|islands is said to be the place that survived after being submerged by a volcanic eruption, according to legend.

약 2천 년 전부터 인류가 살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about|2000|year|ago|humanity|living|began|is known|to be It is known that humans began to inhabit the Marshall Islands about 2,000 years ago.

마셜 제도는 1520년대쯤 Marshall|Islands|around 1520s The Marshall Islands were first introduced to the world around the 1520s,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의해 처음으로 세계에 알려졌고 Spain|Portugal|by|first|to the world|was known by Spain and Portugal.

1788년에 섬을 발견한 영국의 선장 존 마셜이 in 1788|island|discovered|British|captain|John|Marshall Captain John Marshall of England, who discovered the island in 1788,

자신의 이름을 따 섬의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his/her|name|after|island's|name|was named|says is said to have named the island after himself.

1592년부터 스페인의 지배를 받아온 마셜 제도는 from 1592|Spanish|rule|having received|Marshall|islands The Marshall Islands, which had been under Spanish rule since 1592,

1885년 스페인이 이 섬들을 모두 독일에 팔아버리면서 in 1885|Spain|these|islands|all|to Germany|sold were sold by Spain to Germany in 1885,

독일령 뉴기니에 합병되었습니다 German|New Guinea|was merged and were merged into German New Guinea.

1차세계대전 이후인 1921년부터는 World War I|after|from 1921 From 1921, after World War I,

일본의 위임통치령이 되었다가 Japanese|mandate|became it became a Japanese mandate.

2차세계대전 이후인 1947년부터는 World War II|after|from 1947 From 1947, after World War II,

UN의 위임을 받은 미국의 신탁통치령이 되었습니다 UN|mandate|received|of the United States|trust territory|became it became a trust territory under the mandate of the UN, administered by the United States.

마셜 제도는 2차대전 당시 태평양 전역의 주요 전장 중 하나였습니다 Marshall|islands|World War II|during|Pacific|theater|major|battlefield|among|was The Marshall Islands were one of the major battlefields in the Pacific during World War II.

특히 1946년 especially|1946 Especially in 1946,

미국은 비키니섬에서 처음으로 원자 폭탄 실험을 시작했고 the United States|at Bikini Atoll|first|atomic|bomb|experiment|began the United States began its first atomic bomb tests at Bikini Atoll,

이웃섬인 애니메톡섬에서도 미국의 핵실험이 실행되어 neighboring island|on the island of Aniemetok|of the United States|nuclear test|was conducted and nuclear tests were also conducted on the neighboring island of Enewetak,

이 때문에 주민들은 다른 곳으로 이주해야 했습니다 this|because|residents|other|to place|migrate|had to which forced the residents to relocate to other places.

1946년부터 58년까지 from|until 1958 From 1946 to 1958,

12년 동안 총 67 차례의 핵실험이 있었는데 12 years|during|total|times|nuclear tests|there were There have been a total of 67 nuclear tests over 12 years.

이 결과 3개의 섬이 없어지고 그 외의 많은 섬들이 일부가 파괴되는 등 피해가 심각했다고 합니다 this|result|3|islands|disappearing|the|other|many|islands|partially|being destroyed|etc|damage|was serious|is said to be As a result, three islands have disappeared, and many other islands have been partially destroyed, leading to severe damage.

1965년부터 마셜 제도를 포함한 미크로네시아 일대에 대한 독립 운동이 심화되었고 from 1965|Marshall|Islands|including|Micronesia|region|regarding|independence|movement|intensified Since 1965,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Micronesia region, including the Marshall Islands, has intensified.

1973년 마셜 제도는 미크로네시아 의회에서 탈퇴하면서 1973|Marshall|Islands|Micronesia|from the parliament|withdrawing In 1973, the Marshall Islands withdrew from the Micronesia Congress.

자체적인 독립운동을 시작했습니다 independent|independence movement|started They began their own independence movement.

마셜 제도는 1979년 헌법 제정과 함께 자치 정부를 수립하여 Marshall|Islands|in 1979|constitution|establishment|together|self-governing|government|established The Marshall Islands established self-government with the adoption of its constitution in 1979.

아마타 카부아 대통령이 취임했습니다 Amata|Kabua|president|has taken office President Amata Kabua took office.

1982년 마셜 제도 공화국은 미국과의 자유 연합 협정을 체결하였고 1982|Marshall|Islands|Republic|with the United States|free|association|agreement|was signed In 1982, the Republic of the Marshall Islands signed a Compact of Free Association with the United States.

1986년 협정이 발효되면서 사실상 독립을 이루게 됩니다 1986|agreement|coming into effect|in effect|independence|achieving|becomes The agreement came into effect in 1986, effectively achieving independence.

내전과 외교는 독자적으로 수행하지만 civil war|diplomacy|independently|is conducted Civil war and diplomacy are conducted independently.

국가 안보는 미국에게 위임하는 형식이었고 national|security|to the United States|delegating|was in the form of National security was delegated to the United States.

마셜 제도는 미군 기지 유지를 허용하는 대가로 Marshall|islands|US military|base|maintenance|allowing|in exchange for The Marshall Islands received $30 million in aid annually for 14 years until 2001 in exchange for allowing the maintenance of U.S. military bases.

2001년까지 14년간 매년 3천만 달러의 원조를 받았습니다 until 2001|for 14 years|every year|30 million|dollars|aid|received In September 1991, the Marshall Islands officially joined the UN.

1991년 9월 마셜 제도는 UN에 정식 가입하면서 in 1991|September|Marshall|Islands|to the UN|officially|joining It was recognized as a nation internationally.

국제적으로도 국가로 인정받았습니다 internationally|as a country|was recognized

1979년 5월에 제정된 헌법에 따라 마셜 제도 공화국은 in 1979|in May|enacted|constitution|according to|Marshall|Islands|Republic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enacted in May 1979, the Republic of the Marshall Islands is

미국과 협약을 맺은 대통령제 공화국입니다 with the United States|agreement|signed|presidential|republic a presidential republic that has entered into a compact with the United States.

임기 4년에 의원 33명으로 구성된 단원제 의회에서 term|for 4 years|members|consisting of 33|composed|unicameral|in the assembly It has a unicameral legislature consisting of 33 members with a term of 4 years,

의원 중 한 명을 마셜 제도의 국가 원수이자 행정 수반인 대통령으로 선출합니다 member|among|one||Marshall|of the islands|national|as head of state|administrative|being the head|as president|is elected and one of the members is elected as the President, who is the head of state and government of the Marshall Islands.

2019년 현재 마셜 제도의 대통령은 2019|current|Marshall|of the Marshall|president As of 2019, the President of the Marshall Islands is

2016년부터 역임해온 8대 대통령인 힐다 하이네입니다 since 2016|serving|8th|president|Hilda|Heine I am Hilda Heine, the 8th President who has served since 2016.

그녀는 젊은 시절 고등학교 교사 출신으로 마셜 제도의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기도 합니다 she|young|in her time|high school|teacher|by background|Marshall|Islands'|first|female|president| She is also the first female president of the Marshall Islands, having been a high school teacher in her youth.

또한 전통 추장들로 구성되는 추장 회의는 국정에 대한 자문 역할을 수행합니다 also|traditional|by the chiefs|composed of|chief|council|national affairs|regarding|advisory|role|performs Additionally, the council of traditional chiefs, composed of traditional leaders, serves an advisory role in national affairs.

마셜 제도의 경제는 정도 주도산업이 절대다수로 차지하며 Marshall|of the islands|economy|degree|leading industry|overwhelmingly|occupies The economy of the Marshall Islands is predominantly led by the public sector.

민간 산업의 육성이 많이 부족한 편입니다 private|industry|fostering|very|lacking|is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development in the private sector.

국가 예산의 60%가 미국의 원조로 이루어질 정도로 the country|budget|60%|of the United States|in aid|is made up of|to the extent of 60% of the national budget is made up of aid from the United States.

미국으로부터 받는 경제 원조가 국내 총생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from the United States|receiving|economic|aid|domestic|of total production|considerable|portion|occupies Economic aid received from the United States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

또한 미국에게 전략적 군사 기지를 제공하여 그 대가로 토지료를 받습니다 also|to the United States|strategic|military|base|providing|that|in return|land rent|receives Additionally, they provide strategic military bases to the United States in exchange for land rent.

마셜 제도는 파나마, 라이베리아와 함께 대표적인 편의치적국입니다 Marshall|Islands|Panama|Liberia|together|representative|flag of convenience countries The Marshall Islands are a representative flag of convenience country along with Panama and Liberia.

편의치적이란 선주가 자신의 선박을 convenience registration|shipowner|his/her|vessel A flag of convenience refers to a situation where a shipowner registers their vessel under a foreign flag.

자국이 아닌 제3국의 국적으로 등록하는 것을 말하며 your country|not|||nationality|registering|thing|refers to It refers to registering under the nationality of a third country rather than one's own.

선주가 자국으로부터 간섭을 피하는 방법입니다 the shipowner|from his/her country|interference|avoiding|is a method It is a way for shipowners to avoid interference from their own country.

편의치적국은 선주에게 국적을 빌려주는 대신 수수료를 받습니다 the convenience flag state|to the shipowner|nationality|lending|in exchange for|fee|receives Convenience flag countries charge a fee in exchange for lending their nationality to shipowners.

마셜 제도는 남태평양의 다른 나라들처럼 인광석, 코코넛 등을 수출하며 Marshall|islands|Pacific|other|countries|phosphorite|coconuts|etc|exports The Marshall Islands, like other countries in the South Pacific, export minerals, coconuts, and so on.

관광업 또한 주요 수입원 중 하나입니다 tourism industry|also|major|source of income|among|one Tourism is also one of the main sources of income.

주요 생산 작물로는 빵나무 열매, 바나나, 타로 등이 있으며 main|production|crops|breadfruit|fruit|banana|taro|etc|are Major crops include breadfruit, bananas, and taro.

건조한 코코넛을 압착하여 만드는 코프라 오일과 참치는 dry|coconut|by pressing|made|copra|oil|tuna Dried coconut pressed to make copra oil and tuna,

마셜 제도의 수출 품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Marshall|of the islands|export|items|among|largest|large|proportion|occupies|is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Marshall Islands' exports.

하지만 자원도 부족하고 자체적인 사업은 거의 전무한 수준으로 but|resources|are scarce|independent|business|almost|non-existent|level However, resources are scarce and there is almost no domestic business,

수출보다 수입이 훨씬 많아 만성적인 무역적자를 겪고 있습니다 than exports|imports|much|more|chronic|trade deficit|experiencing|we are resulting in a chronic trade deficit with imports far exceeding exports.

경제난을 해소하기 위해 2018년 마셜 제도는 economic hardship|to resolve|in order to|in 2018|Marshall|government In order to resolve the economic crisis, in 2018, the Marshall Islands

베네수엘라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Venezuela|following|in the world|second became the second country in the world after Venezuela to

국가의 공식 통화를 암호화폐인 소버린으로 바꾸는 법안을 시행하였으나 the country's|official|currency|cryptocurrency|Sovereign|changing|bill|was enacted implement a law to change the official currency of the country to the cryptocurrency Sovereign,

IMF에 의해 제동이 걸린 바 있습니다 by the IMF|by|brake|was put|case|exists but it was halted by the IMF.

마셜 제도는 31개의 산호섬과 그 외 1,200여 개의 섬과 환초로 이루어져 있으며 Marshall|islands|31|coral islands|the|other|over 1200|of|islands|atolls|consists|is The Marshall Islands consists of 31 coral atolls and over 1,200 islands and islets.

해발 고도는 거의 해수면에 가깝습니다 above sea level|altitude|almost|to sea level|is close The elevation is almost at sea level.

마셜 제도를 이루고 있는 섬들은 대부분 크기가 매우 작은 섬들로 Marshall|islands|forming|that are|islands|mostly|size|very|small|islands Most of the islands that make up the Marshall Islands are very small.

23개의 섬에만 사람이 거주하며 나머지는 무인도입니다 23|islands|people|inhabit|the rest|are uninhabited Only 23 islands are inhabited, while the rest are uninhabited.

전체 해역은 168만㎢에 달하지만 entire|sea area|||amounts to The total maritime area reaches 1.68 million square kilometers.

육지의 총면적은 약 180㎢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land|total area|about|180 square kilometers|is only| However, the total land area is only about 180 square kilometers.

전체적으로 열대우림 기후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8도 내외입니다 overall|tropical rainforest|climate|belongs to|annual average|temperature|8 degrees|around Overall, it belongs to a tropical rainforest climate with an average annual temperature of around 8 degrees.

1월부터 3월까지가 건조한 계절이고 from January|until March|dry|season The dry season is from January to March.

10월부터 11월까지 비가 가장 많이 내립니다 from October|until November|rain|most|a lot|falls The most rain falls from October to November.

100여 종이 넘는 산호가 자생하고 있는 마셜 제도는 over 100|species|more than|corals|are native|existing|Marshall|islands The Marshall Islands, where over 100 species of coral grow naturally,

250여 종의 어류와 지구상에 서식하는 5종류의 거북이 모두 발견되는 곳입니다 about 250|species|fish|on Earth|inhabiting|5 types of|turtles|all|found|place is home to about 250 species of fish and all five types of turtles that inhabit the Earth.

고래와 돌고래는 물론 whale|dolphin|of course Whales and dolphins, of course,

30여 종의 물새를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군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about 30|species|waterfowl|including|diverse|biological community|inhabiting|exists along with over 30 species of waterfowl, inhabit a variety of biological communities.

마셜 제도는 서구적 시장 경제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Marshall|islands|Western|market|economy|was introduced|despite|still Despite the introduction of a Western-style market economy in the Marshall Islands,

사회는 부속 중심적이며 모계사회의 전통이 남아있습니다 the society|subordinate|is centered|matriarchal|tradition|remains society remains kinship-centered, and traditions of matriarchy persist.

각 섬의 모든 땅은 이로이지라고 불리는 족장이 소유하며 each|island's|all|land|Iroij|called|chief|owns All land on each island is owned by a chief known as Iroij.

자원의 분배와 활용, 분쟁 해결에 대한 강력한 권한을 가집니다 resources|distribution|utilization|dispute|resolution|regarding|strong|authority|has They have strong authority over resourc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as well as conflict resolution.

남성들은 주로 어업과 카누 제작 등 바다에 관한 일을 담당하고 있으며 men|mainly|fishing|canoe|construction|etc|related to the sea|concerning|work|are responsible for|are Men are mainly responsible for sea-related tasks such as fishing and canoe making.

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 탓에 주로 고기와 해물로만 요리를 해 먹는데 farming|suitable|not|environment|due to|mainly|meat|seafood only|cooking|do|eat Due to the unsuitable environment for farming, they mainly cook with fish and seafood.

가장 흔한 생선은 참치라고 합니다 the most|common|fish|is tuna|is said to be The most common fish is said to be tuna.

마셜의 대표적인 수공에품은 카누라고 합니다 Marshall's|representative|handicraft|canoe|is The representative handicraft of the Marshalls is said to be the canoe.

길이가 30m나 되는 Walap 카누는 한 번에 40명까지 태울 수 있으며 length|30m|is|Walap|canoe|one|at a time|up to 40 people|carry|possibility|can The Walap canoe, which is about 30 meters long, can carry up to 40 people at once.

한 달 정도는 육지에 들리지 않고 바다를 항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one|month|for about|to land|touching|without|the sea|sailing|possibility|is said to|be It is said that it can sail the sea for about a month without touching land.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날렵한 팀놀 카누는 relatively|size|small|agile|team|canoe The relatively smaller and sleeker Teamnol canoe is

산호초 사이사이를 누비며 낚시하기에 적합하게 만들어졌습니다 coral reef|between|navigating|for fishing|suitably|was made designed to navigate between coral reefs for fishing.

마셜 제도의 수도인 마주로에서는 매년 여러 차례 낚시 토너먼트 축제가 열립니다 Marshall|of the islands|capital||every year|several|times|fishing|tournament|festival|is held In Majuro, the capital of the Marshall Islands, several fishing tournament festivals are held every year.

가장 큰 대회는 11월 넷째 주 화요일에 열리는 대회인데 the most|big|competition|November|fourth|week|on Tuesday|is held|competition The biggest tournament is held on the Tuesday of the fourth week of November.

많은 섬에서 낚시에 자신 있는 사람들이 몰려들어 성황을 이룬다고 합니다 many|on the island|fishing|confidence|having|people|flocking|prosperity|achieving|it is said It is said that many people who are confident in fishing gather from various islands, creating a lively atmosphere.

마셜 제도에서 잘 알려진 인물로는 로만 크레스가 있습니다 Marshall|in the islands|well|known|person|Roman|Kress가|exists A well-known figure from the Marshall Islands is Roman Kress.

그는 마셜 제도에서 가장 빠른 사람으로 전직 육상 선수였습니다 he|Marshall|in the islands|most|fastest|as a person|former|track and field|athlete He was the fastest person in the Marshall Islands and a former track athlete.

1977년 로만 크레스는 1977|Roman| In 1977, Roman Kress...

마셜 제도 섬들 중 하나인 카벤에서 태어난 원주민 어머니와 Marshall|islands|islands|among|one|in Kaben|born|indigenous|with my mother Born to a native mother from Kaben, one of the Marshall Islands,

평화봉사단 자원 봉사로 카벤에서 활동하는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Peace Corps|volunteer|service|in the cave|active|American|father|between|was born and an American father who is volunteering with the Peace Corps in Kaben.

어려서부터 달리기에 재능을 보였던 크레스는 from a young age|in running|talent|showed|Kress Kress, who showed talent in running from a young age,

육상 훈련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track|training|system|properly|established|not|poor|even in the environment even in a poor environment where the athletic training system is not properly established.

SENT_CWT:AO6BvvLW=7.32 PAR_TRANS:gpt-4o-mini=5.02 en:AO6BvvLW openai.2025-01-22 ai_request(all=335 err=0.00%) translation(all=279 err=1.08%) cwt(all=2001 err=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