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我們使用cookies幫助改善LingQ。通過流覽本網站,表示你同意我們的 cookie 政策.

image

지식을 말하다 Knowledge Talk,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한 이유 (ft. 칸트 선생님)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한 이유 (ft. 칸트 선생님)

우리는 서양 철학자 칸트에 관해 잘 모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좋아하거나

혹은 싫어할 수도 있다.

윤리 과목에 빠짐없이 등장하며

‘도덕 법칙'을 외우도록 한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대학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철학을 생산하기 시작한 최초의 철학자이기도 하다.

우리가 그를 알든 모르든

우리는 그 덕분에 지금 이 많은 공부를 하게 되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리고 이 모든 건

그가 숙고의 시간을 보내며 고민한 연구의 결과이기도 하다.

그는 교수가 된 이후 10년 동안 아무런 업적도 생산하지 못했다.

57세가 되어서야 발표한 야심작 <순수 이성 비판>,

그리고 이후 10년간 발표한 3대 비판서와

중요한 저작들을 쏟아내면서

인생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그렇게 칸트 이전과 칸트 이후

라는 표현이 생겼다. 위대한 사람의 업적은

한 번에 탄생하지 않으며,

업적은 누구에게나 숙고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만일 앞으로의 10년 동안

내가 하게 될 생각이 칸트를 공부하기 이전과 이후로 달라진다면?

공부 해 볼만 하지 않을까

물론 칸트를 이해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순수 이성 비판>, <실천 이성 비판>,

그리고 <판단력 비판>. 삼십 권도 아닌 세 권을

공부하는 게 왜 그렇게 어려울까?

그가 하는 이야기는 전부

눈에 보이지 않는, ‘생각에 대한 생각'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천동설을 뒤집어 지동설을 제시한 코페르니쿠스

예로 들어보자.

코페르니쿠스 이전, 사람들은 태양을

비롯한 별들이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코페르니쿠스 이후,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것으로.

정확히 둘의 관계가 전도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지금은 관측이 가능하기에 쉽게 이해하고 믿는 사실이지만,

관측이 어렵던 시대에는 이해 역시 어려웠다.

그래서 칸트의 인식론의

주체와 대상의 관계도

코페르니쿠스처럼 바꾸어 놓으면서 시작이 된다.

칸트 이전, 태양이 지구를 돈다는 믿음처럼

대상(사물)을 중심으로 주체를 생각해왔다. 주체가 대상을

인식하든 말든 관계없이 그 자체로 있는 것이다.

이때 인식은 대상을 비추는 일에 불과하다.

마치 거울이 사물을 비추는 것처럼

마음이 대상을 반사하는 가운데 인식이 이루어진다.

요컨대 칸트 이전의 인식론에서는 마음의 모델을

거울에 두었다. 특히 고대인들은 마음을 거울과 유사한

어떤 것으로 간주했다.

그런데 거울을 모델로 마음을 이해할 때는

인식과 관련된 모든 문제가 ‘깨끗하게

되기(정화)'의 문제로 귀착한다.

깨끗한 마음을 회복하는 것,

그것이 사물을 있는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일차적 조건이 된다.

반면 마음이 탐욕이나 편견에

의해 더럽혀져 있으면 어떻게 되는가?

당연히 마음에 비추어지는 사물의 형상이 일그러질 수밖에 없다.

고대인은 인간이 빠져드는

모든 오류와 죄악은 여기서 연유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칸트에게 저는 모든 것이 달라진다

여기서는 대상이 아니라 주체가 우위를 차지한다.

왜냐하면 지각은 물론

대상 자체의 성립 조건이 주체에 있기 때문이다.

이제 대상은 주체와 무관하게

존재하는 사물 자체일 수 없다.

대상은 오로지 주체와의 관계에서만

대상으로서 나타날 수 있는 것.

다시 말해서 현상에 불과하다.

이런 변화는 마음 모델의 혁신에서 비롯된다.

칸트에게 마음은 더 이상 거울이 아니라

어떤 기능들의 집합체다.

마음은 감성, 상상,

기억, 지성, 이성과 같은 여러 인식

능력들로 이루어진 어떤 장치물과 같다. 이 장치물은

그저 수동적으로 대상을 반사하기만 하는

기계가 아니다.

대상을 적극적으로 종합해내는 정보처리 기계

혹은 표상을 능동적으로 생성해내는 정보

발생 장치와 유사하다. 과거에 진리란 대상과의 일치 여부, 즉

정확성에 있었다

그러나 이제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마음의 활력이다.

표상을 생산하고 대상을 구성하는 인식능력들의

원활한 기능과

자유로운 유희 가능성에 진리가 진리일 수 있는

마지막 조건이 있는 것이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듯,

내가 생각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칸트를 알아야

우리는 우리 생각과 우리 마음을 더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다.

행복은 우리가 추구하는 가장 이상적인 삶이다.

칸트 역시 행복에 가까워지는 데에 기여한 사람이다.

그는 우리 안의 도덕성이 커질수록 기쁨을 누리고

행복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칸트 이전에 선(goodness)과 법에 대한 인식은 선이 중심이었고

법이 그 주위를 도는 것이었다. 이때

법이란 이상적 삶의 원리인 선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 같은 것이었다.

그러나 칸트 이후 선과 도덕은 서로의 위치를 바꾸게 된다.

사회 구성원이 합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규칙을 정하고

그것에 절대적인 구속력이 부여되면서

법에 어긋나는 것은 악으로 보게 되었다.

이상적인 삶과 가치 있는 삶에 대한 기준은 종교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논쟁의 여지가 많지만

법은 명확하다.

또한 칸트가 말하는 자유란

개인의 자유가 그 중심에 있다.

스스로 우리가 지켜야 하는 규칙을 제정하고,

제정한 법칙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능력.

따라서 자유 의지로 만들어진 법을 중심에 놓고

선을 추구할 때

행복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나쁜 사회일수록 도덕성과 자유,

행복의 거리는 멀어진다.

규칙을 지킬수록 손해보는 사회 속에 살고 있다면

그 사회의 법은 개인의 자유를 반영하지 못함을 의미하고,

행복한 사회와도 멀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칸트는 생각의 태양을 바꿨다. 이 세계가 보여주는 것에 의해

내가 흔들리는 게 아니라

내 마음에 의해 이 세계가 달라진다는 관점으로 말이다.

결국 모든 것은 우리 마음 안에 있기 때문에

인식에 대한 모든 물음은

우리 마음을 해부해야만 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칸트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다.

Learn languages from TV shows, movies, news, articles and more! Try LingQ for FREE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한 이유 (ft. 칸트 선생님) alone|time|necessary|reason|featuring|Kant|teacher Por qué necesitas tiempo a solas (ft. Kant) The reason why we need time alone (ft. Kant)

우리는 서양 철학자 칸트에 관해 잘 모르지만, we|Western|philosopher|about Kant|regarding|well|do not know |||관해||| We may not know much about the Western philosopher Kant,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좋아하거나 even so|despite|him|liking |||좋아하거나 but still, we might like him or

혹은 싫어할 수도 있다. or|dislike|possibility|there is perhaps dislike him.

윤리 과목에 빠짐없이 등장하며 ethics|in the subject|without exception|appearing Ethics (1)||빠짐없이|appearing in It appears without fail in ethics subjects,

‘도덕 법칙'을 외우도록 한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moral|law|to memorize|the|person responsible for|is moral|법칙|to memorize||주체이기| because he is the one who made us memorize the 'moral law.'

또한 그는 대학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also|he|university|at the lectern|students|teaches |||대학 강단||가르치면서 Additionally, he is also the first philosopher to start producing philosophy while teaching students at the university.

철학을 생산하기 시작한 최초의 철학자이기도 하다. philosophy|producing|started|first|philosopher|to be |producing||first|이기도 하다|

우리가 그를 알든 모르든 we|him|know|do not know ||그를|알든 모르든 Whether we know him or not

우리는 그 덕분에 지금 이 많은 공부를 하게 되었다는 사실은 we|that|thanks to|now|this|many|studying|able to|became|fact the fact that we are able to study so much now thanks to him

분명하다 clear is certainly true

그리고 이 모든 건 and|this|all|thing and all of this is

그가 숙고의 시간을 보내며 고민한 연구의 결과이기도 하다. he|of contemplation|time|spending|troubled|of the research|is also the result|to be |고민의|||고민한 연구||결과이기도| This is also the result of his research that he pondered over during his time of reflection.

그는 교수가 된 이후 10년 동안 아무런 업적도 생산하지 못했다. he|professor|became|after|10 years|for|any|achievements|producing|was unable to |||||||업적도|내지 못했다| He produced no achievements for 10 years after becoming a professor.

57세가 되어서야 발표한 야심작 <순수 이성 비판>, at the age of 57|only after|published|ambitious work|<Pure|Reason|Critique> 세가|이르러서야||masterpiece|순수 이성||비판 His ambitious work <Critique of Pure Reason>, published when he was 57,

그리고 이후 10년간 발표한 3대 비판서와 and|after|for 10 years|published|three major|critics |||||critics and the three major critiques he published in the following 10 years.

중요한 저작들을 쏟아내면서 important|works|while producing |작품들|producing Producing important works,

인생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of life|prime|is迎える ||맞이한다 one enters the prime of life.

그렇게 칸트 이전과 칸트 이후 like that|Kant|before||after ||이전 시대|| Thus, the expressions before and after Kant

라는 표현이 생겼다. 위대한 사람의 업적은 that|expression|has arisen|great|person's|achievement |||||업적은 came into being. The achievements of a great person are

한 번에 탄생하지 않으며, one|time|is born|not ||birth| It does not come into being all at once,

업적은 누구에게나 숙고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achievement|to anyone|contemplative|time|necessary|is and achievements require a time of contemplation for everyone.

만일 앞으로의 10년 동안 if|in the future|10 years|during |앞으로의|| What if the thoughts I will have over the next 10 years

내가 하게 될 생각이 칸트를 공부하기 이전과 이후로 달라진다면? I|will|become|thought|Kant|studying|before|after|if it changes ||||공부||||if it changes change before and after studying Kant?

공부 해 볼만 하지 않을까 study|do|worth|should|not Isn't it worth studying?

물론 칸트를 이해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of course|Kant|understanding|thing|not easy|not|task Of course, understanding Kant is not an easy task.

<순수 이성 비판>, <실천 이성 비판>, pure|reason|critique|practical|| 순수|||practical|| <Critique of Pure Reaso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그리고 <판단력 비판>. 삼십 권도 아닌 세 권을 and|judgment|critique|thirty|volumes|not|three|volumes |Judgment (1)|||volume||| and <Critique of Judgment>. Not thirty volumes, but three.

공부하는 게 왜 그렇게 어려울까? studying|thing|why|so|is difficult ||||어려울까 Why is studying so difficult?

그가 하는 이야기는 전부 he|is doing|story|all Everything he talks about

눈에 보이지 않는, ‘생각에 대한 생각'을 in the eye|not visible|not|about thought|regarding| |||||생각 contains the invisible, 'thoughts about thoughts'.

담고 있기 때문이다. containing|being|is because

천동설을 뒤집어 지동설을 제시한 코페르니쿠스 the geocentric theory|overturning|heliocentric theory|proposed|Copernicus 지구 중심설|reversed|지동설|제시한 사람|코페르니쿠 Copernicus, who overturned the geocentric theory and proposed the heliocentric theory.

예로 들어보자. as an example|let's take example|let's take Let's take an example.

코페르니쿠스 이전, 사람들은 태양을 Copernicus|before|people|sun Before Copernicus, people believed that the sun,

비롯한 별들이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고 생각했다. including|stars|Earth|around|revolve|I thought ||||돈다| along with the stars, revolved around the Earth.

그러나 코페르니쿠스 이후, however|Copernicus|after |코페르니쿠스 이후| However, after Copernicus,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것으로. the Earth|sun|around|orbiting|as it was established that the Earth orbits the Sun.

정확히 둘의 관계가 전도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exactly|of the two|relationship|being reversed|incident|occurred |||뒤바뀌는|| An event occurred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exactly reversed.

지금은 관측이 가능하기에 쉽게 이해하고 믿는 사실이지만, now|observation|is possible|easily|understanding|believing|fact |관측이|가능하기에||||사실이지만 Although it is a fact that is easily understood and believed now because it can be observed,

관측이 어렵던 시대에는 이해 역시 어려웠다. observation|was difficult|in the era|understanding|also|was difficult |어렵던 시대|||| In an era where observation was difficult, understanding was also challenging.

그래서 칸트의 인식론의 so|Kant's|epistemology |칸트의|epistemology Thus, Kant's epistemology

주체와 대상의 관계도 subject|object|relationship 주체와||relationship diagram also begins by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코페르니쿠스처럼 바꾸어 놓으면서 시작이 된다. like Copernicus|changing|while|beginning|happens like Copernicus|바꾸어 놓다|놓으면서|| much like Copernicus.

칸트 이전, 태양이 지구를 돈다는 믿음처럼 Kant|before|the sun|earth|revolves|belief like ||||돈다|믿음처럼 Before Kant, like the belief that the sun revolves around the earth,

대상(사물)을 중심으로 주체를 생각해왔다. 주체가 대상을 |||at the center|subject|has been considered|the subject|object object|사물|||주체|생각해왔다|주체가|대상에 대해 the subject has been thought of in relation to the object (thing). The subject exists

인식하든 말든 관계없이 그 자체로 있는 것이다. whether (someone) recognizes|or not|regardless of|that|in itself|existing|is 인지하든|||||| in itself, regardless of whether it recognizes the object or not.

이때 인식은 대상을 비추는 일에 불과하다. at this time|recognition|target|illuminating|act of|is merely |the recognition||||에 불과하다 At this time, recognition is merely a matter of reflecting the object.

마치 거울이 사물을 비추는 것처럼 as if|the mirror|objects|reflecting|like |mirror|물체들|| Just as a mirror reflects objects,

마음이 대상을 반사하는 가운데 인식이 이루어진다. the mind|object|reflecting|in the midst of|perception|occurs ||reflecting||인식|이루어진다 recognition occurs as the mind reflects the object.

요컨대 칸트 이전의 인식론에서는 마음의 모델을 in summary|Kant|prior to|in epistemology|of the mind|model In summary|||인식론에서는|| In short, in the epistemology before Kant, the model of the mind was

거울에 두었다. 특히 고대인들은 마음을 거울과 유사한 in the mirror|placed|especially|ancient people|mind|with the mirror|similar 거울에|놓았다||||거울과 유사한| placed in a mirror. In particular, the ancients viewed the mind as similar to a mirror.

어떤 것으로 간주했다. which|as|was considered ||considered It was considered as something.

그런데 거울을 모델로 마음을 이해할 때는 but|mirror|as a model|mind|understanding|when |거울|모델로||| However, when understanding the mind based on a mirror,

인식과 관련된 모든 문제가 ‘깨끗하게 recognition|related|all|issues|'cleanly 인식과 관련|||| all issues related to perception ultimately boil down to the problem of 'cleansing'.

되기(정화)'의 문제로 귀착한다. becoming|purification|of||leads to |purification||문제로|결론짓는다 (purification).

깨끗한 마음을 회복하는 것, clean|mind|recovering|thing ||restoring| Restoring a clean heart,

그것이 사물을 있는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that|objects|existing|as they are|can be represented|possibility|existing ||||재현할 수|| that becomes the primary condition to represent things as they are.

일차적 조건이 된다. primary|condition|becomes primary|조건|

반면 마음이 탐욕이나 편견에 on the other hand|heart|greed or|to prejudice ||탐욕이|편견에 대해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rt is filled with greed or prejudice,

의해 더럽혀져 있으면 어떻게 되는가? by|being dirty|if|how|does it become |더럽혀진|||되다 What happens if it is polluted?

당연히 마음에 비추어지는 사물의 형상이 일그러질 수밖에 없다. naturally|in the mind|being reflected|of the object|shape|distorted|cannot help but|be ||비추어지는|형상||일그러질 수|| Naturally, the shape of the objects reflected in the heart can only be distorted.

고대인은 인간이 빠져드는 ancient people|human|falling into Ancient people believed that all errors and sins that humans fall into originate from here.

모든 오류와 죄악은 여기서 연유한다고 보았다. all|errors|sins|from here|originate|believed |errors|죄악은||유래한다고|

그러나 칸트에게 저는 모든 것이 달라진다 however|to Kant|I|everything|thing|changes |to Kant||||changes However, everything changes for Kant.

여기서는 대상이 아니라 주체가 우위를 차지한다. here|the object|not|the subject|superiority|occupies |대상||||우위를 점한다 Here, it is the subject that takes precedence, not the object.

왜냐하면 지각은 물론 because|perception|of course |지각은| Because, of course,

대상 자체의 성립 조건이 주체에 있기 때문이다. object|of itself|establishment|condition|to the subject|exists|is because |대상|성립||주체에|| the conditions for the existence of the object itself lie with the subject.

이제 대상은 주체와 무관하게 now|the subject|with the subject|regardless of |대상||regardless of Now, the object cannot be the thing itself that exists regardless of the subject.

존재하는 사물 자체일 수 없다. existing|object|in itself|possibility|does not ||itself|| The object can only appear as an object in relation to the subject.

대상은 오로지 주체와의 관계에서만 the subject|only|with the subject|in the relationship |오직|주체와의| The object can only manifest as an object in relation to the subject.

대상으로서 나타날 수 있는 것. as a subject|appearing|possibility|being|thing as a subject|to appear||| The object can only appear as an object in relation to the subject.

다시 말해서 현상에 불과하다. again|speaking|phenomenon|is merely |다시 말해|현상에 대해| In other words, it is merely a phenomenon.

이런 변화는 마음 모델의 혁신에서 비롯된다. this|change|mind|model's|from innovation|arises |||마음 모델|혁신의 시작|유래된다 Such changes arise from innovations in the model of the mind.

칸트에게 마음은 더 이상 거울이 아니라 to Kant|mind|more|no longer|mirror|is not For Kant, the mind is no longer a mirror,

어떤 기능들의 집합체다. some|of functions|is a collection |기능들|a collection but a collection of various functions.

마음은 감성, 상상, heart|emotion|imagination |감정| The mind is like a device made up of various cognitive abilities such as emotion, imagination,

기억, 지성, 이성과 같은 여러 인식 memory|intelligence|reason|like|various|perceptions |지성||||인식 능력 memory, intellect, and reason.

능력들로 이루어진 어떤 장치물과 같다. 이 장치물은 abilities|composed of|some|device|is|this|device abilities|||장치물|||이 This device does not simply passively reflect the object,

그저 수동적으로 대상을 반사하기만 하는 just|passively|the object|only reflecting|doing |passively||반사하기만|

기계가 아니다. the machine|is not the machine| It is not a machine.

대상을 적극적으로 종합해내는 정보처리 기계 the subject|actively|synthesizing|information processing|machine |actively|synthesizing|정보처리 기계|기계 An information processing machine that actively synthesizes the subject.

혹은 표상을 능동적으로 생성해내는 정보 or|representation|actively|generating|information |representation|actively|생성하는| Or information that actively generates representations.

발생 장치와 유사하다. 과거에 진리란 대상과의 일치 여부, 즉 occurrence|with the device|is similar|in the past|truth|with the object|correspondence|whether|that is occurrence|장치와|similar||truth is|대상과의|일치 여부|여부| It is similar to a generating device. In the past, truth was defined by its correspondence with the subject, that is,

정확성에 있었다 to the accuracy|was 정확성에| It was about accuracy.

그러나 이제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마음의 활력이다. however|now|ultimately|important|thing|of the mind|is vitality ||결국||||vitality However, what is ultimately important now is the vitality of the mind.

표상을 생산하고 대상을 구성하는 인식능력들의 representation|producing|object|constituting|of cognitive abilities |producing||구성하는 능력|인식 능력 The ability to produce representations and organize objects,

원활한 기능과 smooth|functionality 원활한|기능과 the smooth functioning of which.

자유로운 유희 가능성에 진리가 진리일 수 있는 free|play|possibility|truth|being true|possibility|is 자유로운|play||진리|진리일 수|| The truth can be truth only with the possibility of free play.

마지막 조건이 있는 것이다. last|condition|is|is There is a final condition.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듯, in the eye|visible|thing|all|not |||전부|아니듯 Just as what is visible is not everything,

내가 생각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I|thinking|thing|all|is not what I think is not everything.

칸트를 알아야 Kant|should know We need to understand Kant.

우리는 우리 생각과 우리 마음을 더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다. we|our|thoughts||mind|more|in detail|look into|see|possibility|there is ||생각과|||||||| We can look more closely at our thoughts and our hearts.

행복은 우리가 추구하는 가장 이상적인 삶이다. happiness|we|pursuing|most|ideal|life happiness||pursue|||삶 Happiness is the most ideal life we pursue.

칸트 역시 행복에 가까워지는 데에 기여한 사람이다. Kant|also|to happiness|getting closer|in|contributing|person |||||contributed| Kant is also someone who contributed to getting closer to happiness.

그는 우리 안의 도덕성이 커질수록 기쁨을 누리고 he|our|within|morality|as it grows|joy|enjoying |||morality|as it grows||enjoys He said that the more our morality grows, the more joy we experience.

행복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becoming happy|possibility|increases|said become happy||increases| He stated that the likelihood of becoming happy increases.

칸트 이전에 선(goodness)과 법에 대한 인식은 선이 중심이었고 Kant|||||law|about|understanding|goodness|was central |||선||법에 대한||||주요 개념이었다 Before Kant, the understanding of goodness and law was centered around goodness,

법이 그 주위를 도는 것이었다. 이때 the law|that|around|was circling|was| and the law revolved around it. At that time,

법이란 이상적 삶의 원리인 선에 the law|ideal|of life|principle|to the good 법의 정의|이상적인||principle of|선에 대해 The law was a means or method to reach the ideal principle of life, which is good.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 같은 것이었다. reaching|for|means or|method|like|was reaching||means of||| However, after Kant, good and morality began to swap their positions.

그러나 칸트 이후 선과 도덕은 서로의 위치를 바꾸게 된다. however|Kant|after|good|morality|each other's|position|change|becomes |||선과 도덕|도덕은||위치|바뀌게 된다| It establishes the minimum rules that members of society can agree upon.

사회 구성원이 합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규칙을 정하고 society|members|can agree|minimum|that is|minimal|rule|establishing 사회|사회|합의할 수|||||

그것에 절대적인 구속력이 부여되면서 that|absolute|binding force|being granted |absolute|binding force|given Absolute binding force was given to it.

법에 어긋나는 것은 악으로 보게 되었다. the law|that goes against|thing|as evil|seeing|became |against||악|| What is contrary to the law came to be seen as evil.

이상적인 삶과 가치 있는 삶에 대한 기준은 종교적, ideal|life|valuable|valuable|life|about|standard|religious ||가치||||기준은|종교적 기준 The standards for an ideal life and a valuable life are highly debatable depending on religious,

문화적 배경에 따라 논쟁의 여지가 많지만 cultural|background|according to|of the debate|possibility|is many |문화적||여지|| and cultural backgrounds.

법은 명확하다. the law|is clear |clear The law is clear.

또한 칸트가 말하는 자유란 also|Kant|speaking|freedom |Kant||freedom Moreover, the freedom that Kant speaks of

개인의 자유가 그 중심에 있다. individual|freedom|that|at the center|is |freedom||| is centered on individual freedom.

스스로 우리가 지켜야 하는 규칙을 제정하고, by ourselves|we|must keep|that|rule|establish |||||establishing We establish the rules that we must follow ourselves,

제정한 법칙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능력. established|law|voluntarily|obeying|ability 제정한 법칙|the law|voluntarily|obeying|능력 The ability to voluntarily obey established laws.

따라서 자유 의지로 만들어진 법을 중심에 놓고 therefore|free|will|created|law|at the center|placing |자유 의지|의지로|||| Therefore, placing laws created by free will at the center,

선을 추구할 때 good|pursuing|when 선|pursue| when pursuing good,

행복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happiness|obtaining|possibility|increases| 행복|||increases| the likelihood of achieving happiness increases.

나쁜 사회일수록 도덕성과 자유, bad|society|morality|freedom |사회가 나쁠수록|도덕성| The worse the society, the more distant morality and freedom,

행복의 거리는 멀어진다. happiness|distance|becomes distant 행복의||increases the distance to happiness increases.

규칙을 지킬수록 손해보는 사회 속에 살고 있다면 the rules|the more you follow|losing|society|in|living|if |지킬수록|손해 보는|||| If you live in a society where following the rules means suffering losses,

그 사회의 법은 개인의 자유를 반영하지 못함을 의미하고, that|society's|law|individual's|freedom|reflecting|not|means |||||반영하지 못함|못함을| it means that the laws of that society do not reflect individual freedom,

행복한 사회와도 멀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happy|with society|becoming distant|being|meaning|is |사회||있다는 것|| This means that we are moving away from a happy society.

칸트는 생각의 태양을 바꿨다. 이 세계가 보여주는 것에 의해 Kant|of thought|sun|changed|this|world|shows|thing|by Kant|사고|태양|바꿨다||||| Kant changed the sun of thought. By what this world shows,

내가 흔들리는 게 아니라 I|shaking|thing|not I am not shaken,

내 마음에 의해 이 세계가 달라진다는 관점으로 말이다. my|heart|by|this|world|changes|perspective|is |||||changes|관점에서| but rather, from the perspective that this world changes by my heart.

결국 모든 것은 우리 마음 안에 있기 때문에 ultimately|everything|thing|our|heart|inside|being|because In the end, everything is within our hearts.

인식에 대한 모든 물음은 recognition|about|all|questions 인식에|||questions All questions about perception,

우리 마음을 해부해야만 답할 수 있는 것이다. our|heart|must dissect|answer|possibility|be|is ||해부해야만|답할 수||| can only be answered by dissecting our minds.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칸트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다. and|that|we|Kant|should study|to|reason ||||공부해야 한다|| And that is why we need to study Kant.

SENT_CWT:AO6BvvLW=4.01 PAR_TRANS:gpt-4o-mini=4.92 en:AO6BvvLW openai.2025-02-07 ai_request(all=160 err=0.00%) translation(all=128 err=4.69%) cwt(all=698 err=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