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Ми використовуємо файли cookie, щоб зробити LingQ кращим. Відвідавши сайт, Ви погоджуєтесь з нашими правилами обробки файлів «cookie».

image

레오의 책읽는 밤 (Another Audio Book Collection), [KOR/ENG SUB]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_ 오은영 말하기/버럭하지 않고 분명하게 알려주는 방법/육아 전문가/책읽어주는 남자/오디오북/ 책읽어주는 asmr

[KOR/ENG SUB]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_ 오은영 말하기/버럭하지 않고 분명하게 알려주는 방법/육아 전문가/책읽어주는 남자/오디오북/ 책읽어주는 asmr

오늘 레오의 책읽는 밤

여러분께 읽어드릴 책은 오은영 박사의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입니다. 저자 오은영, 김영사 출판사에서 펴냈습니다.

저자 소개를 간단히 해드리면요, 저자 오은영은 정신 건강 의학과 전문 의사입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신촌 세브란스 병원 정신과 전공의를 거쳐 삼성 서울병원 소아 청소년 정신과 전임의,

그리고 임상교수를 거쳐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를 역임했습니다.

현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이자 오은영 소아 청소년 클리닉 학습발달연구소 원장,

오은영 아카데미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SBS 프로그램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를 비롯하여 EBS [60분 부모] 등 방송과 강연에서 저자의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었을 거예요.

오늘 저와 함께

부모로서 해야할 말들, 그리고 하면 안 되는 말들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책 속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아이에게 절대 하면 안 되는 말

아이가 말을 너무 안 듣습니다. 아이와 싸우다시피 하다가 홧김에

“나, 너 엄마 안 해. 너 같은 애 정말 못 키우겠다”라고 말해버렸습니다. “너 그렇게 말 안 들을 거면 나가. 이 집에서 나가“라고 말해버렸어요.

부모가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말입니다.

엄마들은 말해요. “아니, 누가 진짜로 그런대요?”

그건 38세인 엄마 생각이에요. 저는 엄마가 아이를 버리지 않는다는 것을 압니다.

하지만 생후 38개월인 아이는 ‘내가 잘못 행동해서 엄마가 많이 화났구나'라고 받아들이기보다 ‘엄마가 나를 정말 버릴 수도 있겠다'라고 생각해요.

부모의 기분에 따라, 자신이 잘하고 못하고에 따라 부모가 바뀔 수 있다는 말은

아이에게 버려지는 것에 대한 엄청난 두려움을 만듭니다.

“나, 너 엄마 안 해”라는 말, 오늘 이 시간부터 절대 하지 마세요.

그 말이 나오려고 하면 이렇게 바꾸어 말하세요.

“어휴, 엄마 노릇 하기 참 힘들다.”

말은 왜 하면 안 되는지를 알아야 덜 하게 됩니다.

하지만 덜 하다가도 어쩌다가 튀어나오기도 해요. 이때 얼른 수습하세요.

“엄마가 화나서 한 말이지, 엄마는 하고 안 하고 하는 것이 아니야. 그런데 네가 자꾸 이러니까 엄마도 힘들다.“ 이 정도로 뒷수습하세요.

이 말을 자주 했던 분이라면 아주 많이 연습하세요.

말도 자주 연습하면 바뀝니다. 몇백 번 반복하면 몸에 익습니다.

“너 이 집에서 나가!”라는 말도 마찬가지예요. “아빠 노릇 하기 참 힘드네”로 바꾸세요. 집에서 내쫓거나 밥을 굶기는 행동, 절대 하면 안 됩니다. 부모가 이렇게 할 때는 아이가 뭔가 일을 저지른 상황일 거예요. 말을 안 듣든, 뭔가 잘못을 했든 사건이 있었을 겁니다.

자기가 잘못을 저질렀어도 아이는 아이이기 때문에 무척 당황하고 두려워 합니다. 집은 나를 가장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공간이에요.

그곳으로부터 내쫓김을 당한다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가 지나치게 커요. 굉장한 박탈입니다. 누구의 소유이든 간에, 집은 가족 모두의 공간입니다. 누구도 다른 누구를 내쫓을 수 없어요. 가족 구성원이라면 집에 있는 것은 당연한 권리입니다.

정말 그럴 의도가 아니었다고 해도, 이 권리를 다른 누구도 아닌 부모가 박탈하는 행위 자체는 학대예요.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입니다.

부모는 권리가 아니에요. 권력도 아닙니다. 그냥 부모인 거예요. 부모의 역할은 하고 안 하고 하는 식으로 마음먹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에요. 조건이 붙으면 안 됩니다.

부모의 상태에 따라 바뀌어도 안 되는 거예요.

아이의 나이에 따라 해야 하는 역할이 달라질 뿐, 부모는 언제까지나 부모여야 합니다. 네, “나, 너 엄마 안 해. “너 이 집에서 나가!” 이런 표현은 말로도 해도 안 되고, 생각도 해도 안 되는 것 같습니다. 이제 그만, 대신 산책할까?

아이가 텔레비전을 오랫동안 시청하고 있어요.

부모는 텔레비전 앞에 좀비처럼 앉아 있는 아이 모습에 부글부글하다가 폭발하듯 말합니다. “그만 좀 봐!” 리모컨을 들고 텔레비전을 확 꺼 버려요. 이런 식의 접근은 좋지 않습니다.

아이가 한창 몰입하고 있는데 부모가 하는 말에 방해받으면 짜증이나 화만 날 뿐이거든요. 확 꺼버리면 아이 반발도 심합니다.

이렇게 하면 텔레비전, 스마트폰, 게임 등을 바로 중단하게 할 수는 있지만, 부모의 훈계를 받아들이게 하기도 어렵고 잘못된 행동이 고쳐지지도 않아요. 그다음에 해야 할 일을 기분 좋게 시키기도 어렵습니다.

어린아이라면 텔레비전을 끄기 전 “이제 그만, 너무 오래 봤어. 대신에 산책이나 하러 갈까?

아니면 밀가루 반죽 놀이는 어때?“ 라는 식으로

텔레비전을 대신할 무언가를 아이가 선택하게끔 기회를 주는 것이 좋아요. 선택할 놀이는 우리 아이가 특히 좋아하는 것으로 각자의 상황에 맞게 바꿔볼 수 있겠지요. 제법 큰 아이라면 20분이라도 미리 시작을 예고한 뒤에 그만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절이 안 되는 행동에 관한 대화는, 그것에 몰입하는 순간이 아니라 다음 날 아이가 그것을 안 하고 있을 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아이에게 부모의 말이 조금이라도 더 들립니다. 소리 내어 읽어볼까요?

“이제 그만, 너무 오래 봤어. 대신 산책할까? 아니면 밀가루 반죽 놀이는 어때?“

네, 이렇게 한번 활용해 보시면 효과가 나타날 것 같습니다.

‘이게 안 돼서 나 화나!'라고 말로 해

아이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 무언가 마음처럼 되지 않자 화내면서 장난감을 던졌습니다. 그 장난감이 튀어서 자고 있는 동생 이마에 맞을 뻔했어요. 이럴 때 “야, 동생 맞을 뻔했잖아! 어디서 장난감을 던져?”라고 혼내기보다 “뭐가 잘 안 돼?”라고 해서 일단 아이의 기분을 알아줘야 합니다. “그게 잘 안 돼서 기분이 안 좋았구나. 그런데 기분이 안 좋다고 물건을 던지면 안 되는 거야.”라고 알려줍니다. 아이가 의도치 않게 잘못을 했을 때 혼내기보다 아이의 감정을 먼저 공감해줘야 해요. “기분이 안 좋다고 엄마한테 말로 해. ‘이게 잘 안 돼서 엄마 나 화나!'라고. 기분이 안 좋다고 물건을 던지면 안 되는 거야. 지금 봐, 동생이 맞을 뻔했잖아. 너 동생 때리려고 던진 거야?라고 물어주세요.

말투에서 동생을 다치게 할 뻔한 것이 아이의 실수임을 엄마가 알고 있다는 느낌을 줍니다. 아이는 분명 “아니”라고 답할 거예요.

아이한테 다시 말해주세요.

“자칫하면 다른 사람이 다칠 수 있어. 화난다고 물건을 던지는 것은 안 되지. 화날 순 있는데 던지는 행동은 좋지 않아.”

아이가 “엄마도 화나?”라고 묻기도 합니다.

“그럼, 엄마도 화날 때가 있지. 그런데 엄마가 화난다고 프라이팬 던지고 그래? 아니지? 던지면 안 되는 거야”라고 알려주세요.

자, 그럼 소리 내어 읽어보세요.

“기분이 안 좋다고 엄마한테 말로 해. ‘이게 안 돼서 나 화나!'라고.

“화난다고 물건을 던지면 안 되는 거야. 화날 순 있는데, 던지는 행동은 좋지 않아.” 네, 이렇게 아이에게 말한다면 아이는 분명 마음이 누그러지고, 그리고 좋은 행동을 할 것만 같네요. 해와 달이 다 소중하듯 너희 둘 다 소중해

아이 둘을 키울 때, 한 아이가 특출나고 한 아이가 좀 뒤쳐진다고 느꼈을 때

두 아이가 서로 비교하지 않게끔 감정을 잘 다스려줘야 되는데요. 이 챕터를 읽고 도움을 받아보겠습니다.

두 아이를 키우는 데 한 아이의 실력이 유달리 뛰어나요. 다른 아이는 보통입니다. 못하는 것은 아니에요.

이런 상황에 우리는 자꾸 두 아이를 비교합니다.

“누나는 잘하는데 너는 왜 이것밖에 못하니?” 실력이 뛰어난 아이와 비교하여 보통인 아이를 깎아내립니다.

“넌 이렇게 잘하는데, 오빠가 너만큼 해주면 얼마나 좋겠니?” 라는 말처럼 못하는 아이와 비교해서 잘하는 아이를 칭찬합니다. 아이들을 비교하는 말은 정말 좋지 않아요.

아이를 화나게 하고, 분하게 만들며, 부모가 자신을 덜 사랑한다고 생각하게 만듭니다. 칭찬받는 아이는 다른 아이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면서 한편으로는 우쭐해져서 자신도 모르게 그 아이를 무시할 수도 있어요. 그러면서 자신도 제대로 못 하면 부모에게 사랑받지 못할까 봐 불안하기도 합니다. 한 아이가 실력이 뛰어난 바람에 상대적으로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 아이는 충분히 잘하고 있는데도 불필요한 열등감을 느낄 수도 있어요. 부모는 뛰어난 아이가 보여주는 행동을 기준으로 삼지 않도록 아주 많이 조심해야 됩니다. “엄마, 나는 누나보다 못났지?” 보통인 아이가 이렇게 물어보면 어떻게 대답해야 좋을까요? 아이에게 이렇게 되물어주세요. “낮에는 해가 뜨고 밤에는 달이 뜨잖아. 해와 달 중에 뭐가 더 중요할까?” 아이가 나름대로 대답하면 이렇게 설명해주세요.

“우리가 살아가는 데 낮의 밝음도 정말 소중하고 밤의 어둠도 정말 소중해. 해는 낮의 해로서 해야 하는 일이 있고, 달은 밤의 달로서 해야 하는 일이 있지. 서로 다르지만 똑같이 중요해. 너희도 해와 달 같아. 누가 해이고 달인지는 모르겠어. 그런데 해와 달이 다 소중하듯 너의 둘 다 소중해.” 소리 내어 읽어볼까요?

“너희도 해와 달과 같아. 서로 다르지만, 똑같이 중요해. 해와 달이 다 소중하듯 너희 둘 다 소중해.“

각자의 재능과 역할이 각기 다르다는 것을 이런 식으로 이야기해주세요. 아이들이 잘 이해합니다.

어떤 일을 할 때 행복할 것 같니?

요즘 아이들은 과도한 경쟁 탓에 성적 올리기에만 급급하는 그런 분위기 속에서 살고 있는데요. 이런 말 한마디면 진정 자신이 원하는 길을 찾아나갈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책 속으로 들어가 볼게요.

어떤 일을 할 때 행복할 것 같니?

얼마 전 상담 받던 중학교 2학년 아이에게 꿈을 물었어요.

아이는 꿈이 없다고 했습니다.

기록을 보니 초등학교 저학년 때 아이의 꿈은 과학자였더군요. “너 어릴 때는 꿈이 과학자였잖아. 왜 꿈이 없어졌어?”라고 물었더니 아이는 “저, 공부 못해요. 성적이 너무 나빠요.”라고 대답했습니다. 꿈은 직업이 아니에요. 그렇게 여기면 아이가 너무 일찍 한계에 부딪힙니다. 여러 아이들이 꿈 때문에 무기력해져요.

아이에게 꿈을 물을 때는 이렇게 말해주세요.

“네가 어떤 일을 할 때 행복할 것 같니?” “네가 어떤 일을 하면 잘할 수 있을 것 같니?” 이렇게 말이에요.

저는 꿈이 없다는 아이에게 이렇게 말해줍니다.

“꼭 대단한 인물이 돼야 하는 것은 아니야. 누구나 세종대왕이나 이순신이 될 필요는 없어. 그들은 5,000년에 한두 명 나올까 말까 한 사람이야.

꿈이라는 것은 내가 보람 있고 가치 있다고 느끼는 일, 그 일이 속한 영역까지만 생각해두면 되는 거야. 특정 직업을 정해야 하는 건 아니야.

아이가 꿈을 찾는 것을 도울 때는 반드시 과녁의 정중앙에 자신을 두게 해야 해요. ‘나는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어떤 일을 할 때 보람과 행복을 더 느끼는가?' ‘어떤 일이 유독 싫고 힘든가?'를 생각해보게 하세요.

이타적인 부분도 고려해야 합니다.

내가 속한 이웃 내지는 사회, 국가, 인류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지도 생각해보게 하세요. 이타적인 면이 조금이라도 있어야 그 꿈을 이루고자 하는 마음이 강해집니다. 그런데요, 꿈이라는 것에는 우회하는 방법이 늘 있어요. 우리도 옛날의 꿈과 100퍼센트 같진 않아도 유사한 일을 하면서 보람과 행복을 느끼며 살지 않나요? 아이의 꿈도 그래요. 꿈은 인생의 나침반이나 등대 같은 거예요. 절대적인 것은 없어요. 그저 그 방향으로 가면 됩니다. 네, 이 책을 통해 오은영 박사가 말하는 부모의 말 첫 번째 핵심은 바로 역설적이지만 말하는 것보다 듣기라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육아 상황에서 최악의 경우는 아이가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인데요. 아이가 어떤 형태로 말하든지 그걸 무시하거나 꾸짖거나 중단시키지 말고 우선 들어줘야 합니다. 아이가 그런 감정을 느끼고 그렇게 행동할 수 있었다는 것을 충분히 들으면서 인정하고 수긍해줘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 감정의 주인이 다른 사람이 아닌 아이 자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인데요. 이것은 아이를 부모의 소유물로 여기지 않고 나와 다른 또 다른 인격체로 존중하며 교육하는 방식입니다.

레오의 책읽는 밤

오늘 오은영 박사의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 책을 읽어보았는데요.

이제는 더 이상 잔소리가 아닌, 훈육이 될 수 있는 부모의 말 한 마디 130가지 중에서 5가지 챕터를 여러분과 함께 읽어보았습니다. 앞으로 여러분, 버럭 하지 말고 분명하게 알려주는 방법인

이 지혜로운 말 한마디를 꼭 기억해주시길 바라며

오늘 클로징 멘트 대신에 책에 있는 문장을 읽으면서 마무리 해보겠습니다.

사람은 잘하는 것도 있고, 못하는 것도 있습니다.

못하는 것은 자신이 불편하지 않을 정도로 고쳐나가며 살면 됩니다. 아이에게 그걸 가르쳐 주시면 돼요.

그래야 아이가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모습을 흔쾌히 마주할 수 있습니다. 오늘 여러분과 함께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를 함께 읽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Learn languages from TV shows, movies, news, articles and more! Try LingQ for FREE

[KOR/ENG SUB]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_ 오은영 말하기/버럭하지 않고 분명하게 알려주는 방법/육아 전문가/책읽어주는 남자/오디오북/ 책읽어주는 asmr |||how|should I tell you|should I|Oh Eun-young|speaking|without yelling|not|clearly|informing|method|parenting|expert|reading books to|man|audiobook|reading books to|ASMR [KOR/ENG SUB] Wie man mir sagt, wie man dir sagt_ Eunyoung Oh/ Wie man mir klar und deutlich sagt, ohne zu platzen/ Kinderbetreuungsexperte/ Mann, der Bücher liest/ Hörbücher/ Bücherlesen asmr [KOR/ENG SUB] How should I say it_ Oh Eun-young's way of speaking/How to clearly inform without getting angry/Child-rearing expert/Man reading books/Audiobook/Book reading ASMR

오늘 레오의 책읽는 밤 today|Leo's|reading|night Tonight is Leo's book reading night.

여러분께 읽어드릴 책은 오은영 박사의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입니다. to you all|I will read|book|Oh Eun-young|doctor's|how|I should tell|should I》| The book I will read to you is Oh Eun-young's 《How Should I Say It》. 저자 오은영, 김영사 출판사에서 펴냈습니다. author|Oh Eun-young|Kim Young-sa|from the publisher|published Author: Oh Eun-young, published by Kim Young Sa.

저자 소개를 간단히 해드리면요, 저자 오은영은 정신 건강 의학과 전문 의사입니다. the author|introduction|briefly|if I provide|author|Oh Eun-young|mental|health|medicine|specialist|is a doctor To briefly introduce the author, Oh Eun-young is a specialist in mental health medicine.

연세대학교 의과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Yonsei University|medical school|graduated|same|school|from graduate school|master's|degree|received Graduated from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received a master's degree from the same university's graduate school,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Korea University|in graduate school|medical|doctoral|degree|obtained and obtained a Doctor of Medicine degree from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신촌 세브란스 병원 정신과 전공의를 거쳐 삼성 서울병원 소아 청소년 정신과 전임의, Sinchon|Severance|hospital|psychiatry|residency|after|Samsung|Seoul Hospital|pediatric|adolescent|psychiatry|fellow After completing a residency in psychiatry at Sinchon Severance Hospital, he served as a fellow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t Samsung Medical Center,

그리고 임상교수를 거쳐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를 역임했습니다. and|clinical professor|after|Ajou University|medical school|psychiatry|professor|served as and then as a clinical professor, he held the position of professor of psychiatry at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현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이자 오은영 소아 청소년 클리닉 학습발달연구소 원장, currently|Yonsei University|medical school|as an adjunct professor|Oh Eun-young|pediatric|adolescent|clinic|research institute for learning development|director Currently, he is an adjunct professor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the director of the Oh Eun-young Child and Adolescent Clinic Learning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오은영 아카데미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Oh Eun-young|academy|as the director|is active|is I am serving as the director of the Oh Eun-young Academy.

SBS 프로그램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를 비롯하여 EBS [60분 부모] 등 방송과 강연에서 SBS|program|our|child|changed|(object marker)|including|EBS|60 minutes|parents|etc|broadcasting and|in lectures You may have heard a lot of the author's stories through broadcasts and lectures, including the SBS program [My Child Has Changed] and EBS [60 Minutes for Parents]. 저자의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었을 거예요. the author's|story|a lot|hear|possibility|was|be Today, together with me,

오늘 저와 함께 today|with me|together we will learn about the things parents should say and the things they should not say.

부모로서 해야할 말들, 그리고 하면 안 되는 말들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Với tư cách phụ huynh||||||||| as a parent|should|things to say|and|if you|not|acceptable||we will learn|I will we will learn what to say as a parent and what not to do. 그럼 책 속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then|book|into|I will go|I will Then I will go into the book.

아이에게 절대 하면 안 되는 말 to the child|absolutely|should|not|be|words Things you should never say to a child.

아이가 말을 너무 안 듣습니다. 아이와 싸우다시피 하다가 홧김에 the child|words|too|not|listens|with the child|as if fighting|while|in anger The child doesn't listen at all. While fighting with the child, in a fit of anger,

“나, 너 엄마 안 해. 너 같은 애 정말 못 키우겠다”라고 말해버렸습니다. I|you|mother|not|do||like|child|really|cannot|raise|| I ended up saying, "I won't be your mom anymore. I really can't raise a child like you." “너 그렇게 말 안 들을 거면 나가. 이 집에서 나가“라고 말해버렸어요. you|like that|talk|not|listen|if|go out|this|from house|go out|that|I said I also said, "If you're not going to listen, get out. Leave this house."

부모가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말입니다. parents|absolutely|should|not|doing|words This is something parents should never say.

엄마들은 말해요. “아니, 누가 진짜로 그런대요?” mothers|say|no|who|really|does that Moms say, 'No, who really says that?'

그건 38세인 엄마 생각이에요. 저는 엄마가 아이를 버리지 않는다는 것을 압니다. that|38-year-old|mother|is thought|I|my mother|child|abandoning|not|thing|know That's the thought of a 38-year-old mom. I know that moms don't abandon their children.

하지만 생후 38개월인 아이는 ‘내가 잘못 행동해서 엄마가 많이 화났구나'라고 받아들이기보다 but|at the age of|38-month-old|child|I|wrong|by acting|mom|very||rather than accepting However, a 38-month-old child interprets it not as 'I must have behaved badly and made mom very angry,' but rather ‘엄마가 나를 정말 버릴 수도 있겠다'라고 생각해요. my mom|me|really|abandon|possibility||I think as 'Mom might really abandon me.'

부모의 기분에 따라, 자신이 잘하고 못하고에 따라 부모가 바뀔 수 있다는 말은 the parent's|mood|according to|oneself|doing well|not doing well|according to|parent|changing|possibility|that|statement The statement that parents can change depending on their mood and on how well or poorly the child is doing,

아이에게 버려지는 것에 대한 엄청난 두려움을 만듭니다. to the child|being abandoned|about|regarding|tremendous|fear|creates creates an immense fear of being abandoned in the child.

“나, 너 엄마 안 해”라는 말, 오늘 이 시간부터 절대 하지 마세요. I|you|mom|not|do|that|word|today|this|from time|absolutely|do|don't From this moment on, please never say, "I won't be your mom anymore."

그 말이 나오려고 하면 이렇게 바꾸어 말하세요. that|word|is about to come out|if|like this|change|speak If you feel like saying that, rephrase it like this.

“어휴, 엄마 노릇 하기 참 힘들다.” oh|mom|role|doing|really|is hard "Oh, being a mom is really hard."

말은 왜 하면 안 되는지를 알아야 덜 하게 됩니다. the words|why|should|not|be|know|less|to|be You need to understand why you shouldn't speak in order to speak less.

하지만 덜 하다가도 어쩌다가 튀어나오기도 해요. 이때 얼른 수습하세요. but|less|even when|occasionally|pops out|happens|at this time|quickly|manage it However, even if you try to speak less, sometimes it just slips out. When that happens, quickly manage the situation.

“엄마가 화나서 한 말이지, 엄마는 하고 안 하고 하는 것이 아니야. my mom|angry|one|said|my mom|doing|not|doing|doing|thing|is not "Mom said that out of anger; it's not something Mom means to say or not say. 그런데 네가 자꾸 이러니까 엄마도 힘들다.“ 이 정도로 뒷수습하세요. but|you|repeatedly|like this|mom also|is having a hard time|this||clean up after But since you keep doing this, it's hard for Mom too." Manage the situation like this.

이 말을 자주 했던 분이라면 아주 많이 연습하세요. this|speech|often|was|person|very|much|practice If you have said this often, practice it a lot.

말도 자주 연습하면 바뀝니다. 몇백 번 반복하면 몸에 익습니다. speaking|often|if you practice|changes|several hundred|times|if you repeat|in your body|becomes familiar If you practice speaking often, it will change. If you repeat it hundreds of times, it will become second nature.

“너 이 집에서 나가!”라는 말도 마찬가지예요. “아빠 노릇 하기 참 힘드네”로 바꾸세요. you|this|from house|leave|that|words|same|dad|role|doing|really|is hard|| The same goes for saying, 'Get out of this house!' Change it to, 'Being a dad is really hard.' 집에서 내쫓거나 밥을 굶기는 행동, 절대 하면 안 됩니다. at home|evicting|food|starving|action|absolutely|should|not|be allowed You should never engage in actions that kick a child out of the house or make them go hungry. 부모가 이렇게 할 때는 아이가 뭔가 일을 저지른 상황일 거예요. the parents|like this|do|when|child|something|issue|committed|situation|is When parents do this, it usually means the child has done something wrong. 말을 안 듣든, 뭔가 잘못을 했든 사건이 있었을 겁니다. the word|not|listening|something|wrong|did|incident|was|must be Whether they are not listening or have done something wrong, there must have been an incident.

자기가 잘못을 저질렀어도 아이는 아이이기 때문에 무척 당황하고 두려워 합니다. he/she|mistake|committed||being a child|because|very|confused|afraid|is Even if a child has made a mistake, they are still a child, so they feel very confused and scared. 집은 나를 가장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공간이에요. the house|me|most|safely|protecting|space Home is the space that protects me the safest.

그곳으로부터 내쫓김을 당한다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가 지나치게 커요. from that place|being expelled|being|thing|negative|meaning|excessively|is large Being expelled from that place carries an excessively negative meaning. 굉장한 박탈입니다. 누구의 소유이든 간에, 집은 가족 모두의 공간입니다. great|deprivation|anyone's|ownership|regardless of|house|family|all|space It is a tremendous deprivation. Regardless of whose property it is, a home is a space for the entire family. 누구도 다른 누구를 내쫓을 수 없어요. 가족 구성원이라면 집에 있는 것은 당연한 권리입니다. no one|other|person|to expel|possibility|is not|family|if they are a member|in the house|being|thing|natural|right No one can expel anyone else. If you are a family member, being in the home is a natural right.

정말 그럴 의도가 아니었다고 해도, 이 권리를 다른 누구도 아닌 부모가 박탈하는 행위 자체는 학대예요. really|that|intention|was not|even if|this|right|other|anyone|not|parents|depriving|act|itself|is abuse Even if there was no intention to do so, the act of depriving this right by none other than the parents is abuse.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입니다. absolutely|should|not|be|action It is an action that should never be done.

부모는 권리가 아니에요. 권력도 아닙니다. 그냥 부모인 거예요. parents|a right|are not|power|is not|just|being a parent|is Parents are not a right. They are not a power. They are just parents. 부모의 역할은 하고 안 하고 하는 식으로 마음먹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에요. the parent's|role|doing|not|doing|being|in a way|deciding|possibility|being|thing|not The role of a parent cannot be something that can be decided on or off. 조건이 붙으면 안 됩니다. the condition|attached|not|is allowed Conditions should not be attached.

부모의 상태에 따라 바뀌어도 안 되는 거예요. the parent's|state|according to|even if it changes|not|allowed|is It shouldn't change depending on the parent's condition.

아이의 나이에 따라 해야 하는 역할이 달라질 뿐, 부모는 언제까지나 부모여야 합니다. the child|age|according to|should|doing|role|change|only|parents|always|should be parents|is The roles that need to be fulfilled change according to the child's age, but parents must always be parents. 네, “나, 너 엄마 안 해. “너 이 집에서 나가!” yes|I|you|mom|not|do|you|this|in house|go out Yes, "I won't be your mom. Get out of this house!" 이런 표현은 말로도 해도 안 되고, 생각도 해도 안 되는 것 같습니다. this|expression|verbally|should|not|be|thought|should|not|be|thing|seems I think such expressions shouldn't be said or even thought. 이제 그만, 대신 산책할까? now|stop|instead|shall we take a walk How about we stop that and go for a walk instead?

아이가 텔레비전을 오랫동안 시청하고 있어요. the child|television|for a long time|is watching|is The child is watching television for a long time.

부모는 텔레비전 앞에 좀비처럼 앉아 있는 아이 모습에 부글부글하다가 폭발하듯 말합니다. the parents|television|in front of|like a zombie|sitting|that is|child|appearance|bubbling with anger|as if exploding|says The parents, seeing the child sitting in front of the television like a zombie, get frustrated and explode with words. “그만 좀 봐!” 리모컨을 들고 텔레비전을 확 꺼 버려요. 이런 식의 접근은 좋지 않습니다. stop|a little|looking|remote control|holding|television|suddenly|off|turns|this|type of|approach|not good|is "Stop watching!" They grab the remote and turn off the television abruptly. This kind of approach is not good.

아이가 한창 몰입하고 있는데 부모가 하는 말에 방해받으면 짜증이나 화만 날 뿐이거든요. the child|in the midst of|being immersed|is|the parent|saying|words|if interrupted|annoyance|only anger|arises|is When the child is deeply engaged, being interrupted by the parents only leads to annoyance or anger. 확 꺼버리면 아이 반발도 심합니다. definitely|if you turn off|child|resistance|is strong If they turn it off abruptly, the child's resistance is also strong.

이렇게 하면 텔레비전, 스마트폰, 게임 등을 바로 중단하게 할 수는 있지만, like this|if|television|smartphone|game|etc|immediately|stop|can||but This way, you can immediately stop activities like watching television, using smartphones, or playing games, 부모의 훈계를 받아들이게 하기도 어렵고 잘못된 행동이 고쳐지지도 않아요. the parents|admonition|accepting|even|difficult|wrong|behavior|not corrected|is but it's also difficult to get children to accept parental guidance, and their bad behaviors won't change. 그다음에 해야 할 일을 기분 좋게 시키기도 어렵습니다. next|should|do|work|mood|pleasantly|making|is difficult It's also hard to encourage them to do what they need to do in a pleasant way.

어린아이라면 텔레비전을 끄기 전 “이제 그만, 너무 오래 봤어. 대신에 산책이나 하러 갈까? if it's a child|the television|turning off|before|now|stop|too|long|watched|instead|for a walk|to go|shall we go If they are young children, before turning off the television, you might say, "That's enough, you've watched for too long. How about we go for a walk instead?

아니면 밀가루 반죽 놀이는 어때?“ 라는 식으로 or|flour|dough|playing|how about||like Or how about playing with dough?"

텔레비전을 대신할 무언가를 아이가 선택하게끔 기회를 주는 것이 좋아요. the television|to replace|something|the child|to choose|opportunity|giving|thing|is good It's good to give the child the opportunity to choose something to replace the television. 선택할 놀이는 우리 아이가 특히 좋아하는 것으로 각자의 상황에 맞게 바꿔볼 수 있겠지요. the choice|game|our|child|especially|likes|as|each|situation|suitable|can change|possibility|is The games to choose from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each situation, especially with what our child likes. 제법 큰 아이라면 20분이라도 미리 시작을 예고한 뒤에 그만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quite|big|if the child|even 20 minutes|in advance|starting|notifying|after|stopping|doing|thing|is good If the child is quite big, it's better to announce the end after starting 20 minutes in advance. 조절이 안 되는 행동에 관한 대화는, 그것에 몰입하는 순간이 아니라 controlling|not|possible|behavior|regarding|conversation|that|immersing|moment|not Conversations about uncontrollable behavior are better held not in the moment of immersion, 다음 날 아이가 그것을 안 하고 있을 때 하는 것이 좋습니다. next|day|child|that|not|doing|being|when|doing|thing|is good but the next day when the child is not engaged in that behavior. 그래야 아이에게 부모의 말이 조금이라도 더 들립니다. that way|to the child|parent's|words|even a little|more|are heard This way, the child will hear the parents' words a little more. 소리 내어 읽어볼까요? sound|out|shall we read Shall we read it out loud?

“이제 그만, 너무 오래 봤어. 대신 산책할까? 아니면 밀가루 반죽 놀이는 어때?“ now|stop|too|long|we looked|instead|shall we take a walk|or|flour|dough|playing with|how about "That's enough, you've been watching for too long. How about a walk instead? Or how about playing with dough?"

네, 이렇게 한번 활용해 보시면 효과가 나타날 것 같습니다. yes|like this|once|utilize|if you|effect|will appear|thing|seems Yes, if you try using it this way, I think the effect will show.

‘이게 안 돼서 나 화나!'라고 말로 해 this|not|working|I|angry||| Say, 'I'm angry because this isn't working!'

아이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 무언가 마음처럼 되지 않자 화내면서 장난감을 던졌습니다. the child|with the toy|having|while playing|something|as he/she wanted|not going|when|getting angry|the toy|threw The child got angry and threw the toy when it didn't go as they wanted. 그 장난감이 튀어서 자고 있는 동생 이마에 맞을 뻔했어요. that|toy|bounced|sleeping|is|younger sibling|on the forehead|hit|almost The toy almost hit the sleeping younger sibling on the forehead. 이럴 때 “야, 동생 맞을 뻔했잖아! 어디서 장난감을 던져?”라고 혼내기보다 this|time|hey|younger sibling|hit|almost|where|toy|throwing|said|scolding At times like this, instead of scolding with "Hey, you almost hit your sibling! Where are you throwing toys from?" “뭐가 잘 안 돼?”라고 해서 일단 아이의 기분을 알아줘야 합니다. what|well|not|is working|said|so|first|child's|feelings|should understand|we You should first ask, "What's not going well?" to acknowledge the child's feelings. “그게 잘 안 돼서 기분이 안 좋았구나. 그런데 기분이 안 좋다고 물건을 던지면 안 되는 거야.”라고 알려줍니다. that|well|not|working|feeling|not|was good|but|feeling|not|good|object|throwing|not|allowed|is|| You can then explain, "So you were feeling bad because that didn't go well. But you shouldn't throw things just because you're feeling bad." 아이가 의도치 않게 잘못을 했을 때 혼내기보다 아이의 감정을 먼저 공감해줘야 해요. the child|unintentionally|not|mistake|did|when|rather than scolding|the child's|feelings|first|should empathize|should When a child makes a mistake unintentionally, instead of scolding them, you should first empathize with their feelings. “기분이 안 좋다고 엄마한테 말로 해. ‘이게 잘 안 돼서 엄마 나 화나!'라고. my mood|not|good|to mom|in words|say|this|well|not|working|mom|I|angry| Tell them, 'If you're feeling bad, say it to mom. Say, 'I'm angry because this isn't going well!' 기분이 안 좋다고 물건을 던지면 안 되는 거야. 지금 봐, 동생이 맞을 뻔했잖아. my mood|not|good|object|if I throw|not|allowed|is|now|look|younger sibling|hit|almost It's not okay to throw things when you're feeling bad. Look, your sibling almost got hit. 너 동생 때리려고 던진 거야?라고 물어주세요. you|younger sibling|to hit|thrown|is|that|please ask Ask them, 'Did you throw that to hit your sibling?'

말투에서 동생을 다치게 할 뻔한 것이 아이의 실수임을 엄마가 알고 있다는 느낌을 줍니다. in the tone|younger sibling|hurt|to|almost|thing|child's|mistake|mother|knowing|that|feeling|gives The tone of voice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 mother understands that the child’s mistake was almost hurting their sibling. 아이는 분명 “아니”라고 답할 거예요. the child|surely|||will answer|will The child will definitely answer "no."

아이한테 다시 말해주세요. to the child|again|please tell Please tell the child again.

“자칫하면 다른 사람이 다칠 수 있어. 화난다고 물건을 던지는 것은 안 되지. if carelessly|other|person|get hurt|possibility|exists|being angry|object|throwing|thing|not| "If you're not careful, someone else could get hurt. It's not okay to throw things just because you're angry." 화날 순 있는데 던지는 행동은 좋지 않아.” angry|possibility|there is|throwing|action|not good|is not You can be angry, but throwing things is not good."

아이가 “엄마도 화나?”라고 묻기도 합니다. the child|mom|angry||asks|does The child sometimes asks, "Are you angry too, mom?"

“그럼, 엄마도 화날 때가 있지. 그런데 엄마가 화난다고 프라이팬 던지고 그래? 아니지? then|mom|gets angry|times|right|but|mom|if she's angry|frying pan|throws|like that|no way "Then, mom gets angry sometimes too. But does mom throw a frying pan when she's angry? No, right?" 던지면 안 되는 거야”라고 알려주세요. if you throw|not|allowed|thing|| "You shouldn't throw it," please let them know.

자, 그럼 소리 내어 읽어보세요. now|then|sound|out|read "Now, read it out loud."

“기분이 안 좋다고 엄마한테 말로 해. ‘이게 안 돼서 나 화나!'라고. my mood|not|good|to my mom|by words|say|this|not|working|I|angry| "If you're feeling bad, tell mom with words. 'I'm angry because this isn't working!'"

“화난다고 물건을 던지면 안 되는 거야. 화날 순 있는데, 던지는 행동은 좋지 않아.” being angry|at the object|throwing|not|permissible|is|being angry|possible|is|throwing|action|good|not "It's not okay to throw things when you're angry. You can be angry, but throwing things is not good." 네, 이렇게 아이에게 말한다면 아이는 분명 마음이 누그러지고, 그리고 좋은 행동을 할 것만 같네요. yes|like this|to the child|if I speak|the child|surely|heart|softening|and|good|behavior|will|only|seem Yes, if I say this to the child, the child will surely feel better and will likely behave well. 해와 달이 다 소중하듯 너희 둘 다 소중해 the sun|moon|both|precious|you|two|both|are precious Just as the sun and the moon are both precious, both of you are precious.

아이 둘을 키울 때, 한 아이가 특출나고 한 아이가 좀 뒤쳐진다고 느꼈을 때 child|two|raising|when|one||outstanding|one||somewhat|lagging behind|felt|when When raising two children, if one child seems exceptional and the other seems a bit behind.

두 아이가 서로 비교하지 않게끔 감정을 잘 다스려줘야 되는데요. two|child|each other|comparing|not|emotions|well|should manage|should be I need to manage my emotions well so that the two children do not compare themselves to each other. 이 챕터를 읽고 도움을 받아보겠습니다. this|chapter|reading||I will receive I will read this chapter and seek help.

두 아이를 키우는 데 한 아이의 실력이 유달리 뛰어나요. 다른 아이는 보통입니다. 못하는 것은 아니에요. two|children|raising|in|one|child's|ability|exceptionally|is outstanding|other||is average|not able to|thing|is not One of the two children is exceptionally talented. The other child is average. It's not that they can't do it.

이런 상황에 우리는 자꾸 두 아이를 비교합니다. this|situation|we|repeatedly|two|children|compare In this situation, we often compare the two children.

“누나는 잘하는데 너는 왜 이것밖에 못하니?” 실력이 뛰어난 아이와 비교하여 보통인 아이를 깎아내립니다. older sister|is good at|you|why|only this|can't do|skill|outstanding|child|in comparison to|average|child|belittles "Your sister is doing well, but why can you only do this much?" This belittles the average child in comparison to the talented one.

“넌 이렇게 잘하는데, 오빠가 너만큼 해주면 얼마나 좋겠니?” 라는 말처럼 못하는 아이와 비교해서 잘하는 아이를 칭찬합니다. you|like this|are doing well|older brother|as much as you|if he does|how|would be good|that|like saying|not doing well|child|in comparison to|doing well|child|I praise Statements like "You're doing so well, how great would it be if your brother could do as much as you?" praise the talented child in comparison to the one who struggles. 아이들을 비교하는 말은 정말 좋지 않아요. the children|comparing|words|really|not good|is Comparing children is really not a good thing.

아이를 화나게 하고, 분하게 만들며, 부모가 자신을 덜 사랑한다고 생각하게 만듭니다. the child|angry|and|resentful|making|parents|themselves|less|loving|think|makes It makes the child angry, frustrated, and makes them think that their parents love them less. 칭찬받는 아이는 다른 아이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면서 한편으로는 우쭐해져서 자신도 모르게 그 아이를 무시할 수도 있어요. being praised||other|to the child|sorry|feeling|while|on the other hand|becoming smug|even oneself|unknowingly|that|child|to ignore|possibility|is A child who is praised may feel sorry for another child, while at the same time feeling proud and may unknowingly ignore that child. 그러면서 자신도 제대로 못 하면 부모에게 사랑받지 못할까 봐 불안하기도 합니다. while|myself|properly|not|if|from my parents|loved|not|I wonder|also anxious|am At the same time, they may feel anxious that if they don't do well, they won't be loved by their parents. 한 아이가 실력이 뛰어난 바람에 상대적으로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 아이는 one|child|ability|outstanding|due to|relatively|less capable|as if|appearing| A child who appears to be less capable because another child is exceptionally skilled, 충분히 잘하고 있는데도 불필요한 열등감을 느낄 수도 있어요. sufficiently|doing well|even though|unnecessary|inferiority|feeling|possibility|there is may feel unnecessary inferiority even though they are doing well enough. 부모는 뛰어난 아이가 보여주는 행동을 기준으로 삼지 않도록 아주 많이 조심해야 됩니다. parents|outstanding|child|showing|behavior|as a standard|should take|not to|very|much|should be careful|be Parents need to be very careful not to use the behavior of outstanding children as a standard. “엄마, 나는 누나보다 못났지?” 보통인 아이가 이렇게 물어보면 어떻게 대답해야 좋을까요? 아이에게 이렇게 되물어주세요. mom|I|than my older sister|am less attractive|average|child|like this|asks|how|should|be good|to the child|like this|ask back If an average child asks, 'Mom, am I not as good as my older sister?' how should you respond? You can ask the child this in return. “낮에는 해가 뜨고 밤에는 달이 뜨잖아. 해와 달 중에 뭐가 더 중요할까?” during the day|sun|rises|at night|moon|rises|sun and|moon|among|which|more|important 'During the day, the sun rises, and at night, the moon rises. Which is more important, the sun or the moon?' 아이가 나름대로 대답하면 이렇게 설명해주세요. the child|in his/her own way|answers|like this|please explain When the child answers in their own way, you can explain it like this.

“우리가 살아가는 데 낮의 밝음도 정말 소중하고 밤의 어둠도 정말 소중해. we|living|in|of the day|brightness|really|precious|of the night|darkness|really|is precious 'The brightness of the day is really precious, and the darkness of the night is also really precious for us to live.' 해는 낮의 해로서 해야 하는 일이 있고, 달은 밤의 달로서 해야 하는 일이 있지. the sun|of the day|as the sun|must|doing|work|exists|the moon|of the night|as the moon|must|doing|work|exists The sun has things it must do as the sun of the day, and the moon has things it must do as the moon of the night. 서로 다르지만 똑같이 중요해. 너희도 해와 달 같아. each other|different|equally|important|you all|sun|moon|are They are different but equally important. You are like the sun and the moon. 누가 해이고 달인지는 모르겠어. 그런데 해와 달이 다 소중하듯 너의 둘 다 소중해.” who|sun|moon|I don't know|but|sun|moon|both|as precious|your|both|all|are precious I don't know who is the sun and who is the moon. But just as the sun and the moon are both precious, both of you are precious. 소리 내어 읽어볼까요? sound|out|shall we read Shall we read it out loud?

“너희도 해와 달과 같아. 서로 다르지만, 똑같이 중요해. 해와 달이 다 소중하듯 너희 둘 다 소중해.“ you all|sun|moon|are|each other|different|equally|important|sun|moon|both|as precious|you|two|both|are precious "You are like the sun and the moon.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equally important. Just as the sun and the moon are both precious, both of you are precious."

각자의 재능과 역할이 각기 다르다는 것을 이런 식으로 이야기해주세요. each person's|talent|role|respectively|is different|thing|this|way|please tell me Please talk about how each person's talents and roles are different in this way. 아이들이 잘 이해합니다. the children|well|understand The children understand well.

어떤 일을 할 때 행복할 것 같니? which|work|do|when|happy|thing|do you think What kind of work do you think would make you happy?

요즘 아이들은 과도한 경쟁 탓에 성적 올리기에만 급급하는 그런 분위기 속에서 살고 있는데요. these days|children|excessive|competition|due to|grades|only in raising|preoccupied|such|atmosphere|in|living|are These days, children live in an atmosphere where they are overly focused on improving their grades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이런 말 한마디면 진정 자신이 원하는 길을 찾아나갈지 모르겠습니다. this|word|one word|truly|oneself|wanting|path|will find|I do not know A single word like this might help them truly find the path they want. 그럼 책 속으로 들어가 볼게요. then|book|into|I will go|I will Then I'll go into the book.

어떤 일을 할 때 행복할 것 같니? which|work|do|when|happy|thing|do you think What do you think would make you happy when doing something?

얼마 전 상담 받던 중학교 2학년 아이에게 꿈을 물었어요. how much|ago|counseling|receiving|middle school|2nd year|to the child|dream|I asked Not long ago, I asked a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 about their dream during a counseling session.

아이는 꿈이 없다고 했습니다. the child|dream|does not have|said The child said they had no dream.

기록을 보니 초등학교 저학년 때 아이의 꿈은 과학자였더군요. the record|when I looked at|elementary school|lower grade|when|child's|dream|was to be a scientist Looking at the records, the child's dream in early elementary school was to be a scientist. “너 어릴 때는 꿈이 과학자였잖아. 왜 꿈이 없어졌어?”라고 물었더니 you|when you were young|at the time|dream|was a scientist|why|dream|disappeared|said|I asked "When I asked, 'You wanted to be a scientist when you were little. Why did you lose that dream?'"},{ 아이는 “저, 공부 못해요. 성적이 너무 나빠요.”라고 대답했습니다. the child|I|study|cannot|grades|very|are bad|said|answered the child replied, 'I can't study. My grades are too bad.' 꿈은 직업이 아니에요. 그렇게 여기면 아이가 너무 일찍 한계에 부딪힙니다. dream|job|is not|like that|if you think|child|too|early|to the limit|will hit A dream is not a job. If you think of it that way, the child will hit a limit too early. 여러 아이들이 꿈 때문에 무기력해져요. many|children|dream|because of|become lethargic Many children become lethargic because of their dreams.

아이에게 꿈을 물을 때는 이렇게 말해주세요. to the child|dream|ask|when|like this|please say When asking a child about their dreams, please say it like this.

“네가 어떤 일을 할 때 행복할 것 같니?” “네가 어떤 일을 하면 잘할 수 있을 것 같니?” 이렇게 말이에요. you|what|work|do|when|happy|thing|do you think|you|what|work|if|do well|possibility||thing|do you think|like this|is "What do you think will make you happy when you do something?" "What do you think you can do well?" That's what I mean.

저는 꿈이 없다는 아이에게 이렇게 말해줍니다. I|dream|not having|to the child|like this|I tell I say this to a child who says they have no dreams.

“꼭 대단한 인물이 돼야 하는 것은 아니야. 누구나 세종대왕이나 이순신이 될 필요는 없어. must|great|person|become|to|thing|not|anyone|Sejong the Great|Yi Sun-sin|become|necessity|not "You don't have to become a great person. Not everyone needs to be a King Sejong or Admiral Yi Sun-sin. 그들은 5,000년에 한두 명 나올까 말까 한 사람이야. they|once in 5000 years|one or two|person|might come out|might not|one|person They are people who come around once in 5,000 years.

꿈이라는 것은 내가 보람 있고 가치 있다고 느끼는 일, 그 일이 속한 영역까지만 생각해두면 되는 거야. dream|is|I|rewarding|being|valuable|being|feeling|work|that|work|belonging to|only area|if you think|is|it A dream is simply something that makes me feel fulfilled and valuable; you only need to think about the area that this work belongs to. 특정 직업을 정해야 하는 건 아니야. specific|job|to decide|to|thing|not You don't have to choose a specific profession.

아이가 꿈을 찾는 것을 도울 때는 반드시 과녁의 정중앙에 자신을 두게 해야 해요. the child|dream|finding|thing|help|when|must|of the target|in the center|himself/herself|place|should| When helping a child find their dream, you must ensure they place themselves at the very center of the target. ‘나는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어떤 일을 할 때 보람과 행복을 더 느끼는가?' I|what|strengths and weaknesses|do I have|what|work|do|when|fulfillment and|happiness|more|do I feel ‘What are my strengths and weaknesses?' ‘When do I feel the most fulfilled and happy in my work?' ‘어떤 일이 유독 싫고 힘든가?'를 생각해보게 하세요. which|work|particularly|is unpleasant|is difficult||| Encourage them to think about ‘What tasks do I particularly dislike and find difficult?'

이타적인 부분도 고려해야 합니다. altruistic|aspect|should consider|we You should also consider the altruistic aspects.

내가 속한 이웃 내지는 사회, 국가, 인류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지도 생각해보게 하세요. I|belong to|neighbor|or|society|nation|to humanity|contribute|possibility|being|method|what might be|make me think|please Think about how you can contribute to the neighborhood, society, country, or humanity that you belong to. 이타적인 면이 조금이라도 있어야 그 꿈을 이루고자 하는 마음이 강해집니다. altruistic|aspect|even a little|should be|that|dream|wanting to achieve|to|heart/mind|becomes stronger Having even a little bit of altruism strengthens the desire to achieve that dream. 그런데요, 꿈이라는 것에는 우회하는 방법이 늘 있어요. but|dream|to|circumventing|method|always|exists However, there are always ways to take detours when it comes to dreams. 우리도 옛날의 꿈과 100퍼센트 같진 않아도 유사한 일을 하면서 보람과 행복을 느끼며 살지 않나요? we|of the past|dream|100 percent|not exactly|even if|similar|work|while|fulfillment|happiness|feeling|living|don't we Don't we also feel fulfillment and happiness while doing similar things, even if they are not 100% the same as our old dreams? 아이의 꿈도 그래요. 꿈은 인생의 나침반이나 등대 같은 거예요. the child's|dream|is like that|dream|of life|compass or|lighthouse|like|thing The same goes for a child's dream. Dreams are like a compass or lighthouse in life. 절대적인 것은 없어요. 그저 그 방향으로 가면 됩니다. absolute|thing|does not exist|just|that|in the direction|if you go|is There is nothing absolute. You just need to go in that direction. 네, 이 책을 통해 오은영 박사가 말하는 부모의 말 첫 번째 핵심은 바로 yes|this|book|through|Oh Eun-young|doctor|speaking|parent's|words|||key point|exactly Yes, the first key point that Dr. Oh Eun-young mentions about parenting in this book is 역설적이지만 말하는 것보다 듣기라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paradoxically|speaking|than|listening|thing|know|possibility|was paradoxically, that it is more about listening than speaking. 육아 상황에서 최악의 경우는 아이가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인데요. parenting|in the situation|worst|case|child|any|words|does|not|| This is because the worst-case scenario in parenting is when a child says nothing at all. 아이가 어떤 형태로 말하든지 그걸 무시하거나 꾸짖거나 중단시키지 말고 우선 들어줘야 합니다. the child|any|form|speaks|that|ignoring|scolding|stopping|instead|first|should listen|is No matter how the child expresses themselves, you should not ignore, scold, or interrupt them, but rather listen first. 아이가 그런 감정을 느끼고 그렇게 행동할 수 있었다는 것을 충분히 들으면서 인정하고 수긍해줘야 합니다. the child|such|emotion|feeling|that way|behaving|possibility|was|thing|sufficiently|while listening|acknowledging|should agree|is We must fully acknowledge and accept that the child could feel such emotions and act in that way. 왜냐하면 그 감정의 주인이 다른 사람이 아닌 아이 자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인데요. because|that|of the emotion|owner|other|person|not|child|as|recognizing|| This is because recognizing that the owner of those emotions is not someone else but the child themselves. 이것은 아이를 부모의 소유물로 여기지 않고 나와 다른 또 다른 인격체로 존중하며 교육하는 방식입니다. this|child|parent's|as property|regard|not|with me|another|also||as an individual|respecting|educating|method This is a way of educating that respects the child as a different individual rather than viewing them as the parent's possession.

레오의 책읽는 밤 Leo's|reading|night Leo's Night of Reading.

오늘 오은영 박사의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 책을 읽어보았는데요. today|Oh Eun-young|doctor's|how|should I tell you|should I|book|I read Today, I read Dr. Oh Eun-young's book, 'How Should I Tell You?'

이제는 더 이상 잔소리가 아닌, 훈육이 될 수 있는 부모의 말 한 마디 now|more|no longer|nagging|not|discipline|can be|possibility|that is|parent's|words|one|phrase Now, it can be a word from parents that is no longer nagging, but can be discipline. 130가지 중에서 5가지 챕터를 여러분과 함께 읽어보았습니다. 130 things|among|5|chapters|with you|together|we read We have read 5 chapters out of 130 together. 앞으로 여러분, 버럭 하지 말고 분명하게 알려주는 방법인 in the future|you all|angrily|do|not|clearly|informing|method In the future, I hope you will remember this wise word, which is a way to clearly communicate without getting angry.

이 지혜로운 말 한마디를 꼭 기억해주시길 바라며 this|wise|word|one phrase|surely|I hope you remember|I wish I hope you will definitely remember this wise word.

오늘 클로징 멘트 대신에 책에 있는 문장을 읽으면서 마무리 해보겠습니다. today|closing|remark|instead of|in the book|that is|sentence|while reading|concluding|I will Instead of a closing remark today, I will conclude by reading a sentence from the book.

사람은 잘하는 것도 있고, 못하는 것도 있습니다. person|good at|things|there are|bad at|things|exists People have things they are good at and things they are not good at.

못하는 것은 자신이 불편하지 않을 정도로 고쳐나가며 살면 됩니다. unable to|thing|oneself|uncomfortable|not|to the extent that|while fixing|live|is For the things they are not good at, they can live by improving them to a level that is not uncomfortable. 아이에게 그걸 가르쳐 주시면 돼요. to the child|that|teach|if you|is fine You can teach that to your child.

그래야 아이가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모습을 흔쾌히 마주할 수 있습니다. so that|child|existing|as is|own|appearance|willingly|face|possibility|is That way, the child can face their true self with ease. 오늘 여러분과 함께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를 함께 읽어보았습니다. today|with you all|together|how|I should tell|should I|||we read Today, we read together 'How Should I Tell You?' 감사합니다. thank you Thank you.

SENT_CWT:AO6BvvLW=8.11 PAR_TRANS:gpt-4o-mini=4.07 en:AO6BvvLW openai.2025-01-22 ai_request(all=206 err=0.00%) translation(all=171 err=0.58%) cwt(all=1617 err=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