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ng confusing Korean grammar] Talking about experience in Korean
comparing|confusing||grammar|talking||experience||
[Vergleich der verwirrenden koreanischen Grammatik] Über Erfahrungen auf Koreanisch sprechen
[Comparing confusing Korean grammar] Talking about experience in Korean
[Comparación de la confusa gramática coreana] Hablar de la experiencia en coreano
[Vertaamalla hämmentävää korean kielioppia] Puhutaan kokemuksesta koreaksi
[Comparer la grammaire coréenne qui prête à confusion] Parler d'expérience en coréen
[Parlare di esperienze in coreano
[紛らわしい韓国語文法を比較】韓国語で経験を語る
[Porównanie zagmatwanej gramatyki koreańskiej] Mówienie o doświadczeniu po koreańsku
[Comparar a gramática coreana confusa] Falar sobre a experiência em coreano
[Сравнение путаной корейской грамматики] Разговор об опыте на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比较混乱的韩语语法】谈韩语经验
【比較混亂的韓語文法】談韓語經驗
네, 안녕하세요? 허 쌤입니다
|||teacher
||허|
Hello? I'm 허 쌤
Hei? Tämä on opettaja heo
はい、こんにちは?ホ先生です
오늘은 우리가 경험을 말할 때 여러가지 경험,
hôm nay||||||
||experience|talk||various types|experiences
|||||いろいろな|
Today, when we talk about experience,
Tänään, kun puhumme kokemuksista, erilaisista kokemuksista,
今日は私たちが経験について話す時、いろいろな経験を
내가 예전에 어떤 것을 했어요
|in the past|||
I used to do something before
tein jotain ennen
私が以前に何をしたか
그런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자주 쓰는 두 가지 문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요
||||||sử dụng|||||||
|||||||||grammaire de||||
|in such an experience||to talk|when||I use|||in terms of|||I am going to try|
|経験に||||||||文法について||||
We're going to talk about two grammars that Korean often use to talk about those experiences.
Aion puhua kahdesta kielioppista, joita käytän usein puhuessani tällaisista kokemuksista.
そのような経験について話すときによく使う二つの文法について話そうと思います。
우리가 요즘 초급반 스피킹 클래스를 하고 있는데
||||lớp||
we||beginner class|speaking|class||are
||初級班(1)||||
We're doing a beginner's speaking class these days
Pidämme näinä päivinä aloittelijan puhekurssia.
最近、私たちは初級クラスのスピーキングクラスを行っています。
학생들이 이 두 가지 문법에 대해서 자주 헷갈려 하는 것 같았어요
||||with|||get confused|||seemed
|||||||混乱する|||ようでした
these students I was often confused about the two grammar points.
Vaikuttaa siltä, että opiskelijat sekoittavat usein nämä kaksi kielioppia.
学生たちがこの二つの文法についてよく混乱しているようです。
이 문법하고 이 문법이 어떻게 달라요? 이렇게 질문을 많이 해서
this|with grammar||grammar||is different||questions||asking
|文法||文法||||||
How is this grammar different from this grammar? They asked a lot of questions so
この文法とこの文法はどのように違うのですか?このように質問が多くて
제가 이 내용을 한번 정리를 해야겠다고
||object marker||organize|need to
I thought that I had to
私はこの内容を一度整理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思い
생각을 하고 이 영상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video|make|I came to be
||||作る|
sort this out once, so I made this video.
この動画を作ることになりました
우리가 경험을 말할 때 한국 사람들이 경험을 말할 때 자주 쓰는 두 가지 문법은
|experience||||||||||||grammar
The two grammar that Koreans often use when we talk about experience is
私たちが経験について話すとき、韓国人が経験について話すときによく使う二つの文法は
oo을 한 적이 있다, 'AV(으)ㄴ 적이 있다/없다' 있다/없다
-||||occasion||past marker|||||
|||||動詞語尾||||||
oo을 한 적이 있다, 'AV(으)ㄴ 적이 있다/없다' 있다/없다
ooしたことがある、'AV(으)ㄴことがある/ない'がある/ない
그리고 또 oo을 해 보다 'av아/어/해 봤어요'
|||||doing|||
||||する||||
and oo을 해 보다 'av아/어/해 봤어요'
そしてもう一つはooをしてみる 'avしたことがあります'
라는 표현 두 가지를 제일 많이 사용하는데요
|||two things|||using
|||が|||ます
Korean use these two grammar the most.
という表現を二つ最も多く使いますが
제가 앞에서 이야기한
What I said
私が前に話した
저의 텍사스에서 산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my|in Texas|mountain|experience|||
|テキサスで|||||
When I was talking about my experience of living in Texas,
私のテキサスでの生活経験について話すとき
'뭘 한 적이 있어요' 라는 표현을 많이 썼죠
|done|occasion|||||used
|||||表現を||
I used the expression 'OO한 적이 있어요' a lot.
'何をしたことがありますか'という表現をよく使いますね
둘 다 이 두 가지 문법은 모두 경험을 말할 때 쓴다는 점은 같아요. 역할이 같아요
|||||||experience|||is used|point aspect||role|
二||||||||||使う|点||役割が|
Both of these grammar are the same when speaking of experience. They have the same role.
この二つの文法はどちらも経験について話すときに使われるという点では同じです。役割が同じです
하지만 한국 사람들은 어떨 때는 'oo을 해 보다'가 더 자연스럽고
|||||||try||more naturally
|韓国||||||する||自然で
but sometimes Koreans say 'OO을 해 보다' is more natural and
しかし、韓国の人々は場合によっては'ooをやってみる'の方がもっと自然だと感じることがあります
어떨 때는 'oo을 한 적이 있다'가 더 자연스러울 때가 있어요
|||||there||more natural|times|
|||||||自然な|時|
sometimes 'OO을 한 적이 있다' is more natural.
ある時は『ooをしたことがある』の方が自然な時があります。
그래서 이 두 가지 문법을 한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grammar||to organize|
||||||整理しようと|
So I'll try to summarize these two grammar points
だからこの二つの文法を一度整理してみようと思います。
먼저 'oo을 한 적이 있어요' 'AV(으)ㄴ 적이 있다'
First, 'oo을 한 적이 있어요' 'AV(으)ㄴ 적이 있다'
まず『ooをしたことがあります』『AV(으)ㄴことがある』
라는 표현의 특징은
|expression's|is
||特徴は
The characteristic of the expression
という表現の特徴は
'제가 텍사스에서 살았어요' 라는 이야기를 했어요. 맞아요?
||I lived||||That's right
||||||そうです
I said, "I lived in Texas."
'私はテキサスに住んでいました'という話をしました。そうですよね?
그런데 이 경험은 저한테는 특별한 경험이에요
||experience|to me|special|experience
||経験は|||経験です
By the way, this experience is special for me.
でも、この経験は私にとって特別な経験です
그럴 때 우리 이 문법을 자주 사용해요
||||||I use
||||||使います
In that case, we often use this grammar
その時、私たちはこの文法をよく使います。
특별해요. 경험을 말할 때
is special|experience||
特別です||話す|
It is special. When
特別です。経験を話す時に。
예를 들어서 저는 한국 사람이에요
||||です
talking about experiences, for example,
例えば、私は韓国人です。
저는 한국 사람이에요 '저는 한국 사람하고 이야기한 적이 있어요.' 이렇게 말하면 좀 이상해요
||I am a person||||||||||
|||||人と|||||||変です
I'm Korean. It's weird to say, 'I've talked to a Korean before.'
私は韓国人です '私は韓国人と話したことがあります。' こう言うとちょっと変です
저한테는 한국 사람하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 특별하지 않아요
||||||special|
||||||特別じゃない|
It's not special to talk to a Korean person for me.
私にとっては韓国人と話すことは特別ではありません
그래서 이때는 이 문법을 사용하는 것이 조금 어색합니다
|at this time||||||feels awkward
|この時は|||使用する|||不自然です
So, it's a little awkward to use this grammar at this time.
だからこの時にはこの文法を使うのは少し気まずいです
그런데 예를 들어서 제가 만나기 힘든 사람
||||to meet||
||||会うこと||
But for example, someone I can't meet.
しかし、例えば私が会うのが難しい人は
누가 있을까요?
Who could it be?
誰がいるでしょうか?
아주 먼 나라에 있는 사람하고
|far|country||
With someone from a very far country,
とても遠い国にいる人と
예를 들면 브라질
||Brésil
||Brazil
||ブラジル
for example Brazil,
例えばブラジルのことです
저는 브라질 학생하고 이야기를 한 적이 있어요 브라질 학생하고
||with a Brazilian student||||||students
||学生と||||||
I have spoken with a Brazilian student. I have spoken with a Brazilian student
私はブラジルの学生と話をしたことがあります ブラジルの学生と
같이 이야기를 한 적이 있어요. 수업을 한 적이 있어요 브라질 학생을 가르친 적이 있어요.
|||time|||||||Brazilian|taught||
||||||||||学生を|教えた||
I've been in class I've been teaching a Brazilian student.
一緒に話をしたことがあります。授業をしたことがあります ブラジルの学生を教えたことがあります。
이렇게. 저한테는 특별해요
like this. It's special to me, it
こういうこと。私にとって特別です。
그런 경험이에요. 그렇죠?
|experience|
's such an experience. right?
そんな経験です。そうですよね?
그럴 때는 이 적이 있다' 라는 문법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sounds natural
|||||||||自然です
It's natural to use the grammar “AV(으)ㄴ 적이 있다”
そういう時には「この時があった」という文法を使うのが自然です。
그래서 첫 번째로는 이렇게 특별한 경험을 이야기할 때 보통 자주 쓴다는 점이고
||||special|experience||||||point
||番目には|||||||||点
so the first is that I usually use it often when talking about special experiences like this, and
だから最初にこのような特別な経験を話すときに、通常よく使うという点です。
두 번째로는요
|second
|番目にはね
secondly.
次に、
지금까지 계속 하고 있는 일에는 이 문법을 쓰지 않아요
||||in||||
||||仕事には||||
We don't use this grammar for what I've been doing.
今までずっと続けている仕事にはこの文法を使っていません。
예를 들어서
For example,
例えば、
저는 결혼한 적이 있어요 이렇게 말을 하면
|married|||||
|結婚した|||||
I've been married before. When I say this,
私は結婚したことがあります、こう言った場合、
지금은...? 결혼을 지금은..?
|結婚を|
now...? Married now..?
今は...? 結婚は今は..?
결혼한 적이 있어요
I've been married,
結婚したことがあります
하지만 지금은 '결혼하고 있어요'가 아니에요.
||I am married||
But now it's not "I'm getting married.
しかし今は『結婚しています』ではありません。
'이혼했어요' 그런 뜻이 돼요
got divorced|||
||意味|
"I'm divorced." That's what it means.
『離婚しました』という意味になります
저는 결혼한 적이 있어요 이렇게 말하면
When you say, "I've been married before,"
그래서 좀 어색한 문장 아니면 이혼한 사람들이 이렇게 문장을 자주 사용합니다
||awkward|sentence||divorced|||||
|||文(1)|||||文を||使います
so little to the awkward sentence, or frequently used sentences that people who divorce do so,
だからちょっと気まずい文があれば、離婚した人たちがこの文をよく使います。
그리고 세 번째로 이 'AV(으)ㄴ 적이 있다/없다' 문법의 특징은요
||||||||||of grammar|is
|3||||||||||特徴はですね
and the third to the 'AV(으)ㄴ 적이 있다/없다' features of grammar What about
そして三つ目にこの 'AV(으)ㄴ 過去がある/ない' 文法の特徴はですね。
보통 좀 조금 오래 전 이야기를 할 때
There are words like yesterday or last week
普通にちょっと前の話をする時です。
오래 전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할 때 쓰는 문법이기 때문에
|of|in the experience|||||grammar|
|前の||||||文法|
Because it is a grammar used to talk about experiences long ago.
昔の経験について話すときに使う文法なので
어제, 아니면 지난주 이런 단어있죠. 오늘 아침에,
||last week||there is||
||先週||||
Yesterday, or last week, there's this word. This morning,
昨日、あるいは先週、こんな言葉がありますね。今朝、
저는 오늘 아침에 토스트를 먹은 적이 있어요
|||toast|||
|||トーストを|||
I've had toast this morning
私は今朝トーストを食べたことがあります
오늘 아침에 특별한 음식... 뭐가 있을까요?
|||食べ物||
This morning's special food... What's there?
今朝は特別な食べ物... 何があるでしょうか?
오늘 아침에 고기를 먹은 적이 있어요
I've eaten meat this morning.
今朝は肉を食べたことがあります
이렇게 말을 하면 좀 어색해요
||||feels awkward
||||変です
It 's so awkward.
こうやって言うと少し気まずいです
이 경험을 말할 때는 좀 오래된 기억 그리고 그 특별한 언제?
|experience|||||||||
||||||記憶||||
When you talk about this experience, it's a bit of an old memory and that particular time is not certain.
この経験を話すときは、少し古い記憶とその特別ないつ?
그렇게 정확하게 시간을 말하면 좀 어색해요
|正確に||||
It's a little awkward to say the exact time
そんなに正確に時間を言うと少し気まずいです
저는 아침에 삼겹살을 먹은 적이 있어요
||pork belly|||
||豚バラ肉を|||
I ate pork belly in the morning.
私は朝にサムギョプサルを食べたことがあります
이런 문장은 괜찮지만
|文は|
This sentence is okay, but
こんな文は大丈夫ですが
저는 어제 아침에 삼겹살을 먹은 적이 있어요 이렇게 말을 하면 좀 어색합니다
|||||||||||feels awkward
I ate pork belly yesterday. It's a little awkward
私は昨日の朝、豚バラを食べたことがあります。こう言うと少し awkward です
그래서 이 문법은 좀 오래된 과거, 오래된 기억을 말할 때 그럴 때 자주 쓰는 문법이에요
||||||||||||||is a grammar
|||||過去|||||||||文法です
So this grammar is used a lot to talk about the past, the old memories.
だからこの文法は少し古い過去、古い記憶を話す時によく使う文法です
그리고 또 이제 두 번째로 우리가 경험을 말할 때 자주 쓰는 문법으로
|||||||||||文法で
And now, secondly, there is a grammar
それから次に、私たちが経験について話すときによく使う文法として
'AV아/어/해 보다' 라는 문법이 있는데
called 'AV아/어/해 보다' as a grammar that
'AVしてみる' という文法がありますが
이 문법은 다른 사람한테 추천할 때는 'AV아/어/해 보세요'
||||recommend|||||
||||推薦する|||||
When recommending it to someone else, it's written, "AV아/어/해 보세요"
この文法は他の人に勧めるときは 'AVしてみてください' と言います
이 음식을 한번 먹어 보세요, 이 옷 한번 입어 보세요 이렇게 말할 때도 쓸 수 있는 문법이지만
||||||||||||||||grammar
||||||||||||||||文法ですが
ry this food, try this clothes on. It's a grammar you can use when you say this.
この食べ物を一度食べてみてください、この服を一度着てみてください。このように言うときにも使える文法ですが
무엇을 해 봤어요, AV아/어/해 봤어요 이렇게 과거의 형태로 쓰면
||||||||past|in the form|
|||||||||形で|使えば
I've done something, AV, uh,] Welve done it in a form of the past.
何をやってみましたか、AVした/やった/やってみました。このように過去の形で使うと
내가 한번 해 봤어요 어떤 경험이 있어요. 라는 표현을 말할 때 쓸 수 있는 문법입니다
|||||experience|||||||||grammar
|||||経験|||||||||文法です
I've tried it. I have some experience. The syntax that can be used when referring to expression,
私は一度やってみたことがあります。という経験があると言うときに使える文法です
그래서 '저는 한국 음식을 먹어 봤어요' 이렇게 말하면
so 'I've eaten Korea food' so
だから「私は韓国料理を食べたことがあります」と言うと
한국 음식을 먹었어요 그런 경험이 있어요
I ate Korean food. I've had that experience.
韓国料理を食べたことがありますそんな経験があります
이렇게 말할 때 쓸 수 있는 문법이에요
I ate the Korea Food I have that experience so to
こう言う時に使える文法です
그래서 저도 그 식당에 가 봤어요
I've been to that restaurant, too.
저도 그 사람하고 이야기해 봤어요
I'm the person to talk to I saw it
이렇게 이야기할 때 한국 사람들이 정말 많이 쓰는 문법인데요
||||||||particle
It's grammar that Koreans use a lot when they talk like this.
이게 'AV(으)ㄴ 적이 있다/없다'랑 정말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요
||||||with 'not exist'||confusing|part|
There's a part that's really confusing with AV(으)ㄴ 적이 있다/없다.
그런데 가장 'AV(으)ㄴ 적이 있다/없다 '랑 'AV아/어/해 봤어요'가 가장 크게 다른 점은
||||||||||||tried||||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AV(으)ㄴ 적이 있다/없다" and "AV랑 아/어/해 봤어요" is...
'AV아/어/해 봤어요'는 내가 한 일이기 때문에
|||is|||thing that|
'AV아/어/해 봤어요' is what I've done, what I've done myself.
내가 하고 싶어서 아니면 내가 하려고 계획해서
||||||planned
Either I want to do it, or I plan to do it.
그럴 때 쓸 수 있는 문법이에요
That's the kind of grammar you can use.
그래서 예를 들면 '사고가 났어요'
So, for example, there's been an accident.
이런 건 내가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이 아니에요
This isn't something I want to do. It's not something I can do at will
내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에요
I||||||
It's not something I can do as I please.
그래서 저는 사고가 나 봤어요. 교통 사고가 나 봤어요. 이런 문장은 어울리지 않아요
|||||traffic|||||sentence|fit|
So I've experienced an accident. I've experienced a traffic accident. Sentences like this don't fit.
저는 교통사고가 난 적이 있어요 이렇게 말하는 것은 괜찮은데
|traffic accident|||||||
It's okay to say I've had a traffic accident.
저는 교통사고가 나 봤어요 이렇게 말하면 이상해요
It's weird to say, "I've been in a car accident."
그래서 예를 들어서 어떤 사고나
||||accident
so for example any accidents or
아니면 날씨나 예를 들어서 '텍사스에 눈이 왔어요'
|the weather or|||in Texas||
or Lift the weather and the snow came to Texas,
좀 특별해요
I'm a bit special
그럴 때 텍사스에 눈이 와 봤어요
it It was snowing in Texas at the time
이렇게 말하면 좀 이상해요 하지만
It's strange to say this
텍사스에서 눈을 맞아 봤어요.
||I got hit by|
In Texas, snow was dropping me
눈을 맞는 것은 내가 밖에 나가서 '눈을 구경해야지.'
|||||||go sightseeing
I'm going to look at the snow.' I want to go out and get snowed heavily.
'눈을 맞아야지.' 이렇게 내가 생각하고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이에요
|have to hit|||||||
'We should see eye to eye.' That's what I think and do because I want to.
그럴 때는 'AV아/어/해 봤어요' 를 써도 괜찮습니다
||try||||||
In that case, it's okay to use 'AV아/어/해 봤어요.'
네, 오늘은 이렇게 한국 사람들이 경험을 말할 때
|||||experience||
Yes, that's how Koreans express their experiences today.
쓸 수 있는 두 가지 문법에 대해서 연습을 해봤는데요
|||||in grammar|||
We've been practicing two grammars that we can use.
AV(으)ㄴ 적이 있다/없다 그리고 oo을 해 보다, AV아/어/해 보다
AV(으)ㄴ 적이 있다/없다 & oo을 해 보다, AV아/어/해 보다
두 가지 문법에 대해서 연습을 해 봤습니다
We've been practicing two grammars.
우리 patreon 홈페이지가 있어요
|patreon|website|
There's our patreon homepage.
그 페이지에 오시면 제가 이 두 가지 문법에 대해서
|on the|||||||
If you come to the page, I explained these two grammars in detail.
여러가지 예문, 이 두가지 문법하고 잘 어울리는 단어와
|example||two|||goes well with|
A variety of example sentences, words that work well with this grammar, and example sentences.
자주 쓸 수 있는 예문들을 정리해 놓은 hand-out이 있습니다
||||||prepared|hand-out|handout|
There's a hand-out of examples that you can use frequently
그래서 좀 더 궁금한 사람, 더 자세하게 알고 싶은 사람들을
So, if you are curious or want to know more in detail,
우리 patreon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website|visit||would
please visit our patreon homepage
네,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우리는 다음 비디오에서 만나요
||||||video|
Okay, that's it for today, and we'll see you in the next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