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 använder kakor för att göra LingQ bättre. Genom att besöka sajten, godkänner du vår cookie-policy.

image

작가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Reading Time podcast), Episode 17 - 김기택 [소] (Kim Gi-Taek) - Part 1

Episode 17 - 김기택 [소] (Kim Gi-Taek) - Part 1

작가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김영하입니다.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오늘 열일곱 번 째 시간입니다. 자 얼마전에 그 이창동 감독의 '시'가 칸영화제에서 각본상을 수상해서 화제가 됐었죠? 많이들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그 영화를 저희집 근처의 극장에서 봤는데요 (칸까지 가지는 못하고요) 그 영화 보면 많은 분들이.. 제목도 '시'고 시인이 나오다보니까 시에 대해서 많이들 다시 한번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저도 역시 시에 대해서 생각을 했습니다. 시, 우리나라는 좀 드물게 이 시를 사랑하는 나라죠. 사랑하는 나라였죠.. 한 10 년 전만 해도 그랬다고 볼 수 있는데 최근에는 많이 뭐랄까요 시에 대한 관심 또 시에 대한 사랑..이런 것들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한 10..10여 년 전만해도 한국의 문인들이 다른 나라 작가들을 만나면 그래도 우리나라에는 새로나온 시집이 뭐..한 십 만 부 씩 나간다..이때 황지우 시인의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있을 거다] 그 시집 얘깁니다. 그 밖에도 뭐 다른 좋은 시인들의 시집이 많이 팔린다..다시 말해서 일반인들이 돈을 주고 그것을 살 정도로 사랑한다 이런 얘기 였는데 , 그 뒤로 한국 시의 경향은 많이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독자들의 관심도 시에서 많이 떠났나고 할 수 있는데요. 사실 이 그 이창동 감독의 '시'를 보면서 저는 요즘 말로 하자면, '시라 쓰고 소설이라고 읽는다' 저는 혼자 그렇게 정리를 했거든요. 제목은 '시'지만 내용 전체를 아울러서 보자면 한 편의 단편소설같은 그런 구성 같아요. 특히, 한국의, 우리나라의 단편소설 같은 그런 분위기입니다. 영화로는 만들기가 엄두가 안 나는 그런 내용이었죠. 얼마전에 그 제가 이제 버스를 타고 가는데 뒤에서 두 여성들이 이야기를 나누는데 아주 젊은 여성들이었고요, 학생같아 보이지는 않고 어디서 일을 하는 그런 분들 같았어요. 저녁에 어떤 영화를 볼 것이냐.. 남자친구와.. 그 얘기를 하고 있었는데 한 명이 '시'를 볼까한다.. 이창동 감독의 '시'라고는 얘기하지 않고, '시'라는 영화가 있는데 볼까한다 그랬더니 옆에 있는 친구가 "야 그거 60대 할머니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그런 영화인데, 두 시간 동안 60 대 할머니 보고싶어?" 딱 그러니까 "아 그러면 안 봐야되겠다!" 그러는 거죠. 영화라는 거는 젊은…예술이라고 그러죠? 태어난지도 얼마 않됐고 또 이상하게 젊은이들 얘기가 잘 맞아요. 이창동 감독의 이런 선택은 대단히 대담한 그런 선택이었는데요 그게 또 이상한게 그런 예를 들면, 영화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들이 소설에서는 괜찮단 말이죠. 직접 보지 않으니까 그런가봐요. 그래서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를 단편소설로 썼으면…음.. 뭐 좋았을 것 같아요. 원래 또 소설가이시기도 했죠. 자 이 영화 '시'에서 소설의 얘기를 사실 하고 있다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만, 이 시와 소설, 많이 다른 장르지만 비슷한 것들이 있습니다. 도 다른 것도 있죠. 비슷한 것은 그것을 하는 사람들이 세상을 잘 봐야한다는 것, 이런 것들이 참 비슷한 점입니다. 그 영화에서도 그런 얘기가 자주 나오죠. 김용택 시인이 직접 출연을 하셔가지고 잘 보는 것이 중요하다.. 사과를 자꾸 얘기하죠. 그러자 이제 주연인 윤정희 씨가 한참 사과를 보다가 '에이 사과는 뭐 먹는게 맛있지..'그러고 먹어버리는 그런 장면이 있는데, 네 잘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시와 소설이 비슷합니다.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좋은 작가, 좋은 시인은 많이 보고 적게 쓰는 사람이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적게 보고 많이 쓰는 사람이다.' 네.. 이런 생각도 예전에는 해본적이 있어요. 제가 옛날에 학생들을 잠깐 가르칠 때 보면 학생들은 표현의 욕구가 강하죠. 그런 학생들이 예술학교에 많이 오는데 표현의 욕구가 강하다보니까 일단 많이 씁니다. 많이 써요. 또는 읽고 씁니다. 그러니까.. 소설을 읽고 갑자기 이렇게 필(feel)을 받는거예요. 빨리 써야되겠다! 쓰고, 또 뭐 하여튼 감정이 북받치면 쓰는 것이죠. 아주 좋은 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표현하는 시간을 조금만 줄여서 뭔가를 열심히 잘 보면 거기에서 더 좋은 것이 나올 수 있는데 그런 아쉬움이 드는 경우도 있었어요. 뭔가를 보고 또 보고 그리고 생각하고.. 네 그래야 되는데 요즘은 사물을 또는 실제 사람을 보는 시간 보다는 다른 사람이 써놓은 글이나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영상, 뉴스..이런 것들을 보는 시간이 많다보니까 생각의 프레임이 상당히 좁아지죠. 그렇습니다. 그래서 소설가나 시인이나 보는 것이 중요해요. 만약에 여러분이 누군가의 부모이고, 그리고 자녀가 예술가가 되기를 바란다면 물론 그런 부모는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의 부모는 자녀가 예술가가 되길 바라지 않죠. 뭐 바란다고 말하는 부모도 있어요. 그런데 자세히 물어보면 꼬치꼬치 캐물어야되요. 자세히 물어보면, 그냥 순식간에 천재성을 발휘해서 신동 피아니스트가 된다거나, 아니면 뭐…그런 것들을 바라는 거지 진짜 예술가의 삶을 살기를 바라는 것 같지는 않아요. 이 삶은 그렇게 권하고 싶은 그런 삶은 아닙니다. 어쨌든 그래도 자기 자녀가 예술가가 되기를 원하는 그런 부모가 있다면, 특히 문인이 되기를 원하는 부모가 있다면, 더 줄어들겠죠? 그 퍼센티지가? 학교 갔다 온 아이에게 전 이렇게 물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뭘 배웠느냐? 오늘 뭐 배웠니?" 대신에 "오늘 뭘 봤니? 뭘 들었니?" 이런걸 저는 물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학교가는 길에 뭐 봤니?" "꽃을 봤어요." "그래? 꽃이 어떻디? "라든가, "학교가는 길에 버스를 봤어요." "그래, 버스를 봤어? 너 매일 타고 다니잖아. 그런데 오늘 버스에 새로운게 있었니? 뭘 봤니?" "오늘은 버스가..급정거를 했어요." 뭐 그런거요. "급정거를 하니까 어떻게 되디?" "길에 길 그림을 그렸어요. "뭐 이런 것들.. 이런게 시죠. 아이가 뭘 봤느냐에서 사실은 시가 출발하는 것이고 문학이 출발하는.. 그런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부모님들은 부모님들이 학교 갔다 오면은 먼저 물어보는게 "오늘 뭐 배웠니? 학교에서 혼나지 않았니? 선생님 말씀 잘 들었니?" 선생님 말씀 잘 듣는 건.. 전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예술가가 된다면, 되겠다면 그것은 별로 중요치 않다고 생각합니다. 뭘 봤느냐가 참 중요하죠. 이런 것에 공통점이 있고요, 물론 시와 소설의 다른 점은 무수히 많습니다. 특히 시는, 제 생각입니다만, 그 영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시 자체는 윤리를 문제 삼지 않습니다. 시는 본것을 느낀 것을 표현하는, 그야말로 즉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런 장르이기 때문에 윤리를 문제 삼기는 어렵다고할 수 있습니다. 그럴만한 공간이 없는거죠. 윤리라는 것은 복잡한 것인데요, 반면 이 소설은 윤리를 문제 삼을 때가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 전체를 볼 때 충돌하는 것은 시와 소설입니다. 소설은 윤리를 문제 삼으려고 하죠. 손자의 비행이라던가요, 잘못된 어떤 행위 그것이 주인공을 괴롭히고 반면 그것과는 상관없이 어떤 아름다운 세상..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는 여주인공, 미자의 내면, 충동하는 것이죠. 이게 사실은 시와 소설의 충돌이라고 저는 본거죠. 전부 이 시와 소설이 충돌하는 것이 하나의 영화가 됐다..라고 저는 이창동 감독의 영화를 봤는데요, 자 이런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이 있는데 오늘은 그래서 시집을 한번 골라봤는데요. 특히, 아까 제가 말씁드렸듯이 정말 많이 보고 적게 쓰는 사람..그런 시인을 한 분 골랐어요. 김기택 시인입니다. 이 분의 [소]라는 시집입니다. 이 분의 시집은 (제가 상당히 좋아하는 시집인데) 시집을 사서 어느 장을 펼쳐도 뜨끔한게 있어요.

Learn languages from TV shows, movies, news, articles and more! Try LingQ for FREE

Episode 17 - 김기택 [소] (Kim Gi-Taek) - Part 1 에피소드|김기택|[소]|(김|||부분 |||キム||| エピソード17 - キム・ギテク [小] (Kim Gi-Taek) - パート1 Episode 17 - Kim Gi-Taek [So] - Part 1

작가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writer|Kim Young-ha's|book|reading|time|podcast 作家キム・ヨンハの「読書の時間」ポッドキャスト Writer Kim Young-Ha's 'Reading Time' podcast 김영하입니다. I am Kim Young-ha キム・ヨンハです。 This is Kim Young-Ha.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오늘 열일곱 번 째 시간입니다. book'|reading|time|podcast|today|seventeenth|time|ordinal marker|is '本を読む時間' ポッドキャストは今日17回目の時間です。 'Reading Time' podcast, today is the seventeenth episode. 자 얼마전에 그 이창동 감독의 '시'가 칸영화제에서 각본상을 수상해서 화제가 됐었죠? now|recently|that|Lee Chang-dong|director's||at the Cannes Film Festival|screenplay award|winning|topic|became |||||映画||||| 先日、そのイ・チャンドン監督の『詩』がカンヌ映画祭で脚本賞を受賞して話題になりましたよね? Recently, the film 'Poetry' by director Lee Chang-dong won the Best Screenplay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which became a hot topic, right? 많이들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many people|have seen|I don't know 多くの方が見たかどうかわかりません。 I wonder how many people have seen it. 저도 그 영화를 저희집 근처의 극장에서 봤는데요 (칸까지 가지는 못하고요) 그 영화 보면 많은 분들이.. 제목도 '시'고 시인이 나오다보니까 시에 대해서 많이들 다시 한번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I also|that|movie|my house|nearby|at the theater|I watched|to Cannes||able)|that|movie|if you watch|many|people|title|'Poem'|poet|since it appears|about poetry|regarding|many people|again|once|thought|to|become|thing|seems 私もその映画を自宅の近くの映画館で見ましたが(カンヌまでは行けませんでした)その映画を見ると多くの方々が.. タイトルも『詩』で詩人が出てくるので詩について再び考えるようになると思います。 I also watched the movie at a theater near my house (I couldn't make it to Cannes), and I think many people, since the title is 'Poetry' and a poet appears, end up thinking about poetry once again. 저도 역시 시에 대해서 생각을 했습니다. I also|likewise|about the poem|regarding|thought|had 私もやはり詩について考えました。 I also thought about poetry. 시, 우리나라는 좀 드물게 이 시를 사랑하는 나라죠. poetry|our country|somewhat|rarely|this||loving|is a country 詩、私たちの国は少し珍しくこの詩を愛する国ですね。 Yes, our country is somewhat rare in that it is a country that loves poetry. 사랑하는 나라였죠.. 한 10 년 전만 해도 그랬다고 볼 수 있는데 최근에는 많이 뭐랄까요 시에 대한 관심 또 시에 대한 사랑..이런 것들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loving|was a country|about|year|years ago|even|that|can|possibility|there is|recently|much|how should I say|to poetry|about|interest|also|||love|such|things|much|have decreased ||||たった||そうだった||||||||||||||||| 愛する国でしたね.. 10年前ほどのことを思えばそう言えるのですが、最近は詩に対する関心や愛情がかなり減ってしまいました。 It was a loving country.. You could say that about 10 years ago, but recently, interest in poetry and love for poetry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한 10..10여 년 전만해도 한국의 문인들이 다른 나라 작가들을 만나면 그래도 우리나라에는 새로나온 시집이 뭐..한 십 만 부 씩 나간다..이때 황지우 시인의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있을 거다] 그 시집 얘깁니다. one|about 10|year|years ago|Korean|writers|other|country|authors|when they meet|still|in our country|newly released|poetry collection|about|about|ten|ten thousand|copies|each|are sold|at that time|Hwang Ji-woo|poet's|[one|day|I|cloudy|in the pub|will be sitting|will be||| ||||||||||それでも||新刊||||||||||||||||||||| 10..10年以上前には、韓国の文人たちが他の国の作家に会うと、やはり我が国には新しい詩集が10万部ずつ出ていると言っていました..その時、黄知宇詩人の[ある日私は曇った酒場に座っているだろう]という詩集の話です。 About 10.. 10 years ago, when Korean writers met writers from other countries, they would say that in our country, new poetry collections sell about a hundred thousand copies.. This refers to poet Hwang Ji-woo's collection [One Day I Will Be Sitting in a Cloudy Tavern]. 그 밖에도 뭐 다른 좋은 시인들의 시집이 많이 팔린다..다시 말해서 일반인들이 돈을 주고 그것을 살 정도로 사랑한다 이런 얘기 였는데 , 그 뒤로 한국 시의 경향은 많이 바뀌었습니다. that|outside|what|other|good|poets'|poetry collections|many|are sold|again|speaking|ordinary people|money|giving|that|buy|to the extent|love|this|story|was|that|after|Korean|poetry|trend|much|has changed ||||||||売られている|言い換えれば||||||||||||||||傾向は|| 他にも良い詩人たちの詩集がたくさん売れていました..つまり、一般の人々がお金を出してそれを買うほど愛しているという話だったのですが、その後韓国の詩の傾向は大きく変わりました。 In addition, many other good poets' collections were selling well.. In other words, it was said that ordinary people loved poetry enough to buy it with their own money, but since then, the trend of Korean poetry has changed significantly. 그리고 독자들의 관심도 시에서 많이 떠났나고 할 수 있는데요. and|of the readers|interest|in the poem|greatly|has left|can|possibility|be |||詩に||||| そして、読者の関心も詩から多く離れてしまったと言えるでしょう。 And it can be said that the readers' interest has also drifted away from the poem. 사실 이 그 이창동 감독의 '시'를 보면서 저는 요즘 말로 하자면, '시라 쓰고 소설이라고 읽는다' 저는 혼자 그렇게 정리를 했거든요. actually|this|that|Lee Chang-dong|director's|'Poetry'|while watching|I|these days|in terms of|if I were to say|'poetry|writing|as a novel|read|I|alone|like that|organizing|did |||||詩||||||詩|||||||| 実際、このイ・チャンドン監督の『詩』を見ながら、私は最近の言葉で言うと、『詩と書いて小説と読む』と一人で整理していたんですよ。 In fact, while watching this film 'Poetry' by director Lee Chang-dong, I personally organized my thoughts by saying, 'It is written as a poem but read as a novel.' 제목은 '시'지만 내용 전체를 아울러서 보자면 한 편의 단편소설같은 그런 구성 같아요. the title|is 'poem'|content|whole|together|if you look at it|||like a short story|such|composition|seems |||全体を|全体として|||一篇|||| タイトルは『詩』ですが、内容全体を見渡すと、一編の短編小説のような構成だと思います。 The title is 'Poetry', but if you look at the entire content, it seems like a short story. 특히, 한국의, 우리나라의 단편소설 같은 그런 분위기입니다. especially|Korean|our country's|short story|like|that|atmosphere 特に、韓国の、私たちの国の短編小説のような雰囲気です。 Especially, it has the atmosphere of a short story from Korea. 영화로는 만들기가 엄두가 안 나는 그런 내용이었죠. as a movie|making|thought|not|I|such|content 映画にするのはちょっと思いつかないような内容でした。 It was a story that seemed impossible to make into a movie. 얼마전에 그 제가 이제 버스를 타고 가는데 뒤에서 두 여성들이 이야기를 나누는데 아주 젊은 여성들이었고요, 학생같아 보이지는 않고 어디서 일을 하는 그런 분들 같았어요. a little while ago|that|I|now|bus|riding|while going|from behind|two|women|conversation|having|very|young|women|like students|not appearing|not|somewhere|work|doing|such|people|seemed ||||||||||||||女性たちでした||||||||| 少し前、私がバスに乗っているとき、後ろで二人の女性が話をしていて、とても若い女性たちでしたが、学生のようには見えず、どこかで働いている人たちのようでした。 Recently, I was on a bus and two young women were talking behind me; they didn't look like students, but seemed to be working somewhere. 저녁에 어떤 영화를 볼 것이냐.. 남자친구와.. 그 얘기를 하고 있었는데 한 명이 '시'를 볼까한다.. 이창동 감독의 '시'라고는 얘기하지 않고, '시'라는 영화가 있는데 볼까한다 그랬더니 옆에 있는 친구가 "야 그거 60대 할머니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그런 영화인데, 두 시간 동안 60 대 할머니 보고싶어?" in the evening|which|movie|watch|will|with my boyfriend|that|conversation|having|was|one|person|'Poetry'|is thinking of watching|Lee Chang-dong|director's|'Poetry'|not talking about|about|'Poetry'|movie|there is|thinking of watching|then|next to|being|friend|hey|that|60s|grandmother|as the main character|appearing|such|movie|two|hours|during|age|grandmother|want to see |||||彼氏と||||||||||||||||||||||||||||||||||| 夕食にどんな映画を見るか.. 彼氏と..その話をしていたのに、1人が『詩』を見ようかと思う.. イ・チャンドン監督の『詩』とは言わずに、『詩』という映画があるから見ようかと言ったら、隣にいる友達が「おい、それ60代のおばあさんが主人公のそんな映画なんだけど、2時間ずっと60代のおばあさんを見たいの?」 They were discussing what movie to watch in the evening with their boyfriends, and one of them said, 'Should we watch 'Poetry'?'. They didn't mention that it was directed by Lee Chang-dong, just that there was a movie called 'Poetry' and they were considering it. Then the friend next to her said, 'Hey, that's a movie where a grandmother in her 60s is the main character. Do you really want to watch a 60-year-old grandmother for two hours?' 딱 그러니까 "아 그러면 안 봐야되겠다!" exactly|so|ah|then|not|should watch |||||見ないといけ ちょうどそう言ったら、「あ、じゃあ見ないことにしよう!」 As soon as she said that, the other one replied, 'Oh, then I guess we shouldn't watch it!' 그러는 거죠. doing that|right ということになるんです。 That's how it is. 영화라는 거는 젊은…예술이라고 그러죠? the movie|thing|young|is art|isn't it |||芸術| 映画というのは若い…芸術と言いますよね? They say that movies are a young... art, right? 태어난지도 얼마 않됐고 또 이상하게 젊은이들 얘기가 잘 맞아요. since I was born|how long|hasn't been|also|strangely|young people|conversation|well|matches 生まれてから|||||||| 生まれてからそんなに経っていないし、また若者たちの話がよく合います。 It hasn't been long since it was born, and strangely, the stories of young people fit well. 이창동 감독의 이런 선택은 대단히 대담한 그런 선택이었는데요 그게 또 이상한게 그런 예를 들면, 영화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들이 소설에서는 괜찮단 말이죠. Lee Chang-dong|director's|this|choice|very|bold|such|was|that|also|strange thing|such|example|if|in the movie|welcomed|unable to|beings|in the novel|is okay|saying |||||||選択でした||||||||||||| イ・チャンドン監督のこのような選択は非常に大胆な選択でしたが、それがまた奇妙なことに、例えば映画では歓迎されない存在が小説では大丈夫だということです。 Director Lee Chang-dong's choice was a very bold one, but strangely, for example, characters that are not welcomed in movies are fine in novels. 직접 보지 않으니까 그런가봐요. directly|see|not|I guess |||そうみたい 直接見ないからそうなのかなぁ。 I guess it's because I don't see it in person. 그래서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를 단편소설로 썼으면…음.. 뭐 좋았을 것 같아요. so|Lee Chang-dong|director's|movie|'Poetry'|as a short story|if I had written|hmm|what|would have been good|thing|I think |||||||||よかった|| それでイ・チャンドン監督の映画『詩』を短編小説にしたら…うーん…良かったと思います。 So I think it would have been nice if director Lee Chang-dong had written the movie 'Poetry' as a short story... um.. I think it would have been good. 원래 또 소설가이시기도 했죠. originally|also|was a novelist|was ||小説家でした| 元々小説家でもありましたよね。 He was originally a novelist as well. 자 이 영화 '시'에서 소설의 얘기를 사실 하고 있다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만, 이 시와 소설, 많이 다른 장르지만 비슷한 것들이 있습니다. now|this|movie|'poem'|of the novel|story|actually|doing|is|I|thought|however|this|poem and|novel|very|different|genre|similar|things|exist |||詩||||||||||||||||| この映画『詩』では小説の話を実際にしていると思いますが、詩と小説は異なるジャンルですが似ている点もあります。 Now, I believe that this movie 'Poetry' is actually talking about the story of a novel, but even though poetry and novels are very different genres, there are similarities. 도 다른 것도 있죠. also|other|thing|exists 他にも違う点があります。 There are other things too. 비슷한 것은 그것을 하는 사람들이 세상을 잘 봐야한다는 것, 이런 것들이 참 비슷한 점입니다. similar|thing|that|doing|people|world|well|should see|thing|such|things|truly|similar|point |||||||見るべきだ|||||| 似ている点は、それをする人々が世界をよく見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これが本当に似ている点です。 One similarity is that the people who do it need to have a good view of the world; these are really similar points. 그 영화에서도 그런 얘기가 자주 나오죠. that|movie|such|conversation|often|comes out |その映画でも|||| その映画でもそんな話がよく出ますね。 Such discussions often come up in that movie as well. 김용택 시인이 직접 출연을 하셔가지고 잘 보는 것이 중요하다.. 사과를 자꾸 얘기하죠. Kim Yong-taek|poet|directly|appearance|having|well|watching|thing|is important|apple|repeatedly|talks about 金容澤||||||||||| 金永澤詩人が直接出演していて、よく見ることが大事だと言います…りんごの話をたくさんしています。 Poet Kim Yong-taek appears directly and emphasizes that it's important to see well... he keeps talking about apples. 그러자 이제 주연인 윤정희 씨가 한참 사과를 보다가 '에이 사과는 뭐 먹는게 맛있지..'그러고 먹어버리는 그런 장면이 있는데, 네 잘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시와 소설이 비슷합니다. then|now|main character|Yoon Jung-hee|Ms|for a while|apple|while looking at|oh|the apple|what|eating|is delicious|and then|eats it up|such|scene|exists|your|well|watching|thing|is important|in terms of|poetry|novel|is similar |||||||||リンゴは|||美味しい|||||||||||||| すると、主役のユン・ジョンヒさんがりんごをじっと見ていて『ああ、リンゴは何を食べたら美味しいんだろう…』と言って食べてしまうシーンがあるのですが、ええ、よく見ることが重要だという点で詩と小説は似ています。 Then, there is a scene where the main character, Yoon Jung-hee, looks at an apple for a while and then says, 'Well, what does an apple taste good to eat...' and eats it. This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observe well, which is a similarity between poetry and novels.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like this|to speak|possibility|to be|thing|I think こういう風に言うこともできると思います。 I think I could say this. '좋은 작가, 좋은 시인은 많이 보고 적게 쓰는 사람이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적게 보고 많이 쓰는 사람이다.' good|writer|good|poet|many|seeing|little|writing|person|not|unable|people|little|seeing|much|writing|person 『良い作家、良い詩人はたくさん見て少し書く人で、そうでない人たちは少なく見て多く書く人だ。』 A 'good writer, a good poet is someone who sees a lot and writes little, while those who are not are people who see little and write a lot.' 네.. 이런 생각도 예전에는 해본적이 있어요. yes|this|thought|in the past|I have thought|I have ||||したことが| はい.. こういう考えを昔にしたこともあります。 Yes.. I have thought about this before. 제가 옛날에 학생들을 잠깐 가르칠 때 보면 학생들은 표현의 욕구가 강하죠. I|in the past|students|briefly|teach|when|I see|students|of expression|desire|is strong |||||||||欲求| 私が昔、学生たちをちょっと教えていた時を見ると、学生たちは表現の欲求が強いですね。 When I used to teach students a long time ago, I noticed that they have a strong desire to express themselves. 그런 학생들이 예술학교에 많이 오는데 표현의 욕구가 강하다보니까 일단 많이 씁니다. such|students|to the art school|a lot|come|of expression|desire|being strong|first|a lot|they use ||||||表現の欲求|||| そんな学生たちが芸術学校にたくさん来るのですが、表現の欲求が強いため、まずたくさん使います。 Many of those students come to art schools, and because they have a strong desire to express themselves, they tend to create a lot. 많이 써요. a lot|I use たくさん使います。 They create a lot. 또는 읽고 씁니다. or|reading|I write または読み書きします。 Or they read and create. 그러니까.. 소설을 읽고 갑자기 이렇게 필(feel)을 받는거예요. so|the novel|reading|suddenly|like this||||I am receiving ||||||感じ|| だから…小説を読んで突然こういうフィーリングを受けるんです。 So.. after reading a novel, I suddenly get this feel. 빨리 써야되겠다! quickly|I need to write |書かなければなら 早く書かなきゃ! I need to write quickly! 쓰고, 또 뭐 하여튼 감정이 북받치면 쓰는 것이죠. writing|also|what|anyway|emotion|overflowing|writing|is |||||感情が高ま|| 書いて、またどうにか感情が高まると書くことです。 I write, and whenever emotions swell up, I write. 아주 좋은 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very|good|attitude|can|possibility|be ||態度だ||| 非常に良い態度だと言えます。 I can say that's a very good attitude. 그런데 표현하는 시간을 조금만 줄여서 뭔가를 열심히 잘 보면 거기에서 더 좋은 것이 나올 수 있는데 그런 아쉬움이 드는 경우도 있었어요. but|expressing|time|just a little|by reducing|something|diligently|well|if you look at|from there|more|good|thing|coming out|possibility|there is|such|regret|arising|cases|was |||||||||||||||||残念||| ただし、表現する時間を少しだけ減らして何かを一生懸命よく見れば、そこからもっと良いものが出てくる可能性があるので、そんな残念な気持ちを抱くこともありました。 However, if you reduce the time spent expressing yourself just a little and focus hard on something, you might find something better coming out of it, but there have been times when I felt regret about that. 뭔가를 보고 또 보고 그리고 생각하고.. 네 그래야 되는데 요즘은 사물을 또는 실제 사람을 보는 시간 보다는 다른 사람이 써놓은 글이나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영상, 뉴스..이런 것들을 보는 시간이 많다보니까 생각의 프레임이 상당히 좁아지죠. something|seeing|again||and|thinking|yes|should|be|these days|objects|or|real|person|seeing|time|rather than|other|person|written|writing|||created|placed|video|news|such|things|watching|time|is many|of thought|frame|quite|becomes narrow ||||||||||||||||||||文章や|||||||||||||枠組み||狭くなる 何かを見たり、また見たり、考えたり…そうですね、そうするべきなのですが最近は物や実際の人を見る時間よりも他の人が書いた文章や他の人が作った映像、ニュース…そういったものを見る時間が多くなってしまって、考えのフレームがかなり狭くなってしまいます。 Looking at something over and over again and then thinking... Yes, that's how it should be, but these days, I spend more time looking at writings by others, videos created by others, news... so my frame of thought has become quite narrow. 그렇습니다. that is right その通りです。 That's right. 그래서 소설가나 시인이나 보는 것이 중요해요. so|novelist|poet|seeing|thing|is important ||詩人||| ですから、小説家や詩人が見ることは重要です。 So it's important for novelists and poets to observe. 만약에 여러분이 누군가의 부모이고, 그리고 자녀가 예술가가 되기를 바란다면 물론 그런 부모는 거의 없습니다. if|you|of someone|are a parent|and|child|artist|becoming|hope|of course|such|parents|hardly|exist ||||||||望むなら||||| もしあなたが誰かの親で、そして子どもがアーティストになってほしいと思っているなら、もちろんそんな親はほとんどいません。 If you are someone's parent and you hope your child becomes an artist, of course, there are very few such parents. 대부분의 부모는 자녀가 예술가가 되길 바라지 않죠. most|parents|child|artist|become|wish|not ほとんどの親は子どもがアーティストになってほしくないと思っています。 Most parents do not wish for their children to become artists. 뭐 바란다고 말하는 부모도 있어요. what|saying (that they) want|talking|parents|there are |願っている||| 願っていると言う親もいます。 Some parents do say they hope for that. 그런데 자세히 물어보면 꼬치꼬치 캐물어야되요. but|in detail|if you ask|persistently|you have to pry |||しつこく| でも詳しく聞いてみると、しつこく聞かないといけません。 However, if you ask in detail, you have to pry into it. 자세히 물어보면, 그냥 순식간에 천재성을 발휘해서 신동 피아니스트가 된다거나, 아니면 뭐…그런 것들을 바라는 거지 진짜 예술가의 삶을 살기를 바라는 것 같지는 않아요. in detail|if you ask|just|in an instant|genius|demonstrating|prodigy|pianist|becomes|or|something like that|such|things|hoping for|like|true|artist's|life|living|hoping for|||be true ||||||||||||||ただ|||||||| 詳しく聞くと、ただ瞬時に天才性を発揮して神童ピアニストになるとか、あるいはまあ…そういうことを期待しているだけで、本当の芸術家の人生を生きたいとは思っていないようです。 If you ask in detail, it seems like they just want their child to suddenly show genius and become a prodigy pianist, or something like that... I don't think they truly wish for a real artist's life. 이 삶은 그렇게 권하고 싶은 그런 삶은 아닙니다. this|life|like that|recommending|wanting|such|life|is not この人生は、そんなに勧めたい人生ではありません。 This life is not one that I would want to recommend. 어쨌든 그래도 자기 자녀가 예술가가 되기를 원하는 그런 부모가 있다면, 특히 문인이 되기를 원하는 부모가 있다면, 더 줄어들겠죠? anyway|still|one's own|child|artist|becoming|wanting|such|parent|if|especially|literary person|becoming|wanting|parent|if|more|will decrease いずれにせよ、子供がアーティストになってほしいと思っている親がいるとしたら、特に文人になってほしいと思っている親がいるとしたら、さらに少なくなるでしょう? Anyway, if there are parents who want their children to become artists, especially those who want them to become writers, that number would decrease, right? 그 퍼센티지가? that|percentage そのパーセンテージは? That percentage? 학교 갔다 온 아이에게 전 이렇게 물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school|went|came|to the child|I|like this|should ask|that|I think |||子供に||||| 学校から帰ってきた子供に、私はこう尋ねるべきだと思います。 I think I should ask the child who came back from school like this. "뭘 배웠느냐? what|did you learn |何を学んだ 何を学びましたか? "What did you learn? 오늘 뭐 배웠니?" today|what|did you learn ||学んだ 今日は何を学びましたか? What did you learn today?" 대신에 "오늘 뭘 봤니? instead|today|what|did you watch |||見た その代わりに「今日は何を見ましたか?」 Instead, ask "What did you see today?" 뭘 들었니?" what|did you hear |聞いた What did you hear? 이런걸 저는 물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this|I|should ask|that|think 私はこれを尋ねるべきだと思います。 I think I should ask questions like this. "학교가는 길에 뭐 봤니?" going to school|on the way|what|did you see 学校へ行く||| "学校に行く途中に何を見ましたか?" What did you see on your way to school? "꽃을 봤어요." the flower|I saw "花を見ました。" I saw flowers. "그래? really "そうなの? "Really?" 꽃이 어떻디? flower|how is |どうですか 花はどう? How is the flower? "라든가, "학교가는 길에 버스를 봤어요." for example|going to school|on the way|bus|I saw "とか、"学校に行く途中でバスを見ました。" "For example, "I saw a bus on the way to school." "그래, 버스를 봤어? yes|bus|did you see "So, did you see the bus?" 너 매일 타고 다니잖아. you|every day|riding|are |||乗ってるじゃん 君は毎日乗っているじゃないか。 You ride it every day. 그런데 오늘 버스에 새로운게 있었니? but|today|on the bus|new thing|was there |||新しいもの| それで、今日はバスに新しいものがあったのか? But was there something new on the bus today? 뭘 봤니?" what|did you see 何を見たの? What did you see? "오늘은 버스가..급정거를 했어요." today|bus|sudden stop|did |バスが|| 「今日はバスが急ブレーキをかけました。」 Today, the bus... made a sudden stop. 뭐 그런거요. what|like that |そんなこと そんなことです。 What is that? "급정거를 하니까 어떻게 되디?" sudden stop|when|how|happens |||なるの 「急ブレーキをかけるとどうなるの?」 "What happens when you suddenly brake?" "길에 길 그림을 그렸어요. on the road|road|picture|drew |||描きました 道に道の絵を描きました。 "I drew a road on the street." "뭐 이런 것들.. 이런게 시죠. what|like this|things|this|is こんなものが..これが詩ですね。 "Things like this.. this is poetry." 아이가 뭘 봤느냐에서 사실은 시가 출발하는 것이고 문학이 출발하는.. 그런 것입니다. the child|what|saw|in fact|poetry|starting||literature|starting|such|is ||見たか|||||||| 子供が何を見たかから実際に詩が始まり、文学が始まる..そういうことです。 The fact that the child sees something is actually where poetry begins, and where literature starts... that's what it is. 그런데 우리나라의 부모님들은 부모님들이 학교 갔다 오면은 먼저 물어보는게 "오늘 뭐 배웠니? but|of our country|parents|parents|school|went|when they come back|first|asking|today|what|did you learn ||||||||聞くこと||| ところで、私たちの国の親は、親が学校から帰ってくると、最初に聞くのは「今日は何を学んだの?」 However, in our country, when parents come home from school, the first thing they ask is, "What did you learn today?" 학교에서 혼나지 않았니? at school|scolded|weren't you ||didn't you 「学校で怒られなかった?」 "Did you get scolded at school?" 선생님 말씀 잘 들었니?" teacher|words|well|did you listen 「先生の話をよく聞いた?」」 "Did you listen well to the teacher?" 선생님 말씀 잘 듣는 건.. 전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teacher|words|well|listening|thing|I|that|important|not|think 先生の言うことをよく聞くことは.. 私はそれほど重要ではないと思います。 I don't think it's that important to listen well to the teacher. 예술가가 된다면, 되겠다면 그것은 별로 중요치 않다고 생각합니다. artist|if I become|if I can become|that|not very|important|not|I think ||なるなら||||| アーティストになること、なれることはあまり重要ではないと考えています。 If one becomes an artist, I think that is not very important. 뭘 봤느냐가 참 중요하죠. what|you saw|really|is important |見たかが|| 何を見たかが本当に重要ですね。 What you have seen is really important. 이런 것에 공통점이 있고요, 물론 시와 소설의 다른 점은 무수히 많습니다. this|thing|common point|exists|of course|poetry|novel|different|point|countless|are many ||共通点が|||||||| こういったものには共通点がありますが、もちろん詩と小説の違いは無数にあります。 There are commonalities in these things, and of course, there are countless differences between poetry and novels. 특히 시는, 제 생각입니다만, 그 영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시 자체는 윤리를 문제 삼지 않습니다. especially|the poem|my|thought|that|in the movie|know|possibility|as|poem|itself|ethics|issue|question| ||||||||||詩そのもの|||| 特に詩は、私の考えですが、その映画でもわかるように、詩自体は倫理を問題にしません。 In particular, poetry, in my opinion, does not question ethics, as can be seen in that movie. 시는 본것을 느낀 것을 표현하는, 그야말로 즉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런 장르이기 때문에 윤리를 문제 삼기는 어렵다고할 수 있습니다. poetry|what is seen|felt|thing|expressing|truly|immediately|showing|such|genre|because|ethics|issue|raising||possibility|is ||||||即座に||||||||難しいと言える|| 詩は見たものを感じたものを表現する、まさに即座に見せるジャンルなので、倫理を問題にするのは難しいと言えるでしょう。 Poetry is a genre that expresses what has been seen and felt, showing it immediately,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question ethics. 그럴만한 공간이 없는거죠. worthy of that|space|does not exist そのような空間はないということです。 There is no space for that. 윤리라는 것은 복잡한 것인데요, 반면 이 소설은 윤리를 문제 삼을 때가 많이 있습니다. the ethics|thing|complex|is|on the other hand|this|novel|ethics|issue|raise|times|often|exists |||||||||問題にする||| 倫理というのは複雑なものですが、反面この小説は倫理を問題にすることが多いです。 Ethics is a complex matter, whereas this novel often questions ethics. 그래서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 전체를 볼 때 충돌하는 것은 시와 소설입니다. so|Lee Chang-dong|director's|movie|'Poetry'|whole|watching|when|colliding|thing|with poetry|is novel ||||||||対立する||| ですのでイ・チャンドン監督の映画「詩」の全体を見ると、衝突するのは詩と小説です。 So when watching the entire film 'Poetry' by director Lee Chang-dong, what collides is poetry and the novel. 소설은 윤리를 문제 삼으려고 하죠. the novel|ethics||trying to raise|is |||問題にする| 小説は倫理を問題にしようとしているのですね。 The novel tries to question ethics. 손자의 비행이라던가요, 잘못된 어떤 행위 그것이 주인공을 괴롭히고 반면 그것과는 상관없이 어떤 아름다운 세상..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는 여주인공, 미자의 내면, 충동하는 것이죠. grandson|misbehavior|wrong|some|act|that|protagonist|tormenting|on the other hand|with that|regardless of|some|beautiful|world|her own|thoughts|trying to express|female protagonist|Mija's|inner self|provoking|is 孫子の|||||||苦しめる|||||||||表現しようと||ミジャ||衝動的な| 孫の過ちだと言うのでしょうか、間違った行為が主人公を苦しめ、一方ではそれとは無関係に美しい世界が存在する…自らの思いを表現しようとするヒロイン、美子の内面、衝動するのです。 For example, the grandson's misdeeds or some wrongful act that torments the protagonist, and on the other hand, a beautiful world that is unrelated to that... the female protagonist, Mi-ja, trying to express her thoughts, is what drives this. 이게 사실은 시와 소설의 충돌이라고 저는 본거죠. this|actually|with poetry|of the novel|is a conflict|I|see ||||衝突だと|| これが実際には詩と小説の衝突だと私は見ています。 This is, in fact, what I see as the collision between poetry and the novel. 전부 이 시와 소설이 충돌하는 것이 하나의 영화가 됐다..라고 저는 이창동 감독의 영화를 봤는데요, 자 이런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이 있는데 오늘은 그래서 시집을 한번 골라봤는데요. all|this|poem|novel|colliding|thing|one|movie|became|that|I|Lee Chang-dong|director's|movie|I watched|well|such|similar|points|different|points|there are|today|so|poetry collection|once|I chose ||||||||||||||||||点||||||||選んでみました すべて、この詩と小説が衝突することで一つの映画ができた..と私はイ・チャンドン監督の映画を見ましたが、こうした類似点と異なる点があるので、今日は詩集を一度選んでみました。 Everything collided in this poem and novel to become a single film.. I watched a movie by director Lee Chang-dong, and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o today I chose a poetry collection. 특히, 아까 제가 말씁드렸듯이 정말 많이 보고 적게 쓰는 사람..그런 시인을 한 분 골랐어요. especially|earlier|I||really|a lot|reading|little|writing|person|such|poet|one|person|I chose 特に、先ほど私が言ったように、本当にたくさん読んで少ししか書かない人..そんな詩人を一人選びました。 In particular, as I mentioned earlier, I chose a poet who reads a lot and writes little.. one such poet. 김기택 시인입니다. Kim Ki-taek|is a poet キム・ギテク詩人です。 It is poet Kim Gi-taek. 이 분의 [소]라는 시집입니다. this|person's|||is a poetry collection ||詩||詩集です この方の[詩]という詩集です。 This is his poetry collection titled [So]. 이 분의 시집은 (제가 상당히 좋아하는 시집인데) 시집을 사서 어느 장을 펼쳐도 뜨끔한게 있어요. this|person's|poetry collection|I|quite|like|poetry collection|poetry collection|buying|any|chapter|I open|something that pricks my conscience|exists ||詩集は||||||||||ドキッとする| この方の詩集は(私がかなり好きな詩集で)詩集を買ってどの章を開いても心に響くものがあります。 This person's poetry collection (which I quite like) has something that strikes me no matter which page I open.

SENT_CWT:AO6BvvLW=8.38 PAR_TRANS:gpt-4o-mini=4.23 en:AO6BvvLW openai.2025-02-07 ai_request(all=122 err=0.00%) translation(all=97 err=0.00%) cwt(all=952 err=2.84%)